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5초

Outcome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second complete remission: a single institution study

  • Lee, Eun-Jung;Han, Ji-Yoon;Lee, Jae-Wook;Jang, Pil-Sang;Chung, Nack-Gyun;Jeong, Dae-Chul;Cho, Bin;Kim, Hack-K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3호
    • /
    • pp.100-106
    • /
    • 2012
  • Purpose: The survival rate for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has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overall prognosis for the 20 to 25% of patients who relapse is poor,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offers the best chance for cu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significant prognostic variables by analyzing the outcomes of allogeneic HSCT in ALL patients in second complete remission (CR). Methods: Fifty-three ALL patients (42 men, 79%) who received HSCT in second CR from August 1991 to February 2009 were included (26 sibling donor HSCTs, 49%; 42 bone marrow transplantations, 79%). Study endpoints included cumulative incidence of acute an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relapse, 1-year transplant-related mortality (TRM),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Cumulative incidences of acute GVHD (grade 2 or above) and chronic GVHD were 45.3% and 28.5%, respectively. The estimated 5-year DFS and OS for the cohort was $45.2{\pm}6.8%$ and $48.3{\pm}7%$, respectively. Only donor type, i.e., sibling versus unrelat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FS in multivariate analysis ($p$=0.010). The rates of relapse and 1 year TRM were $28.9{\pm}6.4%$ and $26.4{\pm}6.1%$, respectively, and unrelated donor HSCT ($p$=0.002) and HLA mismatch ($p$=0.022)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d TRM in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ingle institution study spanning more than 17 years, sibling donor HSCT was the only factor predicting a favorable result in multivariate analysis, possibly due to increased TRM resulting from unrelated donor HSCT.

Pumpless extracorporeal interventional lung assist for bronchiolitis obliterans after allogen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acute lymphocytic leukemia

  • Park, Yeon-Hee;Chung, Chae-Uk;Choi, Jae-Woo;Jung, Sang-Ok;Jung, Sung-Soo;Lee, Jeong-Eun;Kim, Ju-Ock;Moon, Jae-You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98-101
    • /
    • 2015
  • Bronchiolitis obliterans (BO), which is associated with graft-versus-host disease after allogen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a major obstacle to survival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due to its gradual progress, eventually leading to respiratory failure. Pumpless extracorporeal interventional lung assist (iLA) is effective in treatment of reversible hypercapnic respiratory failure. In this paper, we present a 23-year-old female patient who underwent allogene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for acute lymphocytic leukemia. After 6 months, she complained of shortness of breath and was diagnosed with BO. Five months later, she developed an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that worsened her BO and caused life-threatening hypercapnia. Since mechanical ventilation failed to eliminate $CO_2$ effectively, iLA was applied as rescue therapy. Her hypercapnia and respiratory acidosi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within a few hours, and she was successfully weaned off iLA after 12 days.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iLA application for temporarily aggravated hypercapnia of PBSCT-associated BO followed by successful weaning. This rescue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n ventilator-refractory reversible hypercapnia in BO patients.

