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 solution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초

다시마 조체의 연화를 위한 첨가제의 효과 (The Effect of Additives to the Texture of Kelp Blade)

  • 정인학;이경선;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1994
  • 다시마는 식품으로서 우수한 기능과 영양을 가지고 있지만 조체가 강인하여 제대로 식생활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동해산 다시마의 원료학적 특성과 다시마 조체를 연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다양한 다시마가공품의 개발로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동해산 다시마는 회분이 건조중량으로 $34.74\%$ 함유되어 있는 훌륭한 무기질원이며 탄수화물이 $50.5\%$로 매우 높고 거의 대부분이 비소화성 성분으로 훌륭한 다이어트 식품이 될 수 있다. 유리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가 $2340mg\%$으로 매우 높게 함유되어 있는 우수한 조미재료이다. 다시마 조체의 연화에 중조는 크게 효과가 없었으나 초산과 인산염이 효과가 컸다. 초산은 $0.3\%$ 농도에서 1시간 자숙에 0.160kg/mm(${\pm}0.0494$), 2시간 자숙에 0.099kg/mm(${\pm}0.0207$) 값을 보여 충분한 연화에는 1시간 이상이 요구되었다. 인산염은 $0.2\%$에서 30분 처리만으로도 0.165kg/mm(${\pm}0.0540$)값을 보여 탁월한 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시마는 장시간 가열에 의해서도 상당한 수준까지 연화시킬 수 있으나 장시간 자숙처리는 다시마 조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K^+,\;Ca^{2+},\;Mg^{2+},\;Na^+$ 등의 미네랄의 손실을 초래하게된다(좌등 등, 1981). 따라서 식초, 인산염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단시간에 연화를 완료시키는 가공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아로니아 추출물에 의한 직물의 천연염색과 염액의 Spectrum 분석 (Analysis of naturally Dyed Textile Fabrics by using Aronia Extract)

  • 원아영;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1호
    • /
    • pp.124-134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dyeing characteristics and spectrum of cotton and silk by using dyeing solution extracted from aronia. The value $L^{\ast}$ which indicates the brightness of cotton regardless of mordant increases with increasing pH from pH 3.5 to pH 10.5. The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of the cotton was generally high in pH 3.5 regardless of mordant existence. The silk showed the highest ${\Delta}E$ value in pH 3.5 dye solution as cotton did. On the other hand, the silk with mordant dyed showed the highest ${\Delta}E$ value in pH 7. Silk fabrics dyed with Aronia solution turns out red in pH 3.5, blue in pH 7 and yellow in pH 10.5. This is because of the amino acid, one of the silk ingredients, combines with a part of anthocyanin to show blue. As the result of the spectrum measuremen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Aronia solution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pH 10.5, pH 3.5 and pH 7, regardles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mordant. The measurement results of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color fastness to light are generally low.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to improve color fatness in the future.

당화방법에 따른 유산균 발효천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Gastrodia elata Blume by Saccharifying Methods)

  • 송영은;최소라;송은주;서상영;이인석;한현아;이기권;송영주;김영회;김명곤;박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98-705
    • /
    • 2016
  • 천마의 불쾌취 개선을 위한 당화방법별 유산균 발효 결과는 3일 발효시 엿기름과 쌀누룩 이용 당화에서 총 산도가 각각 2.23, 2.33%이었으며, 생균수는 9.14 log cfu/mL와 9.27 log cfu/mL로 높았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 산도는 계속 높아져 3.35%까지 증가하였으나, 생균수는 3일 발효에서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 함량은 엿기름과 쌀누룩 이용 당화에서 높았고, 유리당 함량은 효소 이용 당화에서 높았으며, 그 중 gluc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천마 주성분인 gastrodin, p-HBA 등 주 성분 함량도 효소 이용 당화에서 가장 높았다. 이취성분인 p-cresol 함량이 엿기름 이용 당화에서 낮아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엿기름을 이용하여 당화한 유산균 발효천마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사골농축액 시료 중에 함유된 아미노산 정량분석에 대한 오차 요인 및 측정불확도 추정 (Error factors and uncertainty measurement for determinations of amino acid in beef bone extract)

  • 김영준;김지영;정민유;신영재
    • 분석과학
    • /
    • 제26권2호
    • /
    • pp.125-134
    • /
    • 2013
  • 본 연구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사골농축액 시료 중에 23종의 아미노산 정량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에 관여하는 측정불확도 인자로 시료량, 최종 무게, 표준품 무게, 표준품 순도, 검정곡선, 회수율 및 재현성 등을 확인하였다. GUM(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과 EURACHEM에 근거하여 측정불확도에 대한 수학적 계산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사골농축액 시료 중 총 아미노산 함량은 36.18 g/100 g이었으며, 95% 신뢰수준(k, 2.05~2.36)에서 확장불확도는 3.81 g/100 g이었다. 측정불확도의 주요 요인은 분석시의 회수율과 반복성(25.2%) > 시료전처리(24.5%) > 검정곡선(24.0%)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미노산 분석 시 불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들의 주의와 개인적인 숙력도의 향상이 요구된다.

