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pyrine demethylas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7초

벤조피렌 유발 마우스에서 싸리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간 독성 억제효과 및 사이토크롬 P-450 1A1 Isozym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maria botrytis Methanol Extract on Hepatotoxicity in Benzo(α) Pyrene-treated Mice and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1A1 Isozyme)

  • 김현정;이인선;배준태;김옥미;박선희;장종선;박준홍;이갑랑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4-39
    • /
    • 2003
  • 싸리버섯 메탄올 추출물이 간독성 물질인 B$({\alpha})$P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간 손상 억제 효과 및 cytochrome P-450 1A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B$({\alpha})$P 투여로 인한 혈청 ALT와 AST의 활성, 간 조직증의 lipid peroxide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AD 및 AH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싸리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투여시 이들 활성 및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간 조직중의 GSH 함량, GST, r-glutamylcysteine synthetase의 활성은 B$({\alpha})$P만 투여한 군에 비해 싸리버섯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시 증가하였다. 또한 immuno blotting 결과로부터 B$({\alpha})$P 투여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던 cytochrome P-450 1A1 isozyme 단백질 함량이 싸리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투여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싸리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B$({\alpha})$P에 의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갈화가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지질과산화와 알코올 대사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wer of Pueraria lobata on Lipid Peroxidation and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c Enzymes in Alcohol-treated Rats)

  • 이정숙;김나영;이경희;김갑순;박희준;최종원;김석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35-942
    • /
    • 2000
  • 갈화(flower of Pueraria lobata) 분획 및 활성 성분의 급여가 아급성 알코올 중독된 흰쥐에서의 해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목적으로, 25% alcohol을 6주간 투여하여 아급성 알코올 중독상태를 유발한 흰쥐를 3주 더 사육하면서 혈액중 지질 함량의 변동, 알코올 대사계 효소의 활성을 비교 검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코올 단독 급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감소되었으며, 알코올-갈화 tectorigenin 급여군의 체중증가량은 대조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알코올 단독 급여군보다는 유의적인 회복을 나타냈다. 알코올 단독 급여군의 총지방, 중성 지방, 인지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중가하엿고, 알코올-갈화 tcctorigcnin 급여군과 알코올-갈화 kaikasapomin III 급여군의 총지방, 주성지방 함량은 대조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알코올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알코올 단독 급여군의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VLDL-cholesterol 함량, AI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알코올-갈화 tectorigcnin, kaikasaponin III 급여군은 대조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알코올 단독 급여군에 버해 유의적으로 회복되았다. 알코올 단독 급여군의 HDL-cholcsterol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던 것이 알코올-갈화 tectorigenin 급여군과 알코올-갈화 kaikasaponin III 급여군에서는 대조군 수준에서는 미치지 못하나, 알코올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알코올 급여 시 cytochrome P 450, AH와 AD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했으나, 알코올-갈화 tectorigenin 급여군과 알코올-갈화 kaikasaponin III 급여군의 경우 알코올 단독 급여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알코올 급여시 ADH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갈화 tectorigenin 급여군과 알코올-갈화 kaikasponin III 급여군은 알코올 단독 급여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MEOS의 활성은 알코올 급여 시 대조군에 비하여 중가를 보였고, 알코올-갈화 tectorigenin 급여군에서는 알코올 단독 급여군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Catalase의 활성은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ALDH의 활성은 알코올 단독 급여군은 대조군의 활성에 비하여 감소되었으나, 알코올-갈화 tectorigenin 급여군과 알코올-갈화 kaikasaponin III 급여군에서 알코올 단독 급여군보다 유의적인 활성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갈화로부터 분리된 tectorigenin과 kaikasaponin III는 아급성 알코올 중독된 흰쥐 간의 free radical 생성계 효소를 억제시켜 알코올로 인한 간손상을 회복시키고, 알코올 대사 효소계에 관여하여 해독작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알코올 해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