• 제목/요약/키워드: anastomosis

Search Result 1,0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loring the variations of the pancreatic ductal syste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 Adil Asghar;Ravi Kant Narayan;Nagavalli Basavanna Pushpa;Apurba Patra;Kumar Satish Ravi;R. Shane Tubbs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1호
    • /
    • pp.31-44
    • /
    • 2024
  • The exocrine part of the pancreas has a duct system called the pancreatic ductal system (PDS). Its mechanism of development is complex, and any reorganization during early embryogenesis can give rise to anatomical varia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llect, classify, and analyze published evidence on the importance of anatomical variants of the PDS, addressing gaps in our understanding of such variations. The MEDLINE, Web of Science, Embase,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searched to identify publications relevant to this review. R studio with meta-package was used for data extraction, risk of bias estim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A total of 64 studies out of 1,778 proved suitable for this review and metanalysis. The meta-analysis computed the prevalence of normal variants of the PDS (92% of 10,514 subjects). Type 3 variants and "descending" subtypes of the main pancreatic duct (MPD) predominated in the pooled samples. The mean lengths of the MPD and accessory pancreatic duct (APD) were 16.53 cm and 3.36 cm, respectively. The mean diameters of the MPD at the head and the APD were 3.43 mm and 1.69 mm, respectively. The APD was present in only 41% of samples, and the long type predominated. The pancreatic ductal anatomy is highly variable, and the incorrect identification of variants may be challenging for surgeons during ductal anastomosis with gut, failure to which may often cause ductal obstruction or pseudocysts formation.

A comparison study of vessel twisting by different microsurgical suture techniques in a chicken wing artery side to side bypass training model

  • Junho Jung;Donghwan Jeong
    •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 /
    • 제25권3호
    • /
    • pp.260-266
    • /
    • 2023
  • Objective: Microvascular anastomosis, particularly side-to-side (STS) bypass, is a complex surgical procedure. While several suture techniques exist, none of them is superior to the others. We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various STS bypass techniques and vessel twisting using chicken wing training models. Methods: Three suture techniques were compared over an anterior wall suture procedure. The unidirectional continuous suture (UCS) group used a downward "right-to-left" continuous suture. The reverse continuous suture (RCS) group used a downward "left-to-right" continuous suture. The interrupted suture (IS) group used the standard interrupted suture. The number of samples in each of the three groups was 30 (n=90). We compared the incidence of vessel twisting and rotation angles across groups. Results: Vessel twisting occurred in 96.7%, 56.7%, and 0% of the cases in the UCS, IS, and RCS group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vessel twisting differed significantly in all 3 groups (p<0.001), with an apparent trend (p=0.002). The mean rotation angles were 201°±90.6°, 102°±107.6°, and 0° in the UCS, IS, and RCS groups,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On excluding cases without twisting, the rotation angles of twisted vessels in the UCS and IS groups were 207.9°±83.7° and 180°±77.9°, respectively, which yield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 (p<0.001).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incidence and trend of vessel twisting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suture techniques. The RCS technique may aid in preventing vessel twisting in the STS bypass procedure.

Internal maxillary artery (IMax) - middle cerebral artery bypass in a patient with bilateral atherosclerotic carotid occlusion: A technical case report

