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bia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초

주왕산국립공원의 양서.파충류상 (Amphibian and Reptilia Faun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7-182
    • /
    • 1995
  • 1994년 4월 28일부터 1994년 4월 30일, 1994년 8월 4일부터 1994년 8월 5일 두 차례에 걸쳐 경상북도 청송군, 경상북도 영덕군에 걸쳐있는 주왕산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5과 5속 7종, 파충류는 3과 6속 7종이 관찰되었다. 양서류의 우점종은 북방산개구리였으며 유혈목이가 파충류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주왕산국립공원의 개발 이후에 변화될 양서.파충류상을 조사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and External Factors of Anura Amphibians

  • Hae-In Jeong;Sun-Jib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56-362
    • /
    • 2023
  •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species and specific factors related to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habitat conservation that is greatly linked not only to ecological research but also to human health. After all, protecting each one's habitat will protect wildlife and further maintain a healthy eco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existing studies and field-oriented surveys.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firmed high species diversity in agricultural areas and forest areas that can reduce moisture supply and moisture loss, and the non-segmental environment, that is, ecological connectivity, was largely influenced by amphibian species d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fragmented environment, that is, ecological connectivity, was greatly affected by amphibian species diversity. In addition, the three factors that affect amphibian survival are: It was identified as the effect of not establishing a buffer space, the effect 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around the habitat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and the effect on the disconnected ecological environment.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번식 연구를 위한 양서류 바이오톱(amphibian biotope) 조성 (Amphibian Biotope Planning to Research on Reproduction of Bombina orientalis)

  • 윤성일;박찬진;반영호;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6권1호
    • /
    • pp.22-29
    • /
    • 2008
  •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Korean fire-bellied toad)는 양서강 개구리목 무당개구리과 무당개구리속(Class Amphinia, Order Anura, Family Bombinatoridae Genus Bombina)의 무미양서류이다. 소형으로 행동이 느리고 온순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실험모델로써 많은 장점이 있으나 번식기를 제외한 개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시료확보의 난점으로 무당개구리의 계절번식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무당개구리를 포함한 많은 양서류가 감소하고 있으며 야생채집개체를 활용하는 연구는 점차 규제를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전 연구에서 시행되었던 바이오톱 조성 목적과 달리 양서류 번식생물학적 연구를 위한 자연서식환경 조성은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무당개구리의 생식, 발생, 생태연구를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연서식환경을 모방한 biotope 계획과 조성지침, 그리고 표준처리절차(SOP)를 제시하였다. 조성 후 시험적으로 방사한 개체연구결과로 는 실내사육실에서 키웠던 개체와는 달리 자연생태환경에서 관찰되는 계절적 적응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지침서를 기초로 조성된 양서류 biotope을 활용하면 온대지방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계절번식 생태를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지산 일대의 양서류 (Amphibian Fauna in the Mt. Myungji)

  • 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203-207
    • /
    • 2003
  • 경기도 명지산의 양서류 다양성을 조사하고 군집 구조 및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2002년 4월 2003년 3윌에 거친 4회의 조사를 통해 양서류 2목 5과 7종이 발견되였으며 우점도는 무미양서류인 무당개구리가 전체 45.1%로 가장 높았고, 물두꺼비의 경우 12.8%를 차지하였다. 옴개구리, 욕방산개구리는 각각 9.9%를 차지하였으며, 계곡산개구리와 참개구리는 1.4%를 차지하였다. 유미 양서류인 꼬리치레도롱뇽은 7.0%를 차지하였다. 꼬리체레도롱뇽과 물두꺼비의 출현빈도 및 출현장소는 서식지의 고도와 인간의 인위적 간섭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확률에 따른 위협도 분석결과 이 지역에서 참개구리와 계곡산개구리의 서식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원인 분석과 함께 보호가 요청된다. 명지산 양서류의 종 풍부도(R')는 0.98, 다양도(H')는 2.12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인 반면 균등도(E')는 0.76으로 비교적 낮은 간을 보이고 있어 양서류 군집의 구조가 복잡성을 보일 뿐 아니라 종의 구성이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사료된다. 가평천 상류의 명지산 일대가 양서류 서식에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양서류 서식지로서의 보전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Requirement of Protein Kinase C Pathway during progesterone-induced Oocyte Maturation in Amphibian, Rana dybowskii

