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ternative antibiotic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44초

뽕잎과 잠분 추출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 및 맹장 내 미생물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Excreta Extracts on Weight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and Cecal Microflorae of Chicks)

  • 한상훈;김동욱;지상윤;홍성구;김상호;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0-160
    • /
    • 2012
  • 본 연구는 뽕잎과 잠분의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 급여하였을 경우, 육계의 생산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부화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24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무첨가군, 항생제 첨가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뽕잎 에탄올 추출물 0.1%와 1% 첨가군, 잠분 에탄올 추출물 0.1%와 1% 첨가군 등 6 처리군으로 분류하고 5주간 사육하여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 혈액 내 항산화 관련 인자, 계육의 저장성, 맹장 내 미생물 균총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뽕잎 추출물 및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육계의 증체량에서는 대조군들에 비해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및,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첨가 사료를 사용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어 생산성 향상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혈액 총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TEAC 수치 및 혈액 내 지질과산화물인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혈액 성상의 긍정적 영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P = 0.001). 또한 큰 차이는 아니었지만, 저장 기간별 지질산패도를 조사한 결과 뽕잎 추출물 및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저장기간에 따른 지질 산화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사육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MDA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SEA 실험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지만, 10일 동안 총 증가한 MDA의 농도는 MLB군에서 가장 낮았다($P=4.417{\times}10^{-3}$).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대한 영향은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항생제 무첨가군에 비해 총 균수의 감소가 유의한 수준에서 관찰되었고($P=6.462{\times}10^{-5}$), coliform bacteria의 경우 항생제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한 수준에서 ($P=1.182{\times}10^{-7}$)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almonella sp.에 대한 생장저해 효과는 전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343). 흥미로운 점은 다른 처리군들과 달리 MLB 실험군의 경우 무항생제 실험군에 비해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Lactobacillus sp.의 성장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육계용 사료에 있어서 뽕잎과 잠분의 에탄올 추출물 첨가 급여가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혈액성상에 유익한 영향을 제공함으로써 계육의 품질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실용화 될 경우 잠업 농가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피부 병원균에 대한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항균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Extract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 김윤혜;김지훈;김덕훈;김송희;김형락;김영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1-246
    • /
    • 2016
  •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P. acnes와 C. albicans는 사람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대표적인 병원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중에서도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모자반을 대상으로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의 연해에 자생하는 7종의 모자반 추출물 중에서 disc diffusion assay와 MIC assay를 통해 가장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낸 톱니모자반을 후속 연구를 위한 후보 물질로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층 중에서, 노말-헥세인 분획층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P. acnes 및 C. albicans에 대한 MIC값이 $32-256{\mu}g/mL$로 가장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피부 병원균들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내성균의 출현으로 효능이 거의 없는 항생제들인 테트라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린코마이신과 플루코나졸과 항균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톱니모자반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의 병용 사용에 의한 항균 시너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 이들 항생제와의 병용 사용에 의해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생제와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의 MIC값이 4-32배 감소되었고,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 이들 항생제와의 병용 시 median FIC값이 0.26-0.55로 항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항생제와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의 병용 사용은 피부 병원균에 대한 이들 항생제의 감수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s of Phytonc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Diarrhea Scores and Fecal Microflora Shedding in Weaning Pigs

