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wheel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19초

농용(農用) 트랙터 이용(利用)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II) -고장(故障) 및 수리실태분석(修理實態分析)- (Four-Wheel Tractor Utilization in Korea(II) -Repair and Maintenance-)

  • 박호석;이용국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65-76
    • /
    • 1982
  • 현재(現在) 수입공급(輸入供給)되고있는 농용(農用)트랙터의 고장수리실태(故障修理實態)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하여 트랙터의 국산화(國産化) 및 이용합리화(利用合理化)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을 목적(目的)으로 1980년(年) 1년간(年間) 8개도(個道) 32개군(個那)에서 기장조사(記帳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대형(大型)트랙터의 연평균고장빈도(年平均故障頻度)는 5.0회(回)/대(臺)이고, 소형(小型)은 2.3회(回)/대(臺)로 대형(大型)이 소형(小型)보다 2배이상(倍以上) 고장(故障)이 많았으며, 이용시간당빈도(利用時間當頻度)는 대형(大型)트랙터가 1. 11회(回)/100hr, 소형(小型)은 0.65회(回)/100hr이었다. 나. 전체고장중(全體故障中), 75.6%는 본체(本體)에서 발생(發生)되었으며 24.4%는 작업기(作業機)에서 발생(發生)되었고, 특(特)히 소형(小型)트랙터 작업기고장중(作業機故障中) 쟁기와 로타베이터 고장(故障)이 80%이상(以上)을 차지하였다. 다. 대형(大型)트랙터의 75%, 소형(小型)의 62%가 연(年) 1회이상(回以上)의 고장(故障)이 있었으며, 10회이상(回以上) 발생(發生)된 경우(境遇)도 9%나 되었다. 라. 월별고장발생분포(月別故障發生分布)는 트랙터이용시간(利用時間)과 비례(比例)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어 5월(月)에 가장 고장(故障)이 많았다. 마. 운전자(運轉者)의 연령(年齡)이 많거나 학력수준(學歷水準)이 높을 수록 고장빈도(故障頻度)도 높아서 50대(代) 연령(年齡)에 대졸자(大卒者)가 고장(故障)이 가장 많았다. 바. 고장원인(故障原因)은 운전자과실(運轉者過失)이 29.8%, 부품노후(部品老朽)가 30.2%, 품질불량(品質不量)이 20.6%로 나타났다. 사. 연평균수리회수(年平均修理回數)는 5.5회(回)/대(臺)였고 이중 공장수리(工場修理)가 55.6%였으며 자가수리(自家修理)는 44.4%였다. 아. 대당연간수리시간(憂當年間修理時間)은 대형(大型)트랙터가 30.6시간(時間)이었고, 소형(小型)이 19.9시간(時間)이었으며 수리(修理) 1회당소요시간(回當所要時間)은 평균(平均) 3.62시간(時間)으로 나다났다. 자. 대당연간수리비용(臺當年間修理費用)은 대형(大型)이 278천(千)원, 소형(小型)이 70천(千)원 이었고, 이용시간당수리비용(利用時間當修理費用)는 대형(大型)이 621원, 소형(小型)이 198원이었다. 차. 트랙터 본체(本體)의 수리비계수(修理費係數)(Y)는 사용연수(使用年數)(x)'에 대하여 Y=0.752x의 상관(相關)을 가졌으며 총수리비계수(總修理費係數)는 내구년수(耐久年數)가 10년(年)일때 64%가 되었다.

  • PDF

전목 및 단목 집재작업시스템에서 작업시간 및 공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Time and Productivity in Whole-tree and Cut-to-Length Logging Operation System)