연소형 골수단구성 백혈병에서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 유건희;유동길;이수현;성기웅;조은주;구홍회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78-185
    • /
    • 2005
  • 목 적 : JMML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종류의 백혈병으로서 통상적인 항암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워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본 질환의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에 대한 보고가 없어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경험한 JMML 환자의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 법 : 8개월에서 39개월 된 11명의 JMML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을 시행하였다. 조혈 모세포의 공급원으로 비혈연 골수 혹은 제대혈 7례, HLA 일치 형제 공여자 3례, HLA 1 항원 불일치 가족 공여자 1례 등을 이용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이식 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고 일부 환자에게는 13-cis-retinoic acid(CRA)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총 11례 중 3례만이 이식 전 치료로 혈액학적 및 임상적 완전관해에 도달하였다. 이식 후 1개월째 첫 키메리즘 평가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 5례, 혼합 키메리즘 5례, 자가회복 1례였다. 혼합 키메리즘 상태에서 비장종대가 해소되지 않았던 1례에서 면역억제제의 급속 감량과 함께 CRA를 지속적으로 투여한 결과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으로의 전환과 함께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자가회복 되었던 1례는 이식 후 조기 재발하였으나 복합 항암화학요법과 CRA의 투여로 이차 완전관해가 유도되었다. 결과적으로 11례 중 6례가 이식 후 정중 추적기간 15.5개월간 무사건 생존 중이다. 사망한 3례는 모두 완전 공여자 키메리즘에 실패하였던 경우들로서 질병의 재발 혹은 진행이 사망의 원인이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JMML의 근치에는 동종 조혈 모세포 이식 후 이식편대 백혈병 효과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CRA도 긍정적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식 후에도 완전관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혼합 키메리즘 양상을 보이는 경우, 면역 억제제를 조기 감량하는 정책과 함께 CRA를 도입함으로써 완치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아 조혈모세포이식 후 단기간 갑상선 기능의 변화 (Short-term follow up of thyroid function after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선주;이재욱;이대형;권영주;박영실;황희승;김선영;박지경;장필상;정민호;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211-1215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에 갑상선 기능의 단기간 변화와 갑상선기능이상의 빈도와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소아과,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조혈모세포이식 전과 이식 후 1개월, 6개월, 12개월에 환자들의 혈청에서 TSH, T4, T3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조혈모세포이식을 하고 1개월 후의 갑상선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고 있었다(P<0.001). 1개월 후 갑상선 기능이상의 빈도는 80명중 43명(54%)에서 보였으며 이들 중 31명(39%)은 ETS를 보이고 있었다. 이식 후 일년 이내 갑상선 기능은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단변량 분석에 의하면 악성 질환인 경우(P=0.04)와 2도 이상의 급성 이식편대 숙주병(P=0.01)이 ETS의 위험인자였으나(P=0.04), 다변량 분석에 의하면 ETS 발생에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P=0.19, 0.06). 결 론 : 조혈모세포이식 후 갑상선 기능이상은 초기에 높은 빈도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식 후에는 갑상선 기능의 지속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다.

소아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주조직적합항원 일치 부모자식간 조혈모세포 이식 후 임상경과 (Clinical outcome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rom HLA-matched parental donor in childhood acute leukemia)

