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mino acid solution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4초

청국장의 분말가공과 청국장 스프 레시피 개발 (Powder Processing of Soybean Paste(Cheonggukjang) and Application to Soup Recipes)

  • 공석길;김성옥;황성연;박소희;강근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
    • /
    • 2007
  • The process of Cheonggukjang powderization and application to the western food recipes were established. Cheonggukjang was made and processed into the powder. The optimum condition of Cheonggukjang solution for the powdering process was 50%(w/w). And it was completely grinded by a mixer. Drying condition of a spray dryer was to be injected 1 mL/sec. in $105^{\circ}C$ with 3,000 rpm. The components of Cheonggukjang were 49.7 g/100 g of moisture, 2.6 g/100 g of crude ash, 16.2 g/100 g of crude carbohydrate, 23.4 g/100 g of crude protein, 8.1 g/100 g of crude fat, and 9.3 g/100 g of cellulose. The major amino acid was glutamic acid and its quantity was 4,345.5 mg/100 g. And the next were aspartic acid (2,539.2 mg/100 g) and leucin (1,963.2 mg/100 g). In application, 4 kinds of soup recipes using Cheonggukjang powder were developed. The sensory test showed the acceptability between the soup with the powder and the soup without the powder was significant at odor(p<0.05) in vegetable cream soup and broccoli soup, and at taste(p<0.01) in vegetable cream soup. And the soup with non powder showed more acceptability.

  • PDF

오징어 가공품의 냄새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Processed Squid Product)

  • Chiaki Koiiumi;Toshiaki Ohshima;Lee, Eu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7-554
    • /
    • 1990
  • 오징어 가열향기의 전구물질부를 탐색하고, 연속증류장치로써 가열향기 성분을 추출한 후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구분으로 분획하여 GC 및 GC-MS로써 분석 동정하였다. 오징어 가열향기의 생성에는 80% 메탄올로서 추출되는 성분이 중요하였으며, 지질은 가열향기에 관여하지 않았다. 4가지 획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중성구분에서는 은은하면서 감미로운 냄새를, 염기성구분에 서는 탄매, 배소취 및 어취를 느낄 수 있었다. 오징어 가열향기로서 44성분이 동정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탄화수소 2종, pentanal, furfurylalcohol, hexanol, 2-phenylethanol 등 알데히드 5종, 케톤류 1종, 퓨란류 1종, dimethyl sulfide, dime-thyl-thiazole 등 함황화합물 3종. pyrazine류 7종, pyridine류 2종 및 아민류 1종 둥 10종의 함질소 화합물, 페놀류 2종, propionic acid, isopentanoic acid 및 n-hexanoic acid 등 10종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고등어분말수우프의 제조 및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Powdered Smoked-Dried Mackerel Soup and Its Taste Compounds)

  • 이응호;오광수;안창범;정부길;배유경;하진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1
    • /
    • 1987
  • 다획성적색육어류인 고등어를 원료로하여 우리나라 사람의 기호에 맞고 즉석(卽席)수우프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고등어분말수우프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및 이의 효율적인 저장방법과 제품의 맛성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가공조건은 고등어를 필레로 만들어 $95^{\circ}C$의 열수 중에서 10분간 자숙한 다음 압착하여 가다랑어자숙 엑스분 중에서 5분간 침지하였다. 이것을 $80^{\circ}C$에서 8시간의 훈건 및 엄증을 3차례 반복하여 수분함량이 약 $10\~12\%$되도록 하여 50 mesh 크기로 분쇄한후 $(PET/Al\;foil/CPP:\;5{\mu}m/15{\mu}m/70{\mu}m,\;15\times17cm)$ 적층필름주머니에 일정량 충전하여 포장용기내의 공기를 질소치환 혹은 탈산소제를 봉입포장하여 저장함으로서 제품의 품질변화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었다. 한편 제품제조시 가다랑어자숙엑스분중에 침지처리함으로서 제조중 지방산화의 억제 및 제품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고등어분말수우프의 수분함량은 $11.3\~12.3\%$, 조지방 $12.0\%$, 조단백질 $73.0\%$, 회분 $3.2\%$ 및 구분활성은 $0.52\~0.56$의 범위로서 저장중 거의 변화가 없었고, 제품의 pH, 휘발성염기질소 및 아미노질소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중 제품의 수용성 및 지용성 갈변도는 함기포장제품(C)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나 질소치환포장제품(N)이 나 탈산소제 봉입 포장제 품(O)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및 TBA값을 측정한 결과 제품(N) 및 (O)는 저장중 지방산화를 효율적으로 억제 할 수 있었다. 제품의 주요구성지방산은 16:0, 18:1, 22:6, 18:0 및 20:5 등이었으며 제품제조 및 저장중 폴리엔산은 다소 감소한 반면, 포화산 및 모노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고등어분말수우프제품의 주요한 맛성분이라고 추정되는 IMP의 함량은 $420.2\~454.2mg/100g$으로서 저장중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주요불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acid$ 등으로 함량은 각각 902.2 mg/100 g, 28.3 mg/100g 및 8.6mg/100g이었다. 이외에 malic acid 등 6종의 유기산이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제품의 유리아미노산 및 관련화합물의 조성은 histidine이 641.8 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alanine 214.7 mg/100g, hydroxyproline이 48.9mg/100g, 이외에 lysine, glutamic acid 및 anserine 등이 전체의 $80.8\%$를 차지하였다. 고등어분말수우프의 맛성분은 건물량 기준으로 유리아미노산 및 관련화합물이 1,279.4 mg/100g, 불휘발성유기산이 948.1mg/100g, 핵산 관련물질 672.8 mg/100g, 총 creatinine이 430.4 mg/100g, betaine 86.6mg/100g 및 미량의 TMAO로 이루어져 있었고 국물로 우려낼때 맛성분의 추출조건은 $100^{\circ}C$에서 1분간의 고온단시간 추출이 적합하였다.