  • 김민규;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344-355
    • /
    • 2012
  • 임목수확작업시스템 구축과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 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타워야더 및 스윙야더 등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시스템과 굴삭기 그래플 등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시스템의 작업시간 및 공정을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작업시간을 기준으로 분석한 1 cycle당 작업시간은 전목집재작업시스템에서 체인톱에 의한 벌목 46.6초/cycle, 타워야더에 의한 집재 480.6초/cycle, 스윙야더에 의한 집재 287.4초/cycle, 체인톱에 의한 조재 155.14초/cycle로 나타났다. 또 한 단목집재작업시스템에서는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 225.65초/cycle,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단목집재 4,972초/cycle, 지엽집재 3,143초/cycle로 나타났으며, 바퀴식 미니포워더에 의한 소운재 4,688초/cycle, 굴삭기 그래플 및 소형운재차에 의한 소운재 2,118초/cycle로 나타났다. 전목집재작업시스템의 작업공정에서 체인톱에 의한 평균 벌목공정이 $57.89m^3$/일, 타워야더에 의한 평균 집재공정이 $20.3m^3$/일, 스윙야더에 의한 평균 집재공정이 $31.55m^3$/일, 체인톱에 의한 평균 조재공정이 $20.3m^3$/일로 나타났다. 또한, 단목집재작업시스템의 작업공정에서 체인톱에 의한 평균 벌목 및 조재공정이 $11.96m^3$/일,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평균 단목집재공정이 $34.75m^3$/일,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평균지엽수집공정이 $37.66m^3$/일, 굴삭기 그래플에 의한 평균 작업로의 개설공정이 73.8 m/일로 나타났으며, 바퀴식 미니포워더와 굴삭기 그래플 및 소형 운재차에 의한 평균 소운재 작업공정이 각각 $15.73m^3$/일과 $65.03m^3$/일로 나타났다.

시호(柴胡) 파종(播種) 및 수확(收穫)의 성력기계화(省力機械化) (Mechanization for Labor-Saving in Seeding and Harvesting of Bupleurum falcatum L.)

  • 김영국;이승택;장영희;임대준;유홍섭;김충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5-109
    • /
    • 1994
  • 시호(柴胡)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파종(播種) 및 수확(收穫)의 성력화(省力化)로 노동력(勞動力)과 생산비(生産費)를 절멸(節滅)하기 위해 본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호(柴胡) 기멸파종(機滅播種)의 경운기(耕耘機) 부착(附着) 줄뿌림기 파종(播種)이 97%의 성력효과(省力效果)가 었었저만 출아율(出芽率)은 인력(人力) 줄뿌림기 파종(播種)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2. 시호(柴胡) 기계파종(機械播種)시 경운기부착(耕耘機附着) 줄뿌림기 파종(播種)의 파종양(播種量) 시험(試驗)에서는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은 파종양(播種量)이 적을수록 1주당 근경(根莖), 건근중(乾根重)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10a당 수양(收量)은 파종양(播種量)이 많을수록 입모솔(立毛率)이 증가(增加)하여 파종양(播種量) 1.0kg/10a의 휴립 파종에서 54.1kg /10a로 가장 많았고, 파종기별(播種機別)로는 입모수(立毛數)가 가장 많은 인력(人力) 줄뿌림기 이용(利用) 파종(播種)이 84.1kg /10a로 가장 많았다. 3. 시호(柴胡) 기계이용(機械利用) 수확(收穫)은 관행(慣行)에 비해 다목적(多目的) 근수확기(根收穫機) 이용(利用) 수확(收穫)이 69%의 성력효과(省力效果)로 가장 좋았으며 수확작업비(收穫作業費) 절감(節減)에 의한 소득효과(所得效果)도 관행(慣行)에 비해 50% 증가(增加)되어 가장 좋았다. 4. 시호(柴胡)의 인력(人力) 줄뿌림기 파종(播種)과 다목적(多目的) 근수확기수확(根收穫機收穫)의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관행파종(慣行播種)과 수확(收穫)에 비해 74%의 노력시간(勞力時間)을 절감(節減)하여 69%의 작업비(作業費)를 절감(節減)하였다.

  • PDF

동역학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궤도식 임내작업차의 주행안정성 분석 (Running stability analysis of the Semi-Crawler Type Mini-Forwarder by Using a Dynamic Analysis Program)

  • 김재환;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98-103
    • /
    • 2015
  • 반궤도식 임내작업차의 주행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동역학분석 프로그램인 RecurDyn을 이용하여 횡전도 분석, 등판능력 분석, 장애물 통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동역학분석 프로그램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반궤도식 임내 작업차의 형상은 3D CAD모델러인 AutoCAD 3D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반궤도식 임내작업차의 공차 및 적재 시에서 횡단기울기 $20^{\circ}$ 이하의 지형에서 주행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종단기울기 시뮬레이션에서는 공차 및 적재 시에 종단경사 $28^{\circ}$ 미만의 지역에서 주행하는 것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애물 통과 시의 주행안정성은 공차 및 적재의 경우, 전륜타이어가 주행속도 각각 5 km/hr 및 4 km/hr 이상일 때 지면과 분리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후륜궤도는 지면과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장애물 통과 시에는 최대 5 km/hr 이하가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력경운기의 경사지견인 및 주행특성에 관한 연구 (II)-동력경운기-트레일러계의 욍골동 및 동횡전도한계 (Study on the Travel and T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Two-Wheel Tractor on the General Slope Ground (II)-Dynamic Side-overturn of the Tiller-trailer System-)

