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distillery wastewat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알콜증류폐액을 이용한 빵효모배양에서 Glucose와 Ammonium의 자동첨가에 의한 종균 : pH-stat 방법에 의한 Ammonium의 자동첨가 (Increase of Cell Concentration by the Automatic Addition of Glucose and Ammonium to an Alcohol distillery Wastewater Reutilized for Cultivating a Baker's Yeast : Automatic Addition of Ammonium with pH-stat)

  • 이형춘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34-138
    • /
    • 2000
  • 알콜증류폐액에 빵효모를 배양하는 중에 glucose와 ammo-nium을 자동첨가함으로써 폐액배양액의 균체농도를 높여서 알콜증류폐액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배양중에 glucose를 공급하여 줌으로서 공급하지 않은 경우보다 1.3배 더 높은 균체농도를 얻었으며, glucose와 (NH4)2SO4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5.8배 더 높은 균체농도를 얻었다. Glucose의 경우에는 배양액의 DO를 제어파라미터로 하는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첨가하고, ammonium의 경우에는 pH조정제로서 NH4OH을 사용함으로서 pH제어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배양하였다. 배양결과 증식의 정체없이 배양 22.5시간후에 최대 12.0 g/L의 건조균체량에 도달하였으며, 균의 최대비증식속도는 0.18 hr-1였고, 대당균체수율이 약 0.54g/gdldjTdmamfh glucose의 첨가가 경제적이라고 생각되었다. 증균배양으로 폐액배양액의 COD를 약 22%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알콜증류폐액을 이용한 빵효모배양에서 포도당, 암모늄 및 인산의 자동첨가에 의한 증균 (Increasing Cell Concentration by the Automatic Addition of Glucose, Ammonium and Phosphate in the Cultivation of a Baker′s Yeast in Alcohol Distillery Wastewater)

  • 이형춘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97-201
    • /
    • 2003
  • 알콜증류 폐액에 빵효모를 배양하는 중에 포도당, 암모늄 및 인산을 자동 첨가하여 균체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폐액의 재이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포도당은 DO를 제어파라미터로 하는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자동 첨가함으로서 그 농도를 300 mg/L 이하로 유지하였다. 암모늄은 pH-stat 방법을 사용하여 N $H_4$OH로서 자동 첨가함으로서 12.6~17.4mM의 낮은 농도범위로 유지하였다. 인산의 경우에는 분석방법으로써 ascorbic acid법을 채택한 자동화 FIA sysetm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 system으로 배양 19.4 시간 후부터 배양액을 자동분석하고 제어한 결과 배양액의 P $O_4$-P 농도를 23.3~43.4 mg/L 의 낮은 농도범위로 유지할 수 있었다. 세가지 영양성분을 자동첨가하면서 배양한 결과 증식의 정체없이 균체량을 33.0배 더 증가시킬 수 있었다. 비증식속도는 0.19 $hr^{-l}$였다.

영양물질 주입에 의한 메탄 발효 주정폐액의 효율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ed Efficiencies of Methane Fermented Alcohol Wastewater Treatment by Supplement of Nutrients)

  • 안승구;이인학;진서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49
    • /
    • 1997
  • In Korea, naked barley and tapioca are main raw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ation ethyl alcohol, and one million drums bf 95% fermentation ethyl alcohol is produced per year by use of them. Stillage of alcoholic fermentation is mostly digested by methane fermentation process, and methane gas occured if methane fermentation process is recovered and mixed with fuel to decrease 25-30% for total fuel used in factories. In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of naked barley stillage, supplement of nutrients is necessary to slove the problems caused by inhibitory materials contained if stillage and deficiency of nutrient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y the anaerobic digesters using the naked barley distillery wastewater have shown the poor digestability frequently and how to control it. As the poor digestion was supposed to be occurred by the lack of iron as trace nutrient,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optimum dosage and the way of addition of iron and to asses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type of iron in digesters. Initially, bottle test as batch digesters and lab-scaled continuous flow digesters were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igestion characteristics with tapioca and naked barley distillery wastewat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atch tests, the poor digestion was caused by volatile fatty acids and could be improved by adding of calcium. The activity of the methanogenic bacteria were increased remarkably when the iron was added to the digester in the form of mixture with substrates.