  • Zhang, S.;Jung, J.H.;Kim, H.S.;Kim, B.Y.;Kim, In-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309-1315
    • /
    • 2012
  • A total of 140 weaning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BW = $6.47{\pm}0.86$ kg) were used in a 5-wk growth trai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tonc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blood profiles, diarrhea scores and fecal microflora shedding. Pigs were assigned randomly by BW into 5 treatments, dietary treatments were: i) NC, basal diet; ii) PC, NC+0.05% tylosin; iii) EO, NC+0.1% essential oil; iv) PP, NC+0.2% PP (phytoncide with 2% citric acid), and v) PA, NC+0.2% PA (phytoncide). Each treatment had 7 replicate pens with 4 pigs per pen. All pigs were housed in pens with a self-feeder and nipple drinker to allow ad libitum access to feed and wat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During 0 to 2 wks, supplementation with essential oil and PA decreased (p<0.05) G/F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During 2 to 5 wks, supplementation with PA led to a higher (p<0.05) G/F than the other treatments. At 2 wk, ATTD of dry matter (DM) and gross energy (GE) in EO treatment were decreased (p<0.05) compared with NC treatment. Dietary PC treatment improved (p<0.05) ATTD of DM and E compared with the CON group, and PA and PP treatments showed a higher (p<0.05) ATTD of E than that in NC treatment. Pigs fed phytoncide (PA and PP) had a greater (p<0.05) ATTD of DM than those of NC and EO treatments at 5 wk. Moreover, supplementation with phytoncide elevated (p<0.05) the concentration of immunoglobulin (IgG) in blood at 2 wk. The inclusion of EO, PP and PA treatments showed a greater (p<0.05) amount of fecal Lactobacillus compared with CON group. However, no difference (p>0.05) was observed in diarrhea scores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phytoncide can elevate feed efficiency, nutrient digestibility, and improve the fecal Lactobacillus counts in weaning pig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ytoncide could be used as a good antibiotics alternative in weaning pigs.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Finishing Pigs

  • Upadhaya, S.D.;Lee, K.Y.;Kim, In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00-1607
    • /
    • 2014
  • A total of 120 finishing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BW) of $49.72{\pm}1.72kg$ were used in 12-wk trial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tected organic acid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 flora, meat quality and fecal gas emission. Pigs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10 replication pens with 4 pigs per pen) in a randomly complete block design based on their initial BW. Each dietary treatment consisted of: Control (CON/basal diet), OA1 (basal diet+0.1% organic acids) and OA2 (basal diet+0.2% organic acids). Dietary treatment with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linearly improved (p<0.001) average daily gain during 0 to 6 week, 6 to 12 week as well as overall with the increase in their inclusion level in the diet. The dry matter, N, and energy digestibility was higher (linear effect, p<0.001) with the increase in the dose of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during 12 week. During week 6, a decrease (linear effect, p = 0.01) in fecal ammonia contents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on d 3 and d 5 of fermentation. Moreover, acetic acid emission decreased linearly (p = 0.02) on d7 of fermenta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During 12 weeks, linear decrease (p<0.001) in fecal ammonia on d 3 and d 5 and acetic acid content on d 5 of fermentation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Supplementation of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linearly increased the longissimus muscle area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s. Moreover, color of meat increased (linear effect, quadratic effect, p<0.001, p<0.002 respectively) and firmness of meat showed quadratic effect (p = 0.003) with the inclusion of increasing level of protected organic acid in the diet. During the 6 week, increment in the level of protected organic acid blends decreased (linear effect, p = 0.01) Escherichia coli (E. coli) counts and increased (linear effect, p = 0.004) Lactobacillus counts. During 12-wk of experimental trial, feces from pigs fed diet supplemented with organic acid blends showed linear reduction (p<0.001) of E. coli counts and the tendency of linear increase (p = 0.06) in Lactobacillus count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organic acid blends. In conclusion, 0.2% protected organic acids blends positively affect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gas emission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blood parameters.