  • 송현갑;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1-19
    • /
    • 1978
  • Power tiller is a major unit of agricultural machinery being used on farms in Korea. About 180.000 units are introduced by 1977 and the demand for power till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as the farm mechanization progress. Major farming operations done by power tiller are the tillage, pumping, spraying, threshing, and hauling by exchanging the corresponding implements. In addition to their use on a relatively mild slope ground at present, it is also expected that many of power tillers could be operated on much inclined land to be developed by upland enlargement programmed. Therefore,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solve many problems related to an effective untilization of power tillers on slope ground.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avelling and tractive characteristics of power tillers being operated on general slope ground.In order to find out the critical travelling velocity and stability limit of slope ground for the side sliding and the dynamic side overturn of the tiller and tiller-trailer system, the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 simplified physical model.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e model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ase of no collision with an obstacle on ground, the equation of the dynamic side overturn developed was: $$\sum_n^{i=1}W_ia_s(cos\alpha cos\phi-{\frac {C_1V^2sin\phi}{gRcos\beta})-I_{AB}\frac {v^2}{Rr}}=0$$ In case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on ground, the equation was: $$\sum_n^{i=1}W_ia_s\{cos\alpha(1-sin\phi_1)-{\frac {C_1V^2sin\phi}{gRcos\beta}\}-\frac {1}{2}I_{TP} \( {\frac {2kV_2} {d_1+d_2}\)-I_{AB}{\frac{V^2}{Rr}} \( \frac {\pi}{2}-\frac {\pi}{180}\phi_2 \} = 0 $$ (2) As the angle of steering direction was increased, the critical travelling veloc\ulcornerities of side sliding and dynamic side overturn were decreased. (3) The critical travelling velocity was influenced by both the side slope angle .and the direct angle. In case of no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critical velocity $V_c$ was 2.76-4.83m/sec at $\alpha=0^\circ$, $\beta=20^\circ$ ; and in case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critical velocity $V_{cc}$ was 1.39-1.5m/sec at $\alpha=0^\circ$, $\beta=20^\circ$ (4) In case of no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dynamic side overturn was stimu\ulcornerlated by the carrying load but in case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danger of the dynamic side overturn was decreased by the carrying load. (5) When the system travels downward with the first set of high speed the limit {)f slope angle of side sliding was $\beta=5^\circ-10^\circ$ and when travels upward with the first set of high speed, the limit of angle of side sliding was $\beta=10^\circ-17.4^\circ$ (6) In case of running downward with the first set of high speed and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limit of slope angle of the dynamic side overturn was = $12^\circ-17^\circ$ and in case of running upward with the first set of high speed and collision <>f upper wheels with an obstacle, the limit of slope angle of dynamic side overturn collision of upper wheels against an obstacle was $\beta=22^\circ-33^\circ$ at $\alpha=0^\circ -17.4^\circ$, respectively. (7) In case of running up and downward with the first set of high speed and no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limit of slope angle of dynamic side overturn was $\beta=30^\circ-35^\circ$ (8) When the power tiller without implement attached travels up and down on the general slope ground with first set of high speed, the limit of slope angle of dynamic side overturn was $\beta=32^\circ-39^\circ$ in case of no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beta=11^\circ-22^\circ$ in case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respectively.

  • PDF

무경운(無耕耘) 파종기용(播種機用) 구체기(溝切器)의 견인특성(牽引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T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ed Furrow Opener for No-till Planter)