곶감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 우강융;이수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4-212
    • /
    • 1994
  • 곶감중 당은 주로 glucose, fructose, mannose였다. 당도 조절을 위하여 가한 sucrose는 즉시 단당류로 분해되었다. Glucose는 $25^{\circ}C$ 발효의 경우 발효 8일째 거의 발효가 완료되었으나 $15^{\circ}C$ 경우 75% 정도 발효되었다. 발효속도는 발효온도에 관계없이 glucose>fructose>mannose 순이었다. 곶감에서 검출된 유기산은 acetic acid, levulinic acid, 4-methylvaleric acid, oxalic acid, N-butyric acid, succinic acid 등이었고 발효온도에 관계없이 발효초기에 감소하다 4일, 6일째 증가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Levulinic acid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가장 급격히 감소하였다. Acetic acid와 4-methylvaleric acid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Ala, Gly, Val, Leu, Ile, Met, Ser, Pro, Phe, Asp, Hyp, Glu, Asn, Lys, Gln, Arg, His, Trp, Tyr 등 19가지가 검출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발효온도에 관계없이 발효 2일까지는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2주에서 원료용액과 같은 수준이었다. Ethanol함량은 발효 8일째까지는 $25^{\circ}C$우 9.4%(v/v), $15^{\circ}C$ 발효의 경우는 5.3%(v/v)였으나 12주째에는 $25^{\circ}C$ 경우 9.4%(v/v), $15^{\circ}C$ 경우 14.5%(v/v)로 $15^{\circ}C$ 경우가 알코올함량이 높았다. 고급 알코올은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2-methyl-1-butanol, 2-methyl-2-propanol 등이 0.001%(v/v)에서 0.06%(v/v) 범위에서 검출되었고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degradation products of the Balsalazide by Mass spectrometry: Optimization of stability-indicating HPLC method for separation and quantification of process related impurities of Balsalazide

  • Chilakabattina Naga Narasimha Babu;Ch. Srinivasa Reddy;Bhagya Kumar Tatavarti;M. Radha Madhavi;Venkateswara Rao Anna
    • 분석과학
    • /
    • 제37권1호
    • /
    • pp.25-38
    • /
    • 2024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novel approach by utilizing liquid chromatography (LC)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to separate, identify and characterize very nominal quantities of degradation products (DPs) of balsalazide along with its process related impurities without isolation from their reaction mixtures. The impurities along with balsalazide were resolved on spherisorb ODS2 (250×4.6 mm, 5.0 ㎛) column at room temperature using 0.2 M sodium acetate solution at pH 4.5 and methanol in the ratio of 55:45 (v/v) as mobile phase pumped isocratically at 1.0 mL/min as mobile phase and UV detection at 255 nm. The method shows sensitive detection limit of 0.003 ㎍/mL, 0.015 ㎍/mL and 0.009 ㎍/mL respectively for impurity 1, 2 and 3 with calibration curve liner in the range of 50-300 ㎍/mL for balsalazide and 0.05-0.30 for its impurities. The balsalazide pure compound was subjected to stress studies and a total of four degradation products (DPs) were formed during the stress study and all the DP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help of their fragmentation pattern and the masses obtained upon LC-MS/MS. The DPs were identified as 3-({4-[(E)-(4-hydroxyphenyl) diazenyl]benzoyl}amino)propanoic acid (DP 1), 4-[(E)-(4-hydroxyphenyl)diazenyl] benzamide (DP 2), 5-[(E)-(4-carbamoylphenyl)diazenyl]-2-hydroxybenzoic acid (DP 3) and 3-({4-[(E)-phenyldiazenyl]benzoyl}amino)propanoic acid (DP 4). Based on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cable for routine analysis of balsalazide and its process related impurities in pure drug and formulations and also applicable for identification of known and unknown impurities of balsalazide.