  • Bandyopadhyay, Jaya;Bandyopadhyay, Arun;Kang, Hae-Mook;Kwon, Hyuk-Bang;Choi, Hueng-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87-91
    • /
    • 199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volvement of the phospholipase C (PLC) and protein kinase C (PKC) signaling pathways during progesteroneinduced meiotic maturation in amphibian (Rana dybowskii) oocytes. Prosesterone-induced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of oocyt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a PKC inhibitor, staurosporine and a PLC inhibitor, U73122,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ontrast, U73343, an inactive analogue of U73122, was ineffective in suppressing GVBD. PKC activity in oocytes reached a maximum level at 30 min after progesterone stimulation and this elevated PKC activity was effectively suppressed by U73122 or staurosporine, suggesting that the activation of PKC enzyme is closely linked to PLC signaling during oocyte maturation. In addition, these inhib itors blocked the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 activity which appeared in oocytes in response to progesterone, suggesting that PKC activation is an important signal for MPF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ctivation of PKC via PLC signaling is directly linked to an intracellular protein kinase cascade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MPF activity during meiotic maturation in amphibian (Rana dybowskii) oocytes.

  • PDF

농촌과 도시 지역에 서식하는 청개구리 (Hyla japonica)의 건강도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of Japanese Tree Frog (Hyla Japonica) in a Rural and an Urban Area)

  • 박소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1호
    • /
    • pp.71-74
    • /
    • 2017
  • 도시화는 전지구적 양서류 쇠퇴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양서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인천 도시지역과 가평 농촌지역의 논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의 형태와 건강도를 비교하였다. 도시지역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의 체장과 체중은 농촌지역보다 작았다. 그러나 건강도를 나타내는 비만도에는 두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시화와 양서류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시화가 양서류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무당개구리 배아를 이용한 탄천 수계 수질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Using Fire-bellied Toad (Bombina orientalis) Embryos in Tancheon Basin)

  • 박찬진;송상하;김대한;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25-432
    • /
    • 2015
  • 도심의 인구증가에 따른 수질오염은 양서류의 개체군에 악영향을 준다. 급감하는 양서류 개체군을 보호 또는 복원하기 위해 도심하천에서 양서류 입식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천수계에서 양서류의 입식을 목표로 본류 및 지류의 수질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하수처리장 유입수 및 하수처리장 배출수를 포함한 12개 지점의 표층수를 채수하여 무당개구리 포배기 배아에 처리하고 생존율, 기형발생률, 성장률 등을 분석하였다. 탄천 본류의 생물학적 안전성이 지류보다 높았으며, 상관분석 결과 무당개구리 배아의 생존율은 총용존고형물 (total dissolved solid), 탁도 (turbidity), 전기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기형발생율과 성장률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양서류 입식에 앞서 양서류 배아의 발생에 미치는 수질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검증한 첫 사례로서, 향후 이러한 방법이 도심하천에 대한 양서류 서식지 및 재입식지 선택에 있어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Tempo of Diversification of Global Amphibians: One-Constant Rate, One-Continuous Shift or Multiple-Discrete Shifts?

  • Chen, Youhu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1호
    • /
    • pp.39-43
    • /
    • 2014
  • In this brief report, alternative time-varying diversification rate models were fitted onto the phylogeny of global amphibians by considering one-constant-rate (OCR), one-continuous-shift (OCS) and multiple-discrete- shifts (MDS) situations. The OCS diversification model was rejected by ${\gamma}$ statistic (${\gamma}=-5.556$, p<0.001), implying the existence of shifting diversification rates for global amphibian phylogeny. Through model selection, MDS diversification model outperformed OCS and OCR models using "laser" package under R environment. Moreover, MDS models, implemented using another R package "MEDUSA", indicated that there were sixteen shifts over the internal nodes for amphibian phylogeny. Conclusively, both OCS and MDS models are recommended to compare so as to better quantify rate-shifting trends of species diversification. MDS diversification models should be preferential for large phylogenies using "MEDUSA" package in which any arbitrary numbers of shifts are allowed to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