  • 차은영;이문희;이재욱;권영주;이대형;박영실;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67-72
    • /
    • 2008
  • 목 적 : 본 연구는 HLA가 일치하는 부모로부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소아의 이식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4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급성 백혈병으로 1차 관해 후 HLA가 일치된 부모로부터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아 7명(급성 림프모구성백혈병 4명, 급성 골수성백혈병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 시 중앙연령은 5세(범위, 1-11세; 남아 2명, 여아 5명), 공여자의 중앙연령은 35세(범위, 30-41세; 남자 5명, 여자 2명)이었다. 이식 후 대상 환아의 생착, 급성이식편대숙주병, 만성이식편대숙주병, 이식관련 사망, 재발, 이식관련 합병증과 생존율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이식부터 마지막 추적관찰까지 중앙기간이 69.5개월(범위, 18.8-96.5개월)이었다. 이식을 받은 7명의 환아들은 모두 생착이 되었고 호중구와 혈소판의 생착은 이식 후 각각 11일(범위, 10-16일)과 26일(범위, 13-39일)이었다. Grade II의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은 3명(43%), grade III의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은 1명(14%)에서 발생하였다. 광범위 만성이식편대숙주병은 2명(28%), 제한적 만성이식편대숙주병은 1명(14%)에서 발생하였다. 이식 후 재발은 1명(14%)이었고 이식관련 사망은 1명(14%)이었다. 대상 환아의 이식 후 5년 전체 생존율은 $83{\pm}15%$이었다. 결 론 : 소아 급성 백혈병에서 HLA가 일치하는 부모자식간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결과는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의 결과와 비견할 수 있으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 필요한 환아에서 형제뿐만이 아니라 부모의 HLA를 검사하면 조혈모세포 공여자 선정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에 미치는 전처치요법 강도의 영향과 관련위험인자 분석 (Effect of Conditioning Regimen Intensity on Cytomegalovirus Infec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nalysis in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혜민;허윤정;임현정;정선영;인용원;정철원;이영미;손기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0
    • /
    • 2012
  •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감염은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용량감소전처치(Reduced-intensity conditioning; RIC)를 이용한 조혈모세포이식은 골수억제전처치(Myeloablative conditioning; MAC)에 비해 골수억제 및 면역억제가 적으므로 CMV 감염 발생율을 감소시킬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예방적 면역억제요법, T세포 제거 약제의 사용 등으로 서로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2007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총 141명의 환자(MAC 113명, RIC 28명)가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았으며, CMV 감염은 MAC 62.8%, RIC 57.1% (p = 0.310), CMV 질환은 각각 12.4%, 14.3% (p = 0.785)에서 발생하였다. CMV 감염/질환 발생빈도와 CMV 항원 혈증검사 지속기간, 초기/최고치, 생존율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MV 감염 위험인자에 대한 다변량분석 결과, 환자가 고령일수록(HR 1.024, 95% CI 1.002-1.045; p = 0.031) 또는 grade 2 이상의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이 발생한 경우에(HR 1.849, 95% CI 1.031-3.315; p=0.039) CMV 감염 발생 위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전처치요법 강도에 따른 CMV 감염의 발생빈도와 발현양상의 차이는 없었으나, 고령이거나 grade 2 이상의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CMV 감염 발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비춰 봐서 CMV 질환이 대부분 이식 100일 이후에 발생한 점을 고려할 때, 이식 후 CMV 감염 발생 시 ganciclovir 선제요법과 함께 이들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inetics of IFN-${\gamma}$ and IL-17 Production by CD4 and CD8 T Cells during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 Ju, Ji-Min;Lee, Hakmo;Oh, Keunhee;Lee, Dong-Sup;Choi, Eun Young
    • IMMUNE NETWORK
    • /
    • 제14권2호
    • /
    • pp.89-99
    • /
    • 2014
  •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is a fatal complication that occurs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CD4 and CD8 T cell production of IFN-${\gamma}$ and IL-17 during GVHD progression, we established a GVHD model by transplanting T cell-depleted bone marrow (TCD-BM) and purified T cells from B6 mice into irradiated BALB.B, creating an MHC-matched but minor histocompatibility (H) antigen-mismatched transplantation (B6 ${\rightarrow}$ BALB.B GVHD). Transplantation-induced GVHD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the appropriate compositional changes in the T cell compartments and innate immune cells in the blood and the systemic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Using this B6 ${\rightarrow}$ BALB.B GVHD model, we showed that the production of IFN-${\gamma}$ and IL-17 by CD4 T cells preceded that by CD8 T cells in the spleen, mesenteric lymph node, liver, and lung in the BALB.B GVHD host, and Th1 differentiation predated Th17 differentiation in all organs during GVHD progression. Such changes in cytokine production were based on changes in cytokine gene expression by the T cells at different time points during GVHD develop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th IFN-${\gamma}$ and IL-17 are produced by CD4 and CD8 T cells but with different kinetics during GVHD progression.