  • Javier Degollado-Garcia;Martin R. Casas-Martinez;Bill Roy Ferrufino Mejia;Juan C. Balcazar-Padron;Hector A. Rodriguez-Rubio;Edgar Nathal
    •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 /
    • 제26권1호
    • /
    • pp.51-57
    • /
    • 2024
  • Since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possibl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maxillary artery for bypass surgery, there are some reports of its use in aneurysm cases;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possible advantages of this type of bypass for cerebral ischemic disease. We present a 77-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diabetes, hypertension, systemic atherosclerosis, and two acute myocardial infarctions with left hemiparesis. Imaging studies reported total occlusion of the right internal carotid artery and 75% occlusion on the left side, with an old opercular infarction and repeated transient ischemic attacks in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despite medical treatment. After a consensus, we decided to perform a bypass from the internal maxillary artery to the M2 segment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using a radial artery graft. After performing the proximal anastomosis, the calculated graft's free flow was 216 ml/min. Subsequently, after completing the bypass, the patency was confirmed with fluorescein videoangiography and intraoperative Doppler. Postoperatively, imaging studies showed improvement in the perfusion values and the hemiparesis from 3/5 to 4+/5.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e week after the operation, with a modified Rankin scale of 1, without added deficits. The use of revascularization techniques in steno-occlusive disease indicates a select group of patients that may benefit from this procedure. In addition, internal maxillary artery bypass has provided a safe option for large areas of ischemia that cannot be supplied with a superficial temporal artery - middle cerebral artery bypass.

Management of a ruptured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aneurysm with end-to-end in situ bypass: Case report

  • Livio Pereira de Macedo;Delson Culembe Baptista-Andre;rlindo Ugulino-Netto;Kaue Franke;Pierre Vansant Oliveira Eugenio;Auricelio Batista Cezar-Junior;Igor Vilela Faquini;Eduardo Vieira de Carvalho-Junior;Nivaldo S. Almeida;Hildo Rocha Cirne Azevedo-Filho
    •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 /
    • 제26권2호
    • /
    • pp.216-222
    • /
    • 2024
  • Dissecting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aneurysms are uncommon lesions. Their anatomy and the location of the dissection are variable, however, they usually occurs at the origin of the PICA. Dissecting PICA aneurysms generally have non-vascular morphology involving an entire segment of the artery and cannot be cut. Nevertheless, the detection of these vascular lesions has increased latterly,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t and take the appropriate management modalities for these injurie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case of a 73-year-old male patient, who presented a history of severe headache, associated with neck stiffness, nausea, vomiting, dizziness, hypoactivity, mental confusion, and walking difficulty. Radiographic investigation with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mild bleeding in a pre-medullary and pre-pontine cistern, and cerebral angiogram showed a dissecting PICA aneurysm. Despite being a challenging treatment, microsurgery management was the chosen modality. It was performed an end-to-end anastomosis between the p2/p3 segments, showing to be effective with goo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We discussed an unusual case, reviewing the current literature on clinical presentations, the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secting aneurysms of PICA, and evaluating the clinical and angiographic results of patients undergoing microsurgical treatment.

제3동맥 도관으로서의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사용하여 시행한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초기 및 중기 결과 (Off-Pump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Using the Skeletonized Right Gastroepiploic Artery as a Third Arterial Conduit; Early and Midterm Results)

  • 이현주;최재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59-665
    • /
    • 2003
  •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에서 골격화된(skeletonized) 양측 내흉동맥 이외에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함께 사용한 환자들에서 수술 직후와 1년째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골격화된 양측 내흉동맥과 우위대망동맥을 이용하여 시행한 103예의 관상동맥우회수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우위대망동맥을 유근이식편(in situ graft)으로 사용한 것이 88예, 근위부를 다른 혈관 도관에 연결(composite graft)하여 사용한 것이 10예, 대동맥에 연결(free graft)하여 사용한 것이 5예로 각각의 경우 수술 직후와 1년후 혈관조영검사를 통해 도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문합수는 3.8$\pm$0.7개였고 수술 직전 측정한 도관의 자유혈류량(free flow (ml/rnin))은 우위대망동맥이 130$\pm$95 ml/min로 좌내흉동맥(107$\pm$55 ml/min)과 우내흉동맥(113$\pm$57 ml/min)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p<0.05). 수술 후 100명(97.1%)의 환자에게 평균 1.3$\pm$0.8일째에 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내흉동맥은 98.6% (272/276),우위대망동맥은 97.0% (97/100)의 개통률을 보였다(p=ns). 퇴원 후에 평균 12.4$\pm$3.7개월째에 다시 88명(85.4%)의 환자에서 혈관 조영 검사를 시행하였다 개통률은 내흉동맥과 우위대망동맥이 각각 95.9%(234/244), 88.6%(78/88)로 내흉동맥이 조금 우세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7). 우위대망동맥과 자신의 관상동맥 사이 혈류경쟁(flow competition)의 소견은 수술 직후에 5예, 1년 뒤에 7예에서 관찰되었는데 TTFM (transit time flow measurement)을 수술 중에 시행하여 혈류경쟁이 의심되는 경우에서 교정을 시행한 이후에는 각각 1예와 2예로 유의하게 줄어듦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우위대망동맥은 내흉동맥에 이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3의 동맥 도관이며, 수술 중 혈류 측정, 대상 혈관의 정확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의 임상적 분석 (Feasibility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Bilateral Skeletonized Internal Thoracic Arteries)

