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pod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9초

First Record of Two Hyperiid Amphipods, Phronima atlantica and Oxycephalus clausi, from Dokdo, Korea

  • Shin, Myung-Hwa;Lim, Byu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408-415
    • /
    • 2020
  • The suborder Hyperiidea is an abundant crustacean zooplankton in pelagic communities with copepods and euphausiaceans. Hyperiidean amphipods are known to be commensals or parasites of gelatinous organisms such as medusae, siphonophores, ctenophores, and salps. Korean hyperiid amphipods have not received taxonomical attention since the 1970s. During a survey of pelagic crustacean species, two species of hyperiid amphipods, Phronima atlantica Guérin-Méneville, 1836 belonging to the family Phronimidae and Oxycephalus clausi Bovallius, 1887 belonging to the family Oxycephalidae, were found on Dokdo, East Sea, Korea. These two species are new to Korean waters. In the present study, we provide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se two hyperiid species.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2-379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날개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이매패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날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날개망둑은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요각류를 비교적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를 먹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게류를 먹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 걸쳐 가장 선호된 먹이생물이었다. 계절에 관계없이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가 주요 먹이생물이였으나, 봄과 가을에는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으며, 여름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볼낙(Sebastes inerm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ebastes inermi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8-175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볼낙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볼낙은 거의 대부분이 $1\~9\;cm$의 체장 범위였다. 볼낙은 잘피밭에서 주로 단각류(옆새우류와 카프렐라류)와 요각류를 먹었으며, 그 외 새우류, 게류, 복족류, 어류 등을 소량씩 먹었다. 볼낙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다 크게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었는데, 작은 크기 (2cm SL 이하)에서는 요각류를 가장 많이 먹었다.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낮아진 반면, 단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중간 크기 ($2\~9\;cm\;SL$)에서는 단각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 되었다. 그러다가 일정 크기 (10 cm SL) 이상이 되면 잘피밭을 떠나 인근 바위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단각류 대신 새우류나 어류로 먹이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적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단각류를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먹었으며, $2\~3\;cm$ 소형 볼낙이 많이 유입된 봄에는 요각류를 비교적 많이 먹었다.

  • PDF

해초생태계에 서식하는 4 우점어종의 성장에 따른 먹이의 변화에 관한 연구 (Ontogenetic Food Habits of Four Common Fish Species in Seagrass Meadows)

  • 허성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3
    • /
    • 1986
  • 미국 Texas 남쪽 해안에 위치한 Redfish Bay의 해초생태계에 우점종으로 나 타나는 4어종인 darter goby(Gobionellus bolesoma), pinfish(Lagodon rhomboides), code goby(Gobiosoma robustum), 그리고 Gulf pipefish(Syngnathus scovelli)에 대 한 성장에 따른 먹이 선택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가장 우점종인 darter goby는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먹는 잡식성 어류로 amphipods, copepods, polychaetes, filamentous algae, diatoms 그리고 detritus등이 주된 먹이였다. 이 종 은 성장에 따른 먹이 선택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반면에 pinfish, code goby 및 Gulf pipeifish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 종류가 크게 달라졌다. pinfish의 경우, 4단계 의 먹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 초기에는 육식성으로 주로 copepods를 섭식하였 으나, 조금 성장하면 주된 먹이가 amphipods로 바뀌며, 조금 더 성장하면 잡식성으 로 변해 filamentous algae, diatoms, amphipods 그리고 aolychaetes등의 다양한 먹 이를 먹으며, 그후 더욱 성장하면 seagrass와 seagrass위에 붙어있는 algae 그리고 그들의 debris를 주로 먹는 초식성으로 먹이 습성이 바뀌었다. code goby 와 Gulf popefish 는 비교적 적은 종류의 동물성 먹이에만 의존하는 육식성 어류들이었다.또한 두조은 비슷한 성장에 딸느 먹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초기에는 주로 copepods 를 섭이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보다 큰 amphipods로 먹이 선택이 바뀌었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7
    • /
    • 1999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문절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문절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갯지렁이류(Polychaeta), 게류(Brachyura), 새우류(Caridea), 옆새우류 (Gammaridea) 및 어류 (Pisces) 등 다양하였다. 그 외, 거미불가사리류 (Ophiuroidea), 복족류 (Castropoda), 이매패류 (Bivalvia), 카프렐라류 (Caprellidea), 집게류 (Anomura), 등각류 (Isopoda), 주걱벌레 붙이류 (Tanaidacea)등을 소량 먹었다. 문절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작은 체장에서는 갯지렁이류와 단각류를 주로 먹었다. 그러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갯지렁이류와 단각류를 먹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새우류, 게류 및 어류의 점유율은 증가하였다. 성어 단계에서는 매우 다양한 먹이생물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는데, 봄과 가을에는 갯지렁이류, 새우류 및 옆새우류의 점유율이 높았으나, 여름과 겨울에는 어느 특정 먹이생물이 우점하지 않고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 PDF