Screening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proteinaceous compounds from flower tissues: Alternatives for treatment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 de Almeida, Renato Goulart;Silva, Osmar Nascimento;de Souza Candido, Elizabete;Moreira, Joao Suender;Jojoa, Dianny Elizabeth Jimenez;Gomes, Diego Garces;de Souza Freire, Mirna;de Miranda Burgel, Pedro Henrique;de Oliveira, Nelson Gomes Junior;Valencia, Jorge William Arboleda;Franco, Octavio Luiz;Dias, Simoni Campos
    • 셀메드
    • /
    • 제4권1호
    • /
    • pp.5.1-5.8
    • /
    • 2014
  •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represents a frequent cause of mortality that increases hospital costs. Due to increasing microbial resistance to antibiotic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lternative therapies. Consequently, novel alternatives for the control of resistant microorganisms have been studied. Among them, plant antimicrobial protein presents enormous potential, with flowers being a new source of antimicrobial molecules. In this work,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tein-rich fractions from flower tissues from 18 different species was evaluated against several human pathogenic bacteria. The results showed that protein-rich fractions of 12 species were able to control bacterial development. Due its broad inhibition spectrum an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the protein-rich fraction of Hibiscus rosa-sinensis was subjected to DEAE-Sepharose chromatography, yielding a retained fraction and a non-retained fraction. The retained fraction inhibits 29.5% of Klebsiella pneumoniae growth, and the non-retained fraction showed 31.5% of growth inhibition against the same bacteria. The protein profile of the chromatography fractions was analyzed by using SDS-PAGE, revealing the presence of two major protein bands in the retained fraction, of 20 and 15 kDa. The results indicate that medicinal plants have the biotechnological potential to increase knowledge about antimicrobial protein structure and action mechanisms, assisting in the rational desig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 drugs.

박테리오파아지 CJø07의 Salmonella enteritidis 감염에 대한 SPF 병아리에서의 효능 평가 (Evaluation of Efficacy of Bacteriophage CJø07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Infection in the SPF Chicks)

  • 임태현;이현정;김명섭;김병윤;양시용;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3-28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E에 특이적인 박테리오파아지($CJ{\phi}07$)의 사료 및 음수 투여가 어린 병아리의 SE 감염에 따른 장내 균증식과 체외 균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한 SPF 병아리에 SE균을 공격 접종 한 뒤, 공격 접종 10일 후 채취한 맹장 분변에 존재하는 SE균 수를 측정한 결과,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한 병아리의 맹장 분변 내 SE균 수는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공격 접종 10일 후 사육 시설 표면의 SE균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한 그룹의 사육 시설에서 채취한 환경 시료의 SE균 오염율(50%)이 박테리오파아지를 투여하지 않은 그룹의 SE균 환경 오염율(100%)에 비하여 감소되는 것을 통해 박테리오파아지 $CJ{\phi}07$에 의한 장내 균 증식과 체외 균 배출 억제 효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박테리오파아지 $CJ{\phi}07$는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 가금에서의 SE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제내성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baumannii)

  • 이도경;김민지;강주연;박재은;신혜순;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5-252
    • /
    • 2013
  • 녹농균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는 병원에서 중요한 기회감염 균주이며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이다. 다제내성 녹농균(MDRPA)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MDRAB)는 심각한 원내 감염을 일으키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보다 치료가 어렵다. 비피도박테리아는 많은 유익한 프로바이틱스 중 하나로 그들의 항균활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들의 MDRPA와 MDRAB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시프로플록사신, 토브라마이신, 겐타마이신, 메로페넴과 세프타지딤에 내성을 보이는 MDRPA와 MDRAB에 대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들의 항균활성은 흡광도를 이용한 액체배지희석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모든 비피도박테리아 분리균주(비피도박테리움 어돌레센티스 9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3균주와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2균주) 중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SPM1309의 배양 상등액은 MDRPA와 MDRAB에 대한 강한 증식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배양 시간 동안 혼합액의 탁도는 변화되지 않았으며, 이 억제 효과는 정균 작용이었다. 게다가 항균활성은 분자량 10 kDa 미만의 분획물에서 나타났으며, $7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 한 후에서 항균활성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활성물질은 열에 안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MDRPA와 MDRAB 감염증의 대체치료법을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슈토카테눌라툼 SPM1309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Dicarboxylic Acid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carboxylic Acid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on in vitro Rumen Parameters,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s in Lactating Cows)

