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ergy symptoms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2초

알레르기 화분의 특성과 최근 소아에서 잡초류 화분의 감작률 증가 (Characteristics of allergic pollens and the recent increase of sensitization rate to weed pollen in childhood in Korea)

  • 오재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355-361
    • /
    • 2008
  • Pollen is very important causing factor for allergy such as allergic rhinitis, allergic conjunctivitis, and asthma, and pollen allergy has a remarkable clinical impact all over Korea. The main pollination period covers about half the year, from spring to autumn, and the distribution of airborne pollen taxa of allergological interest is related to pollen season dynamics.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s (KAPARD) has evaluated the pollen characteristics and nationwide pollen count for over 10 years since 1997.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from nationwide 8 stations (Seoul, Guri, Cheongju,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s-Burkard sampler (Burkard Manufacturing Co Ltd, Hertfordshire, UK) in South Korea (July 1, 1997-June 30, 2007).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the meteorological factors daily. Tree pollen is a major airborne allergen in spring, grass is most common in summer, and weed pollen is major pollen in autumn in Korea. There has two peak seasons for pollen allergy, as summer and autumn. There is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n Korea has been on the increase in the past decade. However, recent findings of the phase I and II studies of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study showed the absence of increases or little changes in prevalence of asthma symptoms and diagnosis rates in Korea, whereas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were increased. We reported the evidence that sensitization rate to weed pollen has been increased yearly since 1997 in childhood. Climate change and air pollution must be the major causing factors for the increase of pollen counts and sensitization rate to pollen. Climate change makes the plants earlier pollination and persisting pollination longer. In conclusion, data on pollen count and structure in the last few years, the pathogenetic role of polle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ollen and air pollutants with climate change gave new insights into the mechanism of respiratory allergic diseases in Korea.

우방자(牛蒡子)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 (Effects of Arctium lappa Linne on the DNFB-induced allergic dermatitis)

  • 김계은;정승기;정희재;장형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1-211
    • /
    • 2010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severe pruritis, erythema, edema, effusion and scab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ffects of Arctium lappa Linne, which is well known for its efficacy for various skin diseases, on atopic dermatitis Methods : We conducted this experiment using the DNFB-induced NC/Nga mice. After two weeks of applying DNFB to NC/Nga mice, sever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occurred. We divided the mice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 control group which was given no treatment at all, a group treated with dexamethasone (1mg/kg), and another group treated with Arctium lappa Linne (300mg/kg). After one week of treatment, results were recorded according to their improvement on skin, itching behavior, IL-4, and INF-$\gamma$ measurement, which is a significant criterion for diagnosing atopic dermatitis. Results : Itch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rctium lappa Linne group. However Arctium lappa Linne failed to reduce IL-4 and INF-$\gamma$ count. Also there was no satisfying improvement on AD-like skin lesions on the rostral back of the NC/Nga mice treated with Arctium lappa Linne. Conclusions : Arctium lappa Linne showed improvement in itching behavior in NC/Nga mice induced by DNFB. Arctium lappa Linne showed neither significant improvement on skin lesions nor in IL-4 and INF-$\gamma$ measurement.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Pattern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Allergy)

  • 양승혜;김은진;김영남;성기승;김성수;한찬규;이복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6호
    • /
    • pp.523-535
    • /
    • 2009
  • 본 연구는 알레르기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식품 알레르기 빈도 및 그 원인 식품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령의 알레르기 환자 62명과 정상인 69명을 대상으로 2008년 8$\sim$9월 2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조사항목으로는 일반사항,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생활습관, 식습관 및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 조사 결과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가정의 한 달 평균 수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애완동물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p < 0.05),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식물을 더 많이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2) 알레르기 환자의 알레르기 질환양상에 대한 조사결과, 복합적인 증상과 두개 이상의 알레르기를 경험한 환자가 많았고, 알레르기 유발 요인으로는 집먼지 진드기와 식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과는 상관없이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가 많았다. 또한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많았으며 (66.1%), 최선의 예방방법은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환자가 가장 많았다 (45.2%). 3) 생활습관 조사결과, 운동 빈도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음주 빈도는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1). 4) 식습관은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결식의 비율이 높고, 간식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5)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 보다 계란 (p < 0.05), 돼지고기 (p < 0.001), 호두 (p < 0.05), 양파 (p < 0.05), 참치 (p < 0.05), 조개류 (p < 0.05), 키위 (p < 0.05), 인스턴트식품 (p < 0.05)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Allerg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Allergic Rhinitis

  • Song, Mi Ryeong;Park, Joon Soo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64-27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ymptoms of allergic rhiniti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ssess their quality of life (QOL)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llergic rhiniti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in May, 2012 in a university school health cen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for the symptom types and QOL among 131 university students with allergic rhinitis.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QOL according to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Results: Symptoms were reported in the following order: nasal obstruction, rhinorrhea, sneezing, and nasal itching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QOL of the participants was 2.24 (5 point). Nasal symptoms such as rhinorrhea (M=3.16) and nasal obstruction (M=3.12) had the highest score and affected QOL badly in the item analysis. QOL differ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history, skin test reaction, some symptoms and allergens. Conclusion: To establish an effective management program for increasing QOL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allergic rhinitis, symptom management methods for nasal obstruction and rhinorrhea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gram.