  • 이준완;이재원;김종우;주석중;송현;류상완;김종욱;박종빈;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28-733
    • /
    • 2003
  • 동맥편만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위한 한 방법으로 양측성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에서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은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환자를 양측성 내흉동맥을 사용한 환자군을 양측 내흉동맥군(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BITA group, n=85), 단일 내흉동맥을 사용한 환자군을 단일 내흉동맥군(single internal thoracic artery; SITA group, n=54)으로 나누었고 수술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에 따른 사망은 양 군에서 각각 1예씩 발생하였다. 중환자실 재원일 및 퇴원기간은 양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BITA군: 2.4$\pm$1.7일, 11.2$\pm$17.7일, SITA군 2.8$\pm$2.7일, 9.7$\pm$7.1일, p>0.05). 문합혈관수는 BITA군이 3.9$\pm$0.7개, SITA군이 3.1$\pm$0.8개로 BITA군이 더 많았다. 술 후 심근경색은 7예(BITA군 2예, SITA군 5예)에서 발생하였고 심부 흉골감염이 4예(BITA군 3예, SITA군 1예)발생하여 재수술이 시행되었다. 수술 직후 104명의 환자에서(BITA군 64/85, SITA군 40/54명) 관상동맥 조영술이 시행되었고 좌전하행지로의 문합부위 협착이 4예(BITA군: 2예, SITA군: 2예)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관찰기간 동안의 문합부위 협착 발생은 총 8예였고 이 중 3명의 환자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시행되었으며 관상동맥 우회술을 재시행한 경우는 얼었다. 걸론: 관상동맥 우회술 시행시 양측 내흉동맥의 사용은 수술 전후 이환율에서 큰 차이 없이 만족할 만한 개통률을 얻으면서 동맥편만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가능케 하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정중 흉골절개를 통한 대동맥궁 기형과 심기형의 일차교정술 (One-stage Repair of Aortic Arch Anomalies and Intracardiac Defects through Median Sternotomy)