The treatment of pediatric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in the imatinib era

  • Lee, Jae-Wook;Chung, Nack-G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3호
    • /
    • pp.111-116
    • /
    • 2011
  • Childhood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is a rare hematologic disease, with limited literature on the methods of treatment. Previously,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was considered the only curative treatment for this disease. Treatment with imatinib, a selective inhibitor of the BCR-ABL tyrosine kinase (TKI), has resulted in prolonged molecular response with limited drug toxicity. Imatinib is now implemented in the primary treatment regimen for children, but the paucity of evidence on its ability to result in permanent cure and the potential complications that may arise from long-term treatment with TKIs have prevented imatinib from superseding HSCT as the primary means of curative treatment in children. The results of allogeneic HSCT in children with CML a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adults; HSCT-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transplant-related mortality and graft-versus-host disease remain significant challenges. An overall consensus has been formed with regards to the need for HSCT in patients with imatinib resistance or those with advanced-phase disease. However, issues such as when to undertake HSCT in chronic-phase CML patients or how best to treat patients who have relapsed after HSCT are still controversial. The imatinib era calls for a reevaluation of the role of HSCT in the treatment of CML. Specific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ediatric CML have not yet been formulated,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prospective studies on issues such as duration of imatinib treatment, optimal timing of HSCT and the type of conditioning utilized, possible treatment pre-and post-HSCT, and the role of second-generation TKIs.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편대숙주병 (Distribution of CD4+CD25+ T cells and graft-versus-host disease in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대형;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36-1341
    • /
    • 2008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 공여자의 이식편과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에서 $CD4^+CD25^+$ T 세포 분획의 분포를 알아보고 급성 이식편대숙주병(GVHD)과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17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받은 환자의 이식 후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검체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하였다. 공여자의 이식편과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과 절대 세포수를 알아보았다. 결 과: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 세포의 분획은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에서 각각 0.90%, 1.06%이었으며 차이가 없었다(P=0.62).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절대수는 급성 GVHD 발생군과 비발생군이 각각 $6.18{\times}10^5/kg$$25.85{\times}10^5/kg$으로 급성 GVHD 비발생군이 발생군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9). 급성 GVHD 비발생군의 말초혈액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에 2.11%, 3개월에 1.4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28), 급성 GVHD 발생군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는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각각 2.47%와 2.3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0). 결 론: 본 실험을 통하여 저자들은 공여자의 이식편 내 $CD4^+CD25^+$ T세포의 분포와 이식 후 환자의 급성 GVHD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은 검증할 수 없었으며 이식 후 환자의 말초혈액 내 $CD4^+CD25^+$ T 세포에는 조절 T세포보다 GVHD와 연관된 활성화된 T세포의 분획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되나 추가적인 조절 T세포의 표지자를 이용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Pre-conditioning dose on the Immune Kinetics and Cytokine Production in the Leukocytes Infiltrating GVHD Tissues after MHC-matched Transplantation

  • Choi, Jung-Hwa;Yoon, Hye-Won;Min, Chang-Ki;Choi, Eun-Young
    • IMMUNE NETWORK
    • /
    • 제11권1호
    • /
    • pp.68-78
    • /
    • 2011
  • Background: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is a huddle for succes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this study, effects of irradiation dose on immune kinetics of GVHD were investigated using B6 ${\rightarrow}$ BALB.B system, a mouse model for GVHD after MHC-matched allogeneic transplantation. Methods: BALB.B mice were transplanted with bone marrow and spleen cells from C57BL/6 mice after irradiation with different doses. Leukocytes residing in the peripheral blood and target organs were collected periodically from the GVHD hosts for analysis of chimerism formation and immune kinetics along the GVHD development via flow cytometry. Myeloid cells were tested for production of IL-17 via flow cytometry. Results: Pre-conditioning of BALB.B hosts with 900 cGy and 400 cGy resulted in different chimerism of leukocytes from the blood and affected survival of GVHD hosts. Profiles of leukocytes infiltrating GVHD target organs, rather than profiles of peripheral blood leukocytes (PBL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rradiation dose. Proportions of IL-17 producing cells in the infiltrating $Gr-1^+$ or $Mac-1^+$ cells were higher in the GVHD hosts with high does irradiation than those with low dose irradiation. Conclusion: Pre-conditioning dose affected tissue infiltration of leukocytes and cytokine production by myeloid cells in the target org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