  • PDF

알콜증류폐액을 이용한 빵효모배양에서 Glucose와 Ammonium의 자동첨가에 의한 증균 : 온라인 FIA 시스템에 의한 Ammonium의 자동분석 및 제어 (Increase of Cell Concentration by the Automatic Addition of Glucose and Ammonium to an Alcohol Distillery Wastewater Reutilized for Cultivating a Baker's Yeast : Automatic Analysis and Control of Ammonium Concentration with an On-line Flow Injection Analysis System)

  • 이형춘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39-144
    • /
    • 2000
  • 알콜증류폐액에 빵효모를 배양하는 중에 glucose와 ammon-ium을 자동첨가하여 균체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폐액의 재이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Glucose는 DO를 제어파라미터로 하는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116 mg/L 이하로 자동제어하였다. Ammonium의 경우에는 FIA를 이용한 온라인 자동계측제어장치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양액의 ammon-ium 농도를 자동분석하고 제어하였으며, ammonium 농도를 류.0~27.7 mM의 낮은 농도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었다. Ammo-nium 농도를 제어한 본 실험의 최대비증식속도는 0.21 hr-1이었고, 대당균체수율은 약 0.78 g/g 으로서 ammonium 농도를 제어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대당균체수율은 약 1.4배, 최대비증식속도는 1.2배 더 높아졌으므로 ammonium 제어에 의하여 균의 glucose 이용효율이 더욱 향상되었다. 대암모늄균체수율은 약 11.3 g/g 이었다. Glucose와 ammonium을 첨가함으로써 균체량을 18.5 g/L 까지 높일 수 있었으며, 이는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7.1배 더 높은 균체량에 해당한다. Glucose와 ammonium의 농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었으므로 두가지 영양성분의 경제적인 공급이 가능하였다.

  • PDF

세균첨가에 의한 제약폐수 및 판지폐수의 처리효율의 향상 (Increase of the Treatment Efficiency of a Pharmaceutical Wastewater and a Paperboard Wastewater by the addition of Bacteria)

  • 이형춘
    • KSBB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70-374
    • /
    • 2000
  • 제약폐수처리장과 판지폐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 또는 폭기 조 media로부터 분리한 균들과 type culture들을 첨가할 경우 제약폐수와 판지폐수의 처리에 도움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폐수에 균틀을 배양하였을 때, 제약폐수에서는 charcoal m media로부터 분리한 Bacillus종 (PC-3)이 특이하게 잘 증식하 여 24시간 배양후의 생균수가 $1.1{\times}10^6m/L$를 나타내었으며, 판지폐수의 경우에는 type cultute인 Bacillus subtilis KCTC 1028이 가장 잘 증식하여 24시간 배양후의 생균수가 $1.1{\times}10^7m/L$를 나타내었다. PC-3률 첨가하는 제약폐수의 회분식처 리실험에서 균첨가효과가 확인되었으며8일째의 첨가구의 C COD제거율이 무첨가구의 COD제거율에 비해 18% 더 높았다. Bacillus subtilis KCTC 1028 을 첨가하는 판지폐수의 회 분식처리실험에서도 균첨가효과가 확인되었으며, 24시간후의 첨가구의 COD제거율이 무첨가구의 COD제거율에 비해 14% 더 높았다. Bacillus subtilis KCTC 1028은 전분질원료 주정 폐 액에서 잘 증식하였으므로, 전분질원료 주정폐액을 Bacill따 s subtilis KCTC 1028의 경제적인 생산배지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알코올 발효공장의 폐수처리를 겸한 단세포지질의 생산 (Production of Single Cell Lipid and Treatment of Wastewater Alcohol Manufactory)

  • 이찬용;김종관이계호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72-177
    • /
    • 1993
  • 심각한 수질환경 오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알코올 발효고정의 폐액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BOD를 낮추고 동시에, 단세포 지질의 생산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알코올 발효공장 두 곳의 폐액을 수집하여 그 조성 및 일반성분과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등을 측정하였고, 폐액중에 생존하는 미생물들과 유지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효모 균주들을 배양하여 단세포 지질의 생산에 적합한 Rhodotorula glutinis 균주를 선발하였다. 알코올 발효 공장의 폐액을 기질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처리 조건을 실험한 결과 NaOH의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최대의 지질수율을 얻기 위한 최적 배양 조건을 구한 결과, 배양 온도 $30^{\circ}C$, 초기 pH5.0이었고, 인산염의 첨가 효가가 있었다. 발효조를 이용한 단세포 지질 생산을 시도하여 기질 중에 탄소원대 질소원의 비에 따라 단세포 지방산 조성 및 함량에 차이가 있었으며, 탄소원 대 질소원의 비가 50에서 최대 지질계수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효모 배양에 의한 단세포 지질이 4g/L 생산되었고, 처리폐액의 BOD의 88.7%가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