  • 장윤희;이상권;이형두;김시호;이길수;우종수;이영석;성시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291-300
    • /
    • 2005
  • 최근 심장기형과 동반된 대동맥궁 기형의 일차교정술은 단계적 수술에 비해 더 안전하다고 알려지면서 많은 병원에서 이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저자들은 이 복잡 심기형에 대한 정중 흉골절개를 통한 대동맥궁 기형과 심기형의 일차교정술의 조기 및 중기결과를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정중 흉골절개를 통한 대동맥궁 기형과 심기형에 대한 일차교정술이 시행된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조사를 하였다. 환아의 중심나이는 16일(3일$\~$23.7개월)이었고 31명$(68.9\%)$이 신생아였다. 평균 체중은 $3.62\pm1.30kg$이었다. 대동맥궁 기형으로 대동맥 축착증이 31예, 대동맥궁 차단증이 14예였다. 동반 심질환으로 심실중격결증이 31예(VSD군), 대혈관 전위증(Taussig-Bing heart 6예 포함)이 10예(TGA군), 그 외, 심방 중격 결손증, 대동맥-폐동맥창, 동맥간, 대동맥판 및 승모판 협착증를 각각 1예씩 동반하였다(기타 군). 대동맥궁 재건법으로 상행대동맥이나 대동맥궁에 하행대동맥을 측단문합한 경우가 23예, 단단문합한 경우가 22예였다. 결과: 전체 조기 병원 사망은 10명으로 $22.2\%$의 수술사망률을 나타내었으며 VSD군은 수술사망이 $16.1\%$(5/31), TGA군은 $40\%$(4/10), 기타군은 $25\%$ (1/4)였다. VSD군은 98년 이 후 23예에서는 수술사망이 없었으며 TGA군은 관상동맥 이식 수기변형을 시도한 이후 수술사망이 감소하였다$(75\%\;vs\;16.7\%)$. 술 후 발작(seizure)이나 신경학적 합병증은 얼었다 술 후 재협착은 모두 5예$(5/35,\;14.3\%)$에서 발생하였다. 2예에서 술 후 대동맥의 풍선 확장술이 시행되었으며 재수술은 없었다. 술 후 만기사망은 1예로 술 후 5개월에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수술사망을 포함한 2년 생존율은 $72.9\%$였다. 결론: 술 전 환아 관리의 향상과 관상동맥의 수기 변형 등으로 수술사망률이 감소하였으며 대동맥 재협착의 빈도도 비교적 낮아 대동맥궁 기형을 동반한 복잡심기형에서 정중 흉골절개를 통한 대동맥궁 기형과 심기형의 일차교정술은 유용한 수술법으로서 계속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계통간 교잡에 의한 분홍느타리 품종 "노을"의 육성 및 그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commercial strain "Noeul" by intra-specific hyphal anastomosis in Pleurotus salmoneostramineus)

  • 유영복;공원식;장갑열;김인엽;오세종;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07
  • 느타리버섯류의 새로운 품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고온기에 재배하기 알맞은 분홍느타리 품종 을 개발하였다. 단포자를 분리하고 균사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분홍느타리 4개 계통에 의한 5개 교잡조합으로 125개의 교잡주를 육성하였다. 이중에서 $2186{\times}2104$의 교잡주 25개중에서 3개의 백색 자실체 교잡주가 나타났다. 특성이 우수한 2172와 2104를 교잡하여 수량이 높고 색깔 등 품질이 우수한 Pss 2006-420호를 선발하여 새로운 품종 '노을'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sim}30^{\circ}C$, 버섯발생 온도는 $19{\sim}24^{\circ}C$, 자실체 생육온도는 $19{\sim}24^{\circ}C$로 원기형성을 위하여 저온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여름철을 중심으로 늦봄부터 이른 가을까지 재배하기에 알맞은 품종이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분홍색이며 자실체 형태는 다발형으로 기존에 보급되지 않은 새로운 종의 품종이다. 균사체 배양기간은 30-35일이며 균긁기 후 초발이소요일수는 3~5일, 생육일수는 5~10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단축된다. 자실체 형태는 깔때기형이며 유효경수는 병당 47개, 대굵기는 11.3mm로 다른 느타리 종에 비해 가늘고, 개체중은 3.5g으로 갓이 얇고 수량은 병당 (850ml) $102.2{\pm}8.2g$이다. 품질을 높게 하려면 재배온도를 $19-22^{\circ}C$로 다소 낮은 생육온도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재배 배지가 달라지거나 자실체가 너무 크게 생육하면 질겨지는 경향이 있고 담자포자의 비산량이 많은 편이다. 기존의 다른 느타리와는 달리 자실체 색깔이 분홍색으로 꽃과 같이 아주 아름답다. 특히 최근에 색깔이 다양한 웰빙식품이 각광을 받음에 따라 버섯의 칼러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분홍느타리는 시각적 효과가 뚜렷하여 버섯요리 개발과 판촉행사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버섯의 수요 창출로 농가소득에 이바지 하게 될 것이다.

