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iform parenchym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인도네시아에서 수입된 Aquilaria malaccensis 의 감별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Origin Species of Aquilaria malaccensis Imported from Indonesia)

  • 김인락;박병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7-101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actual origin species imported as Aquilaria malaccensis from Indonesia. Methods : After producing the permanent preparat by cutting off the specimen thinly, we observed its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imported ones have not interxylary parenchyma, so none is in the genus aquilaria. Since the aliform parenchyma is mostly observed around the vessel pore, they are in the genus gonystylus, and the rest have no aliform parenchyma, so their specimen is unidentified. Conclusion : The imported as A. malaccensis are not in the genus aquilaria, but most of them are in the genus gonystylus and, for the rest, the specimen is unidentified.

Wood Anatomy of Mangifera indica L.(Anacardiaceae)

  • Lu, Sun;Ahmed, Sheikh Ali;Chong, Song-H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43
    • /
    • 2006
  • The wood anatomy of Mangifera indica belonging to the species of Anacardiaceae native to Bangladesh was described. The species of this family was distinctive in having growth rings, thin-to thick-walled, nonseptate libriform fibres, vessels with simple perforation plate and nonvestures intervessel pittings. Paratracheal axial parenchyma was vasicentric, lozenge-aliform and confluent. Axial parenchyma band more than 3 cells wide and in marginal or in seemingly marginal bands. 3-4 cells per axial parenchyma was dominantly present. Ray height was less than 1mm. Body ray cells were procumbent with one row of upright and square marginal cells. More than one prismatic crystals of about the same size was present in upright or square ray cells.

  • PDF

인도네시아산 주요 조림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II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Plantation Species Growing in Indonesia II)

  • 장사라;장재혁;김종호;;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35-645
    • /
    • 2014
  •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인공조림중인 8수종 목재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 모색을 위해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엽수종인 Damar와 Sumatran pine의 생장륜은 뚜렷하지 않았고 Sumatran pine은 수지구가 존재하였으나 Damar는 수지구가 관찰되지 않았다. Damar는 편백형과 삼나무형 벽공을 보였고, Sumatran pine은 창상벽공과 소나무형벽공의 분야벽공형태를 보였다. 두 수종 모두 $3,000{\mu}m$ 이하로 다소 짧은 가도관의 길이를 보였고, 방사조직은 주로 단열방사조직으로서 Sumatran pine의 경우 방추형 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활엽수 수종은 모두 산공재였고 Afrika와 Simpur Batu는 고립관공, Angsana는 집단관공, Mahoni는 2~4열의 방사복합관공, Mindi와 Trembesi에서는 2~3열의 방사복합관공과 익상유조직, 연합익상유조직이 다른 수종에 비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Afrika, Mahoni와 Simpur Batu는 평복세포와 1~2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이성방사조직이, Angsana, Mindi와 Trembesi는 평복세포로 이루어진 동성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Simpur batu는 높이 1 mm를 초과하는 3~6열의 다열 방사조직 폭을 보였으며, 이외 5개 수종은 1~3열의 방사조직 폭을 보였다. 단위면적($mm^2$)당 관공의 수는 Angsana와 Simpur Batu가 다른 수종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Simpur Batu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모든 수종의 목섬유길이는 수심부에서 수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impur Batu가 가장 긴 섬유의 길이를, Angsana와 Trembesi가 가장 짧은 섬유길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