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sativum L.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19초

마늘 (Allium sativum L.)의 생리조절 기능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고찰 (Consider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Garlic, Allium sativum L.)

  • 장현세;홍경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1-197
    • /
    • 1998
  • Garlic is an important condimental vegetable which has many minerals and numerous organic sulfur compounds. Owing to these components, garlic has many medicin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n human health. It can lower sect lipid levels and reduce the severity of cholesterol-induced atherosclerosis. And it appeals to protect against mutagenic and carcinogenic effects. Today's our eating habit is concentrated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 floods rather than their taste or mutagenic. To improve garlic's value as a flood or a vegetable, further scientific researches about its volatile and nonvolatile sulfur compounds through the biochemical approach are needed. In addition to that, both areas that the development of garlic-processed goods and utilization of garlic as materials for medicine must be actively studied.

  • PDF

마늘(Allium sativum L.)의 생화학적 변화에 대한 저장 및 유통조건의 영향 (Effect of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on Biochemical Property Chang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최선태;장규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17
    • /
    • 1998
  • Biochemical property changes of garlic during various storages and marketing after storage were investigated. Content of enzymatic pyruvic acid increased by room and low temperature storage but decreased by CA and MA storage. Fructan contents decreased rapidly by low temperature storage, but restrained decrement by CA and MA storage. Free sugar increased during storage, but did slowly by room temperature storage. Green pigment development was observed when garlics stored for 90days at low temperature were processed into crushed form. This discoloration was small for garlics stored in CA and MA, and never occurred for room temperature stored garlics. When marketed after storage, content of enzymatic pyruvic acid decreased in garlic stored in room and low temperature storage, but increased in garlics which decreased during CA and MA storage. Fructan contents deceased but free sugar content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marketing period. Green pigment development decreased in crushed garlic after 30days at room temperature marketing, but increased in low temperature marketing with marketing time progress.

  • PDF

마늘의 열풍건조 특성 (The Convective Drying Characteristics of garlic(Allium sativum L.))

  • 정신교;강준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5-161
    • /
    • 1995
  • We examined the drying characteristics and the drying rate model equation of garlic(allium sativum L.) using computer aided convective drying. The drying chanacteristic curve of garlic divided into constant rate drying period and 2 stage of falling rate drying period. The drying rate was fairly affected by hot air temperatures during the total drying period, but air flow rates has nearly no effect on the drying rate except initial drying period. Of the several model equation, r2 values of page model equ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estimated drying profiles were comparatively coincided with the observed drying profiles. Page model equation was suitable to predict the drying rate and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of sliced garlic.

  • PDF

Multiple Shoots Regeneration and In vitro Bulblet Formation from Garlic Callus

  • Kim Soon-Seob;Guo De-Ping;Jung Do-Cheol;Kwon Soon-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95-99
    • /
    • 2003
  • The leaf seg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ere cultured in vitro and determined optimal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sugars for callus induction, multiple shoots regeneration and in vitro bulblet formation. Highest yield of callus was observed in the leaf segment culture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2,4-D, 30 g/L sucrose and 8 g/L agar. Regeneration rate of multiple shoots from callus was high i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kinetin 3.0 + NAA 3.0 mg/L or SA 1.0 + NAA 3.0 mg/L, containing 30 g/L sucrose. High rate of bulblet formation was observed as the concentration of jasmonic acid increased from 0.5 to 2.0 mg/L in medium, whereas addition of gibberellic acid significantly suppressed bulblet formation. The rate of in vitro bulbing was as high as $96\%$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jasmonic acid and 120 g/l sucrose after two month culture at $25{\pm}1^{\circ}C$ under 16 hours day light.

한지형 마늘 '의성'의 온도구배하우스내 온도상승에 따른 생육 및 생리장해 조사 (Investigation of Physiological and Yield Responses to Temperature Increases in Northern-ecotype Garlic (Allium sativum L. ) 'Uiseong' in Temperature Gradient Tunnels)