  • 남인식;안용대;정기환;안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3-463
    • /
    • 2016
  • 본 연구는 항생제 대체제로서 Dicarboxylic acid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반추위 발효성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batch culture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Dicarboxylic acid의 급여가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649{\pm}19 kg$으로 일일 산유량 $38{\pm}3.95kg$, 유지방 $3.22{\pm}0.23%$, 산 차 $2.5{\pm}1.43$차인 홀스타인 착유우 10두를 산 차 및 산유량 등을 고려하여 시험사료에 따른 2개 군(대조구 5두, Dicarboxylic acid 급여구 5두)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Dicarboxylic acid는 사료급여량의 2%를 첨가하여 1일 2회 오전과 오후 착유 시 급여하였다. Dicarboxylic acid는 반추위내 pH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건물소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Dicarboxylic acid는 반추위 발효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소화율은 Dicarboxylic acid를 단독 급여할 때 가장 높았다. 또한 Dicarboxylic acid를 추가 급여하면 반추위 내 총 VFA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cetic acid 농도는 Dicarboxylic acid 단독 처리구에서 높게 생성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착유우의 유량은 Dicarboxylic acid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대조구 대비 약 14%의 유량이 증가하였다. Dicarboxylic acid는 유성분 및 MUN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항생제 대체제로서 Dicarboxylic acid 첨가는 반추위 내 발효환경을 안정화하여 건물소화율을 향상시키고 착유우의 유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 발효 흑초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Efficacy of Fermented Dark Vinegar from Unpolished Rice)

  • 최학준;곽경자;최다빈;박재영;정현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7-104
    • /
    • 2015
  • 식초는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조미료로 밀, 과일, 곡물 등을 원료로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지금까지 식초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항산화활성에 한정된 연구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를 이용하여 만든 현미 발효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현미발효식초의 항균활성은 paper disc-agar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 때, 병원성 박테리아와 효모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enterocolitica, and Lodderomyces elongisporus의 균주에 대해서는 상용되는 항생제인 카베니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대표되는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빅 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미발효흑초의 발효중에 나타나는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TSB 고체배지와 YPD 고체배지에 현미발효흑초를 도포하였을 때, 분리된 콜로니를 16S rDNA sequence 분석을 통하여, FDVS-1, 2, 3 세가지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phylogenic tree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을 때, 각각 Acetobacter papayae, Acetobacter pasteuranus, Acetobacter peroxidans와 유사하였다.

이유자돈사료에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한 재조합 인간 락토페리신 컬처의 평가 (Evaluation of Recombinant Human Lactoferricin Culture as a Substitute for Antibiotic in Pig Starter Diets)

  • 홍종욱;김인호;황일환;이지훈;김지훈;권오석;이상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37-542
    • /
    • 2003
  • 개시시 체중 7.63, 0.41kg, 3원 교잡종 이유자돈(25일령) 60두를 공시하여, 이유자돈 사료내 재조합 인간 락토페리신 컬처(RHLC ; recombinant human lactoferricin culture)의 급여가 성장, 영양소 소화율 및 혈장내 면역글로블린 G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항생제 무첨가구(NC), 2) 항생제 첨가구(PC; NC 사료 + 0.1% chlortetracycline), 3) 항생제 무첨가구 사료에 RHLC를 0.3% 첨가한 처리구 (RHLC0.3; NC 사료 + 0.3% RHLC), 4) 항생제 무첨가구 사료에 RHLC를 0.5% 첨가한 처리구 (RHLC0.5; NC 사료 + 0.5% RHLC)로 4개 처리로 하였다. 총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하여 RHLC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표준오차가 크기 때문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RHLC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RHLC0.5 처리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PC, RHLC0.3 및 RHLC0.5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P<0.05), 혈장내 면역글로블린 G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유자돈에 있어 재조합 인간 락토페린신 컬처가 항생제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