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lose

검색결과 707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Amylose Contents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of Rice Flour on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 Park, Ji Eun;Bae, In Young;Oh, Im Kyung;Lee, Hyeon Gyu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41-350
    • /
    • 2017
  • The relationship of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nd gel strength was investig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10-30%) of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27.9, 17.9, and 5.2%). As the rice flour concentration increased, predicted glycemic index decreased, but gel strength increased regardless of amylose contents. Gel strength correlated strongly with amylose content, whereas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was more highly affected by rice flour concentration than by amylose contents. Moreover, the impact of degree of gelatinization on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of high amylose rice was also examined in terms of structural features and rheological properties. The digestion rate of fully gelatinized flour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native flour, while the disrupted structure with a different gelatinization degree during starch digestion was visually demonstrated through the X-ray diffraction and molecular distribution analysis. The rice flour changed from an A-type to a V-type pattern and showed difference in crystalline melting. The l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starch digestion. The apparent viscosity also increased with degree of gelatiniz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arch digestibility of rice was more affected by concentration than by amylose content, as well as by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due to structural difference.

벼에서 T-DNA가 삽입된 저아밀로스 배유의 미립특성 (Grain properties of low amylose endosperm induced by T-DNA insertion in Rice(Oryza sativa L.))

  • 박세욱;이현숙;손재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9권
    • /
    • pp.1-10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low amylose lines which were derived from induced mutants by T-DNA insertion. The agronomic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low amylose mutan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a donor cultivar 'Dongjin' and a low amylose cultivar 'Baekjinju'. The heading date of the low amylose mutants was similar to the donor cultivar 'Dongjin' and yield index of the mutants was 78~92% compared with 'Dongjin'. The amylose content of four mutants in brown rice was ranged from 16.1 to 16.7%. Among low amylose mutants, 'P50-4-4-5' was lower 3.6%(13.3%) than those of 'Dongjin'(16.9%) in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The grain length of 'P50-4-4-5' was similar to the donor cultivar, however, thousand grain weight(18.9g) was lighter than those of 'Dongjin'. The score of alkali digestion in brown rice of 'P50-4-4-5'(5.5) was lower than that of 'Dongjin'(6.8) and similar to 'Baekjinju'(5.8). The gel consistency of 'P50-4-4-5'(84mm) in milled rice exhibited that was longer than 'Dongjin'(76mm) and 'Baekjinju'(81mm). The result of eating quality showed that 'P50-4-4-5'(78.8) was higher than those of 'Dongjin'(60.3) and 'Baekjinju'(67.2). Thus our data suggest that 'P50-4-4-5' will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ivar with low amylose rice.

  • PDF

수도 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연구 IV. 단일 및 고온처리가 쌀의 Amylose 및 조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IV. Effect of Short-day and High-temperature Treatment on the Amylos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Rice)

  • 허문회;문헌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29-133
    • /
    • 1974
  • 고온과 단일이 쌀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일장감응성정도와 단백질 함량이 다른 4개품종을 고온(온실내)과 상온(실외)에서 전생육기간중 계속단일처리, 출수기까지만 단일처리, 출수기이후만 단일처리하고 무처리자연구와 대조하여 쌀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을 조사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고온에 의하여 Amylose함량은 2-3% 낮아졌으나 단백질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2. 단일처리로 Amylose함량을 2-5% 저하시켰고 단백질함량을 2-6%증가시켰다. 전생육기간단일에서 가장 크게 영향됐으며 출수전단일이 출수후단일보다 영향이 컸다. 3. 출수후단일조건은 조생종에서 영향이 컸고 출수전 및 전생육기간단일하에서는 고단백품종보다 저단백품종에서 영향이 컸으며 특히 감광성품종인 진흥은 출수전영향이 컸다. 4.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저Amylose 고단백계통육성을 위해서는 장일저온하의 선발이 효율이 높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Statistical Treatment on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in Rice Variety Germplasm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alysis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 Oh, Sejong;Chae, Byungsoo;Lee, Myung Chul;Choi, Yu Mi;Lee, Sukyeung;Rauf, Muhammad;Hyun, Do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31-3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tistically analyze amylose and protein content of rice variety resources collected from China (1,542), Japan (1,409), Korea (413), and India (287).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OVA and DMRT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NIRS analysis. The average amylose contents were 18.85% in Japanese, 19.99% in Korean, 20.27% in Chinese, and 25.46% in Indian resources. The average protein contents were 7.23% in Korean, 7.73% in Japanese, 8.01% in Chinese, and 8.17% in Indian resources. The amylose and protein content using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0.01. The F-test for amylose content was 158.34, and for protein content was 53.95 compared to critical value 3.78. The amylose and protein content using DMRT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ntries. The value of statistical treatmen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China^a$, $Korea^a$, $Japan^b$, $India^c$ in amylose and $China^a$, $India^a$, $Japan^b$, $Korea^c$ in protein. Japanese resources had the lowest level of amylose contents, whereas, the lowest level of protein content was found in Korean resources compared to other origins. Indian resourc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It is recommended that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to future breeding experiments.