Stomach Contents of the Southern Rough Shrimp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in the Coastal Area of Yeosu, Korea

  • Yoon, Ho-Seop;Soh, Ho-Young;Park, Sang-Du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42-351
    • /
    • 2003
  • The southern rough shrimp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was monthly sampled from the coastal area of Yeosu, Korea from June 2000 to May 2001 and its stomach contents were investigated. Mysids and amphipods were the most dominant prey, comprising >40% of the diet in both % occurrence and % abundance. In particular, mysids were most important food without regard to seasons, size classes, or sexes. The abundance and occurrence composition of food items showed a seasonal fluctuation: mysids and amphipods were the predominant prey items in spring (33.8%), summer (41.1%), autumn (43.9%), and winter (49.2%). For small-sized shrimps (>25 mm CL), mysids and amphipods consist of more than 45% of its food in both % abundance and % occurrence. For large-sized shrimps (>25 mm CL), these were clearly dominant. The quantities and items of food did not differ in both genders, which mainly fed on mysids and amphipods. The trophic diversity and equality of diet varied with seasons and size classes. The diet diversity for smaller shrimps was highest in spring, while that for the larger shrimp lowest in winter. Also, the mandibular structure of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indicates that the species is carnivorous.

양식 전복에 공생하는 한국산 옆새우 3종(갑각강, 단각목) (Three Species of Gammaridean Amphi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Cultured Abalones (Gastropoda) in Korea)

  • 신명화;김일회;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157-169
    • /
    • 2005
  • 한국의 양식 전복에 공생하는 3종의 단각류가 발견되어 이들을 보고한다 이들 단각류는 볼록손참옆새우(Ampithoe valida Smith), 사마귀멜리타옆새우(Elasmopus rapax Costa), 두발가락멜리타옆새우(Melita rylovae Bulycheva)이며, 이 중에서 사마귀멜리타옆새우는 한국 미기록종으로서 상세히 기재하였고 다른 두 종은 주요 형질을 기재하였다. 이들 단각류가 공생한 전복은 Haliotis discus hannai Inc, H. discus discus Reeve, H. diversicoior aquatilis Reeve, 그리고 H. siebolidii Reeve이다. 관찰한 단각류와 전복들 사이에는 종 특이적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한국 남해 가덕도 주변에서 채집된 등가시치 (Zoarces gill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lotched Eelpout, Zoarces gilli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 허성회;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4-61
    • /
    • 2000
  • 등가시치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가덕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채집된 등가시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등가시치의 주요 먹이생물은 새우류 (Caridea), 옆새우류 (Gammaridea), 어류 (Pisces), 이매패류 (Bivalvia) 그리고 쿠마류 (Cumacea)였다. 그 외에 요각류 (Copepoda), 카프렐라류 (Caprel1idea), 패충류 (Ostracoda), 게류 (Brachyura), 두족류 (Cephalopoda), 복족류 (Gastropoda), 거미불가사리류 (Ophiuroidea) 및 갯지렁이류 (Polychaeta)가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등가시치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에 있어서 변화를 보였는데, 작은 체장에서는 옆새우류, 이매패류 치패, 쿠마류 및 패충류 등 소형 먹이생물을 비교적 다양하게 섭취하였다. 그러나 성장하면서 소형 먹이생물들이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점유율이 급격히 낮아졌으며, 반면 새우류와 어류 등 비교적 큰 먹이생물의 점유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8-175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정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중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산호해마의 식성 (Feeding Habits of Hippocampus mohnikei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곽석남;허성회;성봉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116
    • /
    • 2008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동대만의 잘피밭에서 채집된 산호해마(4.1~10.4 cm SL)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산호해마의 주요 먹이는 옆새우류였으며, 그 외, 카프렐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곤쟁이류 및 잘피 등을 소량 섭식하였다. 산호해마는 모든 체장에서 옆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작은 크기(<4.5 cm SL)에서는 요각류도 섭식하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섭식하는 먹이생물의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dietary breadth는 서서히 감소하는 양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