  • PDF

기관 협착 환자에서의 T-튜브의 중단기 결과 (The Short Term and Intermediate Term Results of using a T-tube in Patients with Tracheal Stenosis)

  • 사영조;문석환;김영두;진웅;박재길;김재준;김치경;조건현;박찬범;임현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63-71
    • /
    • 2009
  • 배경: 기관 협착의 치료방법은 비교적 덜 침습적인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시술 또는 침습적인 방법인 구역절제술과 문합의 방법이 있으나 가끔은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라 이 모든 방법이 불가능할 때도 있다. 최근 실리콘 T-튜브 스텐트가 안전한 치료 대안이 되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기저질환을 가진 기관 협착 환자에서 T-튜브의 중단기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10년 동안 T-튜브로 기관협착을 치료받은 환자 57명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환자의 의무기록과 영상검사를 기초로 하여, 임상적인 결과와 T-튜브 제거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T-튜브와 연관된 합병증과 사망은 없었다. 경과 관찰 기간 동안 1명의 환자는 협착부위 절제와 재건술을 받았다. 13명의 환자들(13/57, 22.8%)은 성공적으로 T-튜브를 제거하여 더 이상 다른 처치는 필요하지 않았다. 또 다른 4명의 환자는 기관연화와 기관협착의 재발로 T-튜브 제거 후 다시 삽입하였다. 4명의 환자들은 기저질환과 암으로 사망하였다. 성별과 T-튜브 삽입 전 기관절개술 유무는 T-튜브 제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성별만이 T-튜브 제거 성공의 표지자로 밝혀졌다. 성별 (p=0.033)과 이전의 기관절개술(p=0.036)은 T-튜브 제거 성공군과 실패군 간의 2가지 다른 요소였다. 결론: T-튜브는 여러 원인에 의해 유발된 기관 협착에서도 믿을 만한 기도유지를 제공하였다. T-튜브는 중단기 동안 기관협착의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의 성적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for the Result after Curativ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 이재익;노미숙;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56-363
    • /
    • 2004
  • 식도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으로, 최근 식도암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행해지고 있으나 아직 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8년 간 동아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치험한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기 및 장기 성적을 분석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시행한 경부 임파절 절제술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식도암으로 식도절제술을 받은 70명의 환자 중 근치적 절제가 가능하였고, 중복암이 동반되어 있지 않으며, 술 전 보조요법을 받지 않은 식도암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자료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식도 절제는 대부분 우측 개흉술을 이용하였고 대부분의 문합은 경부에서 시행하였다. 1997년 후반부터 선택적인 환자에서 경부 임파절 절제술(3-field ltmph node dissect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46 : 5였고, 중앙 연령 값은 60세였다. 식도암의 위치는 상흉부 10명(19%), 중흉부 21명(41%), 하흉부 20명(40%)이었고,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46명(90%)으로 가장 많았고 소세포암이 2명, 선암, 선암-편평상피세포암과 미분화세포암이 각각 1명씩이었다. 술식은 경부문합이 41명, 흉부문합이 10명이었으며, 2-field lymph node dissection을 40명에서 3-field lymph node dissection을 11명에서 시행하였다. 술 후 병기는 I기 9명(17.6%), IIA기 20명(39.2%), IIB기 7명(13.7%), III기 11명(21.6%), IVA기 2명(3.9%), IVB기 2명(3.9%)이었다. 술 후 원내 사망률은 3.9%(2명)이었고, 술 후 합병증은 24명(47%)에서 발생하였다. 수술 사망 예를 포함한 전체 환자의 1, 3, 5년 생존율은 각각 74.4%, 48.4%, 48.4%이었다. 경부 임파절 절제를 한 군은 4년 생존율이 50.5%로 2-field lymph node dissection을 한 군(48.9%)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호흡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고 수술시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도암에 대한 외과적 절제술은 비교적 낮은 수술 사망률로 시행할 수 있으며, 병기가 진행된 경우라도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경부 임파절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