  • 김병혁;최민선;김천환;신민지;이성은;문경환;한현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6-283
    • /
    • 2023
  • 마늘(Allium sativum L.)은 한국과 많은 나라에서 다양한 음식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채소 중 하나이다. 마늘 재배시 재배온도, 습도, 최저온도기간 및 광주기 등에 의해 생육이 달라진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재배온도 상승이 한지형 마늘 '의성'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위해 온도구배하우스에서 생육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재배온도의 상승은 마늘의 인경지름, 인경무게 및 인편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재배온도 상승은 한지형 마늘 '의성'의 불완전 추대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불완전 추대로 인한 마늘의 생산성 감소와 상품성 있는 마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어, 온도 상승은 마늘의 인경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배온도 상승에 따른 한지형 마늘 '의성'의 생육을 이해하고, 작물모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온난화에 따른 재배온도 상승과 마늘의 성장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llium속 식용식물의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 지질 및 무기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lium Vegetable Intake on Levels of Plasma Glucose, Lipid and Minera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안영미;임숙자;한혜경;최성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5호
    • /
    • pp.433-443
    • /
    • 2006
  • 한국산 식용 및 약용식물의 항당뇨 효과 탐색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Allium속 식물 중 식품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5가지 양파, 파, 마늘, 부추 및 산마늘을 냉동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첨가한 식이를 STZ로 유발시킨 당뇨 흰쥐에게 28일간 섭취시킨 후 혈장 포도당, 지질 함량 및 간장내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Z에 의한 당뇨유발로 당뇨대조군의 체중은 감소하였으나 당뇨실험군의 체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마늘섭취군에서는 유의적인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다. 식이이용효율에서도 당뇨대조군은 다식현상으로 식이섭취량은 체중증가량이 적어 음 (-)의 식이효율을 나타내었고 양파섭취군과 마늘섭취군 및 부추섭취군은 유의적으로 높은 식이효율을 보였다. 2) 장기의 무게는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에 비해 마늘섭취군의 신장 무게가 유의적으로 낮아 신장 비대를 엊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장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ST 활성도는 실험군간에 유의성이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ALT 활성도는 마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3) 당뇨대조군은 고혈당이 지속된 반면 마늘섭취군의 혈당은 실험 1주째부터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여 혈당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추섭취군도 실험 4주째에는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혈당을 나타내었다. 간장 글리코겐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모든 당뇨유발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당뇨대조군에 비해 Allium속 식물의 섭취는 모두 높은 수치를 보이었다. 4) 혈장 내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각 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며 폐의 MDA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양파섭취군, 마늘섭취군, 부추섭취군과 산마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Allium속 식물 중 마늘과 부추는 고혈당의 수준을 저하시키거나 억제시켜 혈당을 개선할 수 있으며 부추와 산마늘섭취가 혈당저하에는 관련되지 않았으나 조직의 과산화지질 감소에는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당뇨병의 주요증세가 고혈당 그리고 다식임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체중감소를 보인다는 점에서 본 실험결과는 Allium속 식물을 당뇨동물에게 급여함으로써 체중저하를 방지하고 당대사를 개선함으로써 당뇨병의 증세가 어느 정도 호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llium속 식물이라도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에 따라 다른 생리적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그 생리활성성분을 고려한 적절한 섭취는 그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각 성분에 대한 생리 활성에 대해서는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그 자체로서 항산화 작용에 관여하거나 다양한 체내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영향을 받는 Cr, Zn, Fe 및 Mn과 같은 미량 원소들의 체내 반응 기작에 관해서는 앞으로 좀더 연구해야 할 과제라고 사료된다.

고온고압처리에 따른 마늘(Allium sativum L.)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 권오찬;우관식;김태명;김대중;홍진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1-336
    • /
    • 2006
  • 고온고압처리 조건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유용성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처리온도(110, 120, 130, 140 및 $150^{\circ}C$)와 시간(1, 2, 3, 4 및 5 시간)을 변수로 처리한 후 DPPH assay에 항산화활성$(IC_{50})$,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5-HMF를 측정하였고 이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마늘은 항산화활성$(IC_{50})$은 고온고압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50^{\circ}C$, 4시간 처리구에서 1.95 mg/g으로 가장 낮아 생마늘에 비해 약 50배 이상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고온고압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40^{\circ}C$, 2시간에서 $18.16{\pm}0.51\;mg/g$으로 생마늘에 비해 약 7배정도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고온고압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50^{\circ}C$, 1시간에서 $532.73{\pm}18.79\;{\mu}g/g$으로 생마늘보다 약 16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5-HMF 함량은 110 및 $120^{\circ}C$에서는 변화가 작았지만 $130^{\circ}C$에서는 고온고압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150^{\circ}C$, 2시간에서 $7,765.9{\pm}359.6\;ppm$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통계분석 결과 고온고압처리온도와 시간이 항산화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5-HMF 함량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며(p<0.001), 처리 시간보다 온도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5-HMF 함량 간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p<0.01).

마늘의 유기유황성분과 생리활성 (Organosulfur Compounds from Allium sativum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 권순경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1호
    • /
    • pp.8-32
    • /
    • 2003
  • Garlic(Allium sativum L.) is one of the oldest cultivated plants and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world as food supplement and folk medicine for thousands of years. In modem times a number of garlic derived products are introduced on the market as health food supplement in ever growing scale. In 1844 German chemist Wertheim investigated the garlic first time chemically and thereafter many kinds of organosulfur compounds were isolated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were elucidated scientifically. The main biological activities are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thrombotic, cholesterol-lowering, antineoplastic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Chemical works as well as therapeutic and preventive effects of garlic are reviewed.

농산 폐기물인 Allium속 뿌리를 이용한 Ni와 Pb 이온 제거 (Removal of Ni and Pb Ion from Aqueous Solution by the Agricultural Wastes, Allium Roots)

  • 김성호;백승화;김운성;문광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95-599
    • /
    • 1998
  • A batch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moval capacity of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shallot (Allium ascalonicum L.), garlic (Allium sativum L.) roots as an adsorbent for Ni and Pb in aqueous solution. One gram of the dried Allium root powder was reacted in 100ml of solution containing 10mg of each heavy metal and effects of metal concentration, pH, temperature, and size of adsorbent on the removal efficiency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amount of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were higher with the smaller particles size of adsorbent. Garlic root was high adsorption capacity of Pb, especially. The higher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solution was, the more amount of adsorption of heavy metals was. The adsorption ratio was differed from a kind of heavy metal.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amount of adsorption of Ni and Pb by shallot and welsh onion were decreased. The amount of adsorption of Ni was high under alkali conditions but the amount of adsorption of Pb was high under neutral and acidity condition.

  • PDF

통마늘 세척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shing System for Garlic Bulbs)

  • 김종훈;권기현;이충호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302
    • /
    • 2003
  • 마늘(Allium sativum L.)은 독특한 풍미로 옛날부터 우리 식생활에 중요한 향신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마늘은 백합과(Lil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서 우리나라 채소류 중 재배면적으로 볼 때 배추, 무, 고추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주요 작물이며, 최근 여러 가지 약리작용과 항균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밝혀지면서 생리활성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