  • PDF

Serine 의 인공피부조직 투과 개선을 위한 Stearic Acid 기반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tearic Acid-Based Solid Lipid Nanoparticles for the Improvement of Artificial Skin Tissue Transmittance of Serine)

  • 여수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9-184
    • /
    • 2021
  •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피부 내 수분을 유지시킨다. 피부 보습은 각질층 내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에 의존하는데, NMF 중 아미노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NMF 중 serine (Ser)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생체 적합한 고형지질인 stearic acid 기반 고형지질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를 설계하였다. Ser 봉입 SLNs은 이중 가온용융유화법으로 제조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는 256.30 ~ 416.93 nm이었고 제타전위는 -17.60 ~ -35.27 mV이었다. 유화제의 지용성 또는 친수성의 정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입자크기 작아지고 안정성 및 봉입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Ser의 피부 투과 연구를 위해 인체 표피 유래 피부 조직(SkinEthicTM RHE)을 사용하였다. Ser의 피부 투과결과 SLN을 적용한 제형이 대조군인 Ser 용액에 비해 약 4.1 ~ 6.2 배 투과율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유화제의 지용성 또는 친수성의 정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Ser의 피부 투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Ser이 봉입된 SLN은 기능성화장품의 보습효과 처방을 위한 경피흡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주의 주질 개선을 위한 국 및 효모의 선정과 그 발효 특성 (Selection of koji and yeast strain for improvement of Choungju quality)

  • 신철승;박윤중;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9-15
    • /
    • 1996
  • 쌀을 원료로 하는 청주 양조에 있어서, 원료의 이용률을 높이고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청주를 얻기 위하여 국(麴)의 이용상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발효주의 술덧에서 분리한 효모균주에 대하여 발효특성을 검토하였다. 백국균(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을 배양한 밀기울국은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을 배양한 쌀국에 비하여 glucoamylase, ${\alpha}-amylase$ 및 산성 protease 활성이 모두 높은 반면, 산성 carboxypeptidase 활성은 오히려 낮았다. 양조시험에 있어서 밀기울국(추출하여 사용함)은 소량으로도 술덧(주료)의 당화 및 발효를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었으며, 숙성 술덧은 국취가 적고 아미노산도가 낮아 주질이 깨끗하였다. 또 밀기울국을 사용하고 분리효모로 발효시킨 청주는 일본청주효모 K-7 및 K-9의 경우에 비하여 유기산 특히 호박산의 양이 적어 주질면에서 보다 좋았다. 한편 밀기울국과 쌀국을 병용(倂用)하고 분리효모로 발효시킨 경우에는 밀기울국과 쌀국의 사용량에 따라 술덧의 아미노산도를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쌀국을 사용하고, 분리효모로 발효시킨 경우에는 술덧의 에탄을 발효가 늦고 산 생성량이 많아 부적합하였다.

  • PDF

BTCA와 실리콘 처리 면직물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Cotton Fabric Treated with BTCA and P olyalkyleneoxide-modified amino-functional silicone)

  • 남승현;유효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25-534
    • /
    • 1998
  • Cotton fabrics were finished with mixture of BTCA(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 and polyalkyleneoxide-modified amino-functional silicone by pad-dry-cure process to achieve better DP performance with a higher retention of physical properties as compared to those of finished with BTCA alone. The results indicated that BTCA improved the wrinkle recovery but reduced significantly the tensile and tear strength of the treated fabrics. Whereas silicone imparted a lower wrinkle recovery, a lower loss of tensile strength than BTCA, in addition improved considerably the tear strength owing to reduction in inter-fiber and/or inter-yarn frictional forces. The concentration and curing temperature needed to enhance physical properties were as follows; for BTCA treatments 6%, at 18$0^{\circ}C$, for silicone treatments 1% at 14$0^{\circ}C$. This optimum concentration of silicone was observed by using the mixture of BTCA and silicone. The wrinkle recovery and DP rating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mixture of 4% BTCA and 1% silicone at a curing temperature of 17$0^{\circ}C$ was similar to those of treated with 6% BTCA at a curing temperature of 18$0^{\circ}C$, and other performance properties observed were; an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extension, toughness, abrasion resistance and moisture regain due to the reduction of BTCA concentration and curing temperature, futhermore an improvement in bending and surface properties due to the lubricating effect of silicone. On the other hand 1% aqueous silicone solution showed the lowest surface tension. Such nonionic surface activity resulted in a more uniform and rapid deposition of BTCA on the fiber or fabric.