Electrochemical Investigation of Tryptophan at a Poly(p-aminobenzene sulfonic acid) Film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 Ya, Yu;Luo, Dengbai;Zhan, Guoqin;Li, Chuny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5호
    • /
    • pp.928-932
    • /
    • 2008
  • A glassy carbon electrode (GCE) modified with poly(p-aminobenzene sulfonic acid) [Poly(p-ABSA)] film is fabricated by voltammetric technique in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8.0) containing $5.0\;{\times}\;10^{-3}\;mol\;L^{-1}$p- ABSA.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tryptophan at the Poly(p-ABSA) film electrode are investigated with voltammetr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ctrochemical response of tryptophan i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presence of poly(p-ABSA) film. Compared with the bare glassy carbon electrode, the Poly(p-ABSA) film electrode remarkably enhances the irreversible oxidation peak current of tryptophan. Some parameters such as voltammetric sweeping segments for the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pH, accumulation potential and accumulation time are optimiz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the oxidation peak current is proportional to tryptophan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1.0\;{\times}\;10^{-7}$ to $1.0\;{\times}\;10^{-6}\;mol\;L^{-1}$, and $2.0\;{\times}\;10^{-6}$ to $1.0\;{\times}\;10^{-5}\;mol\;L^{-1}$ with a detection limit of $7.0\;{\times}\;10^{-8}\;mol\;L^{-1}$. The proposed procedure i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ryptophan in a commercial amino acid oral solution.

저장 마늘의 녹변현상에 관한 연구 (On the Development of Flesh Greening of the Stored Garlic)

  • 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0-55
    • /
    • 1990
  • 녹변현상을 나타내는 마늘의 주요 구성성분의 함량을 건전한 마늘과 비교하였고 녹변의 진행에 관련한 몇 가지 인자의 영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늘에 함유된 유기산 중 피르브산 및 숙신산,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 지방산 중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은 녹변이 발생하는 마늘이 건전한 마늘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의 양상에 있어서는 45-66.2kd 부근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마늘의 녹변반응은 pH, 온도, 반응시간 및 에틸알콜농도에 의존성을 보였으며 pH 5.5의 완충용액에 현탁시켜 $5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시 녹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이 염지 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II) (Effe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ured Loin Ham by Inocul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II))

  • 정영건;현인환;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4
    • /
    • 1986
  •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햄의 품질과 풍미를 개선하고 염지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공시균을 육내부에 접종한 후 염지 기간별로 세균수의 변화 및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염지 경과에 따른 염지육에 있어서의 대장균군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저온균과 내염균은 4일까지 증가한후 다소 감소하였다. 2. 염지 경과에 따른 염지액에 있어서의 대장균군은 4일까지 증가한후 감소하였고 저온균 및 내염균은 7일가지 증가한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pH의 변화는 염지육과 염지액에서 다같이 1일째 급속히 저하한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염지 육색은 7일째 84.05%의 발색율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다. 5. 아미노산 조성은 17종의 아미노산중 7일과 10일째에 glutamic acid함량이 14.76%과 14.01%로 가장 높았다. 6. 지방산의 조성은 13종이며 전체 불포화 지방산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자유유동 전기이동법에 의한 대두단백질 분리 (Separation of Soybean Protein by Free-flow Electrophoresis)

  • 한재갑;류화원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63-70
    • /
    • 1995
  • 실험실에서 자체 제작한 자유유통 전기이동 장치 에서 등전집속법을 이용한 대두 단백질의 분리를 통 해 운전 조건들이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 다. 매 실험마다 pH, 전기전도도, uv 흉광도 (280nm) 등을 측정하였고 시료의 순도는 SDS­P PAGE 분석을 통해 점검하였다. Tris와 boric acid로 처리한 대두단백질 추출액에 g glutamic acid, histidine, argmme, glycine 등 아 미노산 각 ImM과 dipeptide로 glycyl-glycine 2mM, 배경 전해액으로서 KCI ImM로 구성된 시료 의 완충액을 혼합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리막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경우 pH는 양극쪽에서 3, 음극쪽에서 8 정도의 값을 보였으며 2개의 변곡점을 나타내었다. 가해준 전압은 3 300V에서 lOOOV의 범위였으며 전압이 높을수록 더 나은 분리도를 얻었으나 전압을 더 높일 경우 과도한 Joule열의 발생으로 인해 한계가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백질들은 분리조 중앙 부근에서 집속이 일어났으며 pH와 전기전도도의 변화로부터 분리 조내의 이온들이 막을 통해 전극쪽으로 이통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완충용액의 농도를 5배로 증 가시킬 경우 300V에서 좋은 집속을 얻었으냐 10배 이상으로 농도를 높일 경우에는 분리조 입구와 출구 의 유체 온도차가 $25^{\circ}C$ 이상이 되어 단백질의 변성 이 일어날 수 있어 더 높일 수 없었다. 이온교환막을 사용할 경우 이온의 분극화현상을 일으켜 U자 형태 의 전기전도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혼합물 대신 상용의 ampholyte를 사용하더라도 분리도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