  • PDF

전분의 분자량 분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Starch)

  • 김경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96-502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알칼리로 침전시키면서 정제하여 도토리 전분을 얻었다. 다시 이 starch를 부탄올 개량법으로 분획하여 도토리 amylose와 amylopectin을 얻었고 Corn starch와 corn amylose, corn amylopectin은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하였다. 이 시료들의 분자량 분포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GCP측정을 하였다. GCP측정은 DMSO와 DMF의 용매사용과 표준물질로 pullulan을 사용하여 검정하고 각 시료들의 지연시간으로부터 행하여졌다. 분자량분포도로부터 수평균분자량 (Mn)과 중량평균분자량(Mw) 및 다 분산도를 얻었다. 그 결과 acorn amylose와 corn amylose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amylopectin에 비해서 뚜렷이 작게 나타나 ${\alpha}-1,4$ 선형결합을 갖는 amylose와 ${\alpha}-1,4$ 선형결합에 ${\alpha}-1,6$ 결합가지가 있는 amylopectin의 구조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획한 acorn과 시판되는 corn과의 분자량분포도 측정을 비교한 결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도토리 전분의 분획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다분산도는 acorn starch와 corn starch 모두 amylose와 amylopectin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분이 분획되기전 두 성분의 불균일성에 의한 성질로 분자량분포 범위가 넓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단속도와 온도에 따르는 점도를 관찰하였더니 전단속도가 증가하면 점도는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pseudo plastic power law fluid 거동(13)을 보였으며 온도가 증가하면 점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쌀식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ylose Content on Quality of Rice Bread)

  • 금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90-595
    • /
    • 1998
  • 아밀로오스 함량이 서로 다른 7가지(수원조, 수원232, BG276-5, IR44, IR41999-139, 수원230, 용주벼) 쌀 품종을 이용하여, 각각 쌀식빵을 제조한 후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수원조가 27.07%로 가장 높았고(P<0.05), 용주벼는 17.17%로 가장 낮은 값을(P<0.05) 나타내었다. 쌀식빵을 제조한 후 부피를 측정한 결과 수원조는 1116.67 mL로 최대값을(P<0.05)을 나타낸 반면, 용주벼는 903.33 mL로 최소값을 (P<0.05) 나타내었다. 즉,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 할수록 부피도 증가하였다(r=0.9974). 쌀식빵의 조직감 및 색도는 아밀로오스 함량과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쌀식빵의 부피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r=0.9974) 나타낸 반면, 쌀식빵 내부의 기공크기, 껍질의 색깔, 향, 맛, 씹힘성, 조직감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 검사 결과 amylose 함량이 감소할수록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즉, 쌀식빵에는 낮은 아밀로오스 함량을 가진 품종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동부 전분의 아밀로오스 특성 (The Properties of Amylose of Cow Pea Starch)

  • 권미라;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39-42
    • /
    • 1990
  • 동부 전분의 아밀로오스 특성을 연구하였다. 동부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25.1 %였으며 iodine binding capacity는 20.2 %였다. 동부 아밀로오스의 ${\beta}-amylolysis$ limit는 82.3 %였고, 고유점도는 204ml/g이고 중합도는 1,510 glucose units였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1{\times}10^4$(0.7 %), $1{\times}10^4{\sim}4{\times}10^4$(4.1 %), $4{\times}10^4{\sim}5{\times}10^5$(44.6 %), $5{\times}10^5{\sim}4{\times}10^7$(49.6%)였고, 동부 아밀로오스와 요오드의 결합에 따른 최대 흡수 파장은 $615{\sim}645\;nm$의 범위였다.

  • PDF

쌀 전분의 노화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Rice Starch)

  • 이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0
    • /
    • 2003
  • 밥의 식미에 영향을 주는 쌀품종별 노화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아밀로오스 함량과 gel consistency가 다른 5가지 품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Brabender amylograph에 의한 쌀품종별 호화특성에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관계없이 hard gel인 품종이 높은 setback 값을 보였다. 저장시의 경도변화에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의 최종경도가 더 높았다. 또한 Avrami equation에 의한 쌀전분겔의 노화특성 연구에서도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에서 노화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되는 time constant(l/k)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아밀로오스 함량이 쌀전분의 노화현상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아미(아밀로스 쌀) 복합분을 이용한 제면 특성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goami rice composite flours)

  • 김진숙;김상범;김태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6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quality of high-amylose content rice(goami) flour for noodle. The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rice flour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gross score of noodle making mixed with wheat flour. The high-amylose content of rice flour was closed associated with gel consistency negatively and with hardness of rice noodle positively, Setback viscosity of rice flour measured in a rapid visco-analyser(RVA)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mylose content as well as gel consistency. Also the amylose content decreased, the amylogram pasting temperature and the breakdown ratio increased. The low-amylose content rice(Chucheong) flour showed higher values in solubility. Cooking quality and texture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the noodles prepar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noodles of composite flour containing 40% goami rice flour were superior to those wheat flour alon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e composite flour containing 40% goami rice flour was lower than that of 40% chucheong rice flour. In sensory evaluation, chewiness, overall acceptability of noodle with 40% goami ricer was evaluated as the best.

  • PDF

두류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4-269
    • /
    • 1993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고유점도와 중합도는 강남콩이 다른 시료에 비해 작았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 분포의 연구에서는 전분의 경우 강남콩이 대체로 작은 분자들이 많음을 보여주었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특히 강남콩 아밀로오스가 분자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부와 녹두는 강남콩이나 팥보다 컸고, 팥은 중간이었다. 아울러 아밀로펙틴의 경우 pullulanase로 분해시켰을 때 잘라지는 가지 부분들이 강남콩은 약간 짧았고 동부나 녹두는 강남콩보다는 길었으며 서로 비슷했다. 또한 동부나 녹두는 긴 사슬(DP 40 부근)에 비해 짧은 사슬(DP 15 부근)의 비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