왕겨초액의 추출물에 의한 아토피 완화 효과 비교 (Analysis of Anti-Allergic Activities by Chaff Vinegar Liquor)

  • 이상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60-963
    • /
    • 2010
  • 왕겨를 증류하여 생성된 왕겨초 증류액을 이용하여 접촉성 피부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왕겨초 증류액(2%)에 자소옆을 첨가한 샘플은 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질환 동물모델에서 피부상피조직의 비후정도를 약 20%정도의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이는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왕겨초 증류액은 아토피 완화 효과를 가지므로 이들의 적합한 조건을 확립한다면 향장소재 또는 이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만성 기침에서 스테로이드 흡입제의 역할 (The Role of Inhaled Corticosteroid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Cough)

  • 이경훈;장승훈;이정화;엄광석;반준우;김동규;신태림;박상면;이명구;김철홍;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221-227
    • /
    • 2006
  • 연구배경 : 만성 기침은 정밀 검사를 추가하여도 진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확진은 특이적 치료에 반응할 때에만 가능하다. 스테로이드는 비특이적 항염증 작용을 가지므로 만성 기침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 진단에 대한 진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만성 기침에 대한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3주 이상의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 내원하였을 때 객담 호산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 부비동 방사선촬영 등의 기본적인 객관적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budesonide turbuhaler $800{\mu}g/day$를 10일간 투여하고 추적 방문토록 하였다. 추적 방문일에 환자 증상의 개선도에 따라 흡입 스테로이드 반응군과 불응군으로 분류하였고 검사의 진단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각 진단에 따른 스테로이드 반응률을 알아보았다. 결 과 : 총 69명의 만성 기침 환자가 최종 분석되었고, 흡입 스테로이드의 투여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79.7%였다. 진단된 질환에 따른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은 차이가 없었다. 투여 기간 동안 부작용은 거의 관찰되지 않아서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다. 결 론 : 만성 기침 환자를 진료할 때 기본 검사를 시행하는 동시에 흡입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투여하는 것은 매우 안전하며, 검사의 진단적 한계를 극복하고 초기에 진료 지침을 세우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식품알레르기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과 영향요인 (Parental burden of food-allergic children's parents and influencing factors)

  • 이은선;김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40-152
    • /
    • 2018
  • 식품알레르기는 알레르기 행진의 시작 단계로 원인 식품의 섭취 제한으로 인하여 성장기 아동의 영양 불균형과 아동을 비롯한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세 이상의 영유아 및 학령기 식품알레르기 아동의 주양육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양육부담을 정량화하여 자녀의 식품알레르기가 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품알레르기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은 정서적 고충, 일상생활 제약에 대한 2개의 하부 요인으로 세분화되며, 자녀의 연령 증가, 섭취 제한 식품의 수, 일부 알레르기질환 진단 여부가 양육부담의 감소 및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식품알레르기 아동은 식품알레르기가 다른 알레르기질환으로 이행되지 않도록 전문 의료진에 의한 진단과 증상관리가 필수적이며, 환아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에 대한 주변의 지지와 간호 중재가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성장기의 식품알레르기 아동은 식품 항원에 대한 식품경구유발시험 등의 정확한 임상 진단을 통해 필수 영양소를 포함한 식품의 과도한 섭취 제한을 방지해야 한다. 지역사회와 의료기관은 식품알레르기의 예방 및 증상완화를 위한 맞춤형 영양교육, 대체 식품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현실적 지원과 정서적 지지를 병행해야 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통해 식품알레르기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양육부담 대처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Effect of the anti-IL-17 antibody on allergic inflammation in an obesity-related asthma model

  • Liang, Lin;Hur, Jung;Kang, Ji Young;Rhee, Chin Kook;Kim, Young Kyoon;Lee, Sook Young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3권6호
    • /
    • pp.1210-1223
    • /
    • 2018
  • Background/Aims: The co-occurrence of obesity aggravates asthma symptoms. Diet-induced obesity increases helper T cell (TH) 17 cell differentiation in adipose tissue and the spleen. The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inhibitor pravastatin can potentially be used to treat asthma in obese patients by inhibiting interleukin 17 (IL-17) expre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bined effects of pravastatin and anti-IL-17 antibody treatment on allergic inflammation in a mouse model of obesity-related asthma. Methods: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was induced in C57BL/6 mice with or without ovalbumin (OVA) sensitization and challenge. Mice were administered the anti-IL-17 antibody, pravastatin, or both, and patho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HFD exacerbated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HFD-OVA mice as compared to OVA mice. Blockading of the IL-17 in the HFD-OVA mice decreas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and airway inflammation compared to the HFD-OVA mice. Moreover, the administration of the anti-IL-17 antibody decreased the leptin/adiponectin ratio in the HFD-OVA but not the OVA mice. Co-administration of pravastatin and anti-IL-17 inhibited airway inflammation and AHR, decreased goblet cell numbers, and increased adipokine levels in obese asthmatic mi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L-17-leptin/adiponectin axis plays a key role in airway inflammation in obesity-related asthma. Our findings suggest a potential new treatment for IL-17 as a target that may benefit obesity-related asthma patients who respond poorly to typical asthma medications.

Phenotypes and endotypes of severe asthma in children

  • Yoo, 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5호
    • /
    • pp.191-195
    • /
    • 2013
  • Severe childhood asthma is a complicated and heterogeneous disorder with distinct phenotypes. Children with severe asthma have more persistent symptoms despite receiving treatment, more atopy, greater airway obstruction, and more air trapping than those with mild-to-moderate asthma. They also have higher morbidity and substantial airflow limitations that persist throughout adulthood. Identification of the phenotype clusters and endotypes of severe asthma can allow further modulation of the natural history of severe asthma and may provide the pathophysiologic rationale for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