  • PDF

침출수의 pH가 녹차 침출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on the Green Tea Extraction)

  • 김상희;박종대;이란숙;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24-1028
    • /
    • 1999
  • 침출수의 pH가 녹차 침출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색은 pH의 증가에 따라 Hunter b값, chroma값 및 TCD값이 증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침출수의 pH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총 카테킨 함량은 pH 4.0, 5.0, 6.0 및 7.0으로 추출하였을 경우 각각 32.28, 31.84, 31.14 및 14.70 mg/g으로 pH 7.0 침출수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4종류 카테킨 중 EGCg와 EGC가 pH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카페인 함량은 pH 4.0, 5.0, 6.0 및 7.0으로 추출하였을 경우 각각 15.7, 16.9, 18.0 및 19.2mg/g으로 pH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이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녹차 고유의 색을 유지하고 녹차에 함유 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침출하기 위해서는 침출수의 pH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다양한 아민 단량체를 이용한 무색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의 특성비교 (Comparison of Colorless and Transparent Polyimide Films with Various Amine Monomers)

  • 김영민;장진해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266-270
    • /
    • 2012
  • 무수물인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thalic anhydride (6FDA)에 2,2'-bis(trifluoromethyl)benzidine (TFB), 2,2'-bis(3-aminophenyl)hexafluoropropane (BAFP), 2,2'-bis(3-amino-4-methylphenyl)hexafluoropropane (BAMF), bis(3-aminophenyl) sulfone (APS), p-xylyenediamine (p-XDA), 및 m-xylyenediamine (m-XDA) 등 6종류의 각각 다른 아민 단량체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PI)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무색 투명한 PI필름은 무수물과 아민을 반응시켜 폴리아믹산(PAA)을 합성한 후, 용액 캐스팅에 의한 열처리 과정을 통해 얻었다.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를 이용하여 열적 성질을 측정하였고, universal tensile machine (UTM)을 이용하여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으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와 색차계를 이용하여 광학적 성질을 각각 확인하였다. 제조된 모든 필름들은 무색 투명하여 0.98~2.76 사이의 노란색 지수를 보였으며, 25.73~55.23 $ppm/^{\circ}C$사이의 열 팽창 계수를 나타냈다.

도열병 품종저항성과 도체내 성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e chemical components in the rice plants and varietal reaction to blast disease)

  • 백수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0
    • /
    • 1970
  • 수도품종명 도열병 저항성 차이와 도체내 성분과의 관계를 구명코저 저항성 품종, 중간정도 품종, 감수성인 품종의 실소 및 당 함량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질소, 전당 함량은 저항성인 품종이 감수성인 품종에 비해 전질소는 적고 전당은 많았다. 따라서 C/N 률은 저항성 품종이 감수성인 품종에 비해 높았다. 2) Free amino acid에 있어서는 저항성인 품종이 감수성인 품종에 비해 Glutamine, Valine 그리고 Leucine 과 Iso-leucine함량이 많았다. 3) 각종당액에서 전분합성은 저항성인 품종이 감수성인 품종에 비해 Fructose, Glucose에서는 높았고 Sucrose에서는 낮았으나 Indica type로 저항성인 Zenith에서는 오히려 전분합성이 감수성인 다다조 보다 떨어졌다. 4) 질소비료를 증시하면 전질소함량은 보비보다 증가하는데 그 증가율은 저항성인 품종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전당은 분벽초기에 감소되며 그 감소율은 저항성인 품종이 더 떨어졌고 분벽최성기에는 오히려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율은 저항성인 품종이 높은 경향이었다.

  • PDF

마이얄반응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에 의한 쑥갓의 효소적갈면 억제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Crown Daisy by Maillard Reaction Products)

  • 김지혜;송현승;박인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51-1455
    • /
    • 2012
  • 다양한 아미노산과 당을 $90^{\circ}C$에서 반응시켜 생성한 마이얄반응 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은 쑥갓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 PPO)를 강하게 저해하였다. 글리신(glycine)과 포도당을 함유한 반응물으로부터 MRP의 생성은 $90^{\circ}C$에서 반응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글리신과 포도당의 양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반응액에서 MRP의 증가함에 따라 반응액은 쑥갓 PPO활성을 비례적으로 강하게 저해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아미노산과 당중에서 글루타민과 자일로스를 아미노산과 당으로 이용했을 경우에 생성된 MRP가 쑥갓 PPO의 활성에 강한 저해제로 작용하였다. 카테콜을 기질로 사용한 쑥갓 PPO의 마이클레스 상수(Michaelis Menten constant)는 22.0 mM이었으며, MRP는 쑥갓 PPO의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