  • 나우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49-157
    • /
    • 1978
  • 동력경운기용(動力耕耘機用) 두류(豆類)의 무경운(無耕耘) 파종기(播種機)에 부착(附着)하여 사용(使用)하는 구절기중(溝切器中)에서 소요색인력(所要索引力)이 작고 구절작업정도(溝切作業精度)가 양호(良好)한 구절기(溝切器)의 개발(開發)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구동식(驅動式) 토조(土槽)에 인공토양(人工土壤)을 채우고 원판형(圓板型) 및 호우형(型) 구절기(溝切器)의 소요색인력(所要索引力)과 이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인자(因子)들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코자 실내모형(室內模型)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원판형(圓板型) 구절기(溝切器)에 대(對)하여 직경별(直徑別)로 조립각(組立角)을 $8^{\circ}$$16^{\circ}$, 경심(耕深)을 3cm와 6cm로 변화(變化)시키년서 2.75cm/sec의 속도(速度)로 색인력(索引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원판(圓板)의 직경(直徑)이 약(約) 28cm인 경우(境遇)에 색인력(索引力)이 최소(最少)로 나타났고, 직경(直徑)이 이보다 크거나 작은때는 색인력(索引力)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며 비저항(比抵抗)도 대체(大體)로 비슷한 경향(傾向)이었으나 원판(圓板)의 직경(直徑)이 약(約) 30cm일 때 최소(最少)로 나타났다. 종자파종(種子播種)의 심도조절(深度調節)을 목적(目的)으로 작구심(作溝深)(3cm 및 6cm)과 색인력(索引力)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경심(徑深)과 색인력(索引力)과의 관계(關係)는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변화(變化)를 나타냈으며 색인력(索引力)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인자중(因子中)에서 경심(耕深)의 영향(影響)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조립각(組立角) 및 주행속도(走行速度)에 별(別) 영향(影響)없이 경심(耕深) 3cm 및 6cm 공(共)히 색인력(索引力)은 직경(直徑) 약(約) 28cm에서, 비저항(比抵抗)은 약(約) 30cm에서 최소(最少)의 값을 나타내었다. 파종기(播種機)의 작업성능(作業性能)과 관계(關係)가 갚은 주행속도(走行速度) 및 파건(播巾)의 조절(調節)을 목적(目的)으로 원판(圓板)의 조립각(組立角)과 주행속도(走行速度)가 색인력(索引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했던 바, 조립각(組立角)과 주행속도(走行速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모두 색인력(索引力)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나 색인력(索引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주행속도(走行速度)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원판형(圓板型) 구절기(溝切器)와 호우형(型) 구절기(溝切器)를 비교(比較)하기 위(爲)하여 쐐기각(角)이 $16^{\circ}$이고 리프트각(角)이 $20^{\circ}$인 호우형(型) 구절기(溝切器)와 조건(條件)이 비슷한 조립각(組立角) $16^{\circ}$의 원판형(圓板型) 구절기(溝切器)의 색인특성(索引特性)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직경(直徑) 30cm인 원판형(圓板型)의 경우(境遇)는 비저항(比抵抗)이 $0.35{\sim}0.5kg/cm^2$인데 비(比)해 호우형(型)의 경우(境遇)는 $0.71{\sim}1.02kg/cm^2$로 나타나 호우형(型)의 색인비저항(索引比抵抗)이 평균(平均) 2배정도(倍程度) 크게 나타났고 작구상태(作溝狀態)도 원판형(圓板型)의 경우(境遇)보다 불량(不良)하였다.

  • PDF

농용(農用)트랙터 이용(利用)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I) -경영형태별(經營形態別) 농작업이용실태분석(農作業利用實態分析)- (Overview of Utilization of Four-wheel Tractor in Korea(I) -Ownership and Annual Use by Different Farm Groups-)

  • 박호석;김경수;이용국;한성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20-32
    • /
    • 1982
  • 보급초기(普及初期)에 있는 농용(農用)트랙터의 농가이용실태(農家利用實態)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하여 정부(政府)의 농업기계화시책(農業機械化施策)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8개도(個道) 32개군(個郡)을 대상(對象)으로 설문(設問)과 기장조사(記帳調査)를 통(通)하여 '80년(年) 1월(月)부터 12월말(月末)까지 트랙터의 농작업이용실태(農作業利用實態) 및 농가특성(農家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트랙터는 수도작농가(水稻作農家)에 71.5%, 축산농가(畜産農家) 17.0%, 과수농가(果樹農家) 7.0%, 기타농가(其他農家) 4.5%의 비율(比率)로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이중 64.3%는 대형(大型)트랙터이었고 35.7%가 소형(小型)트랙터(19~23ps)이었다. 나. 부착작업기(附着作業機)중 쟁기와 로타베이터는 대부분(大部分)이 보유(保有)하고 있었으나 소형(小型)트랙터의 트레일러는 보유율(保有率)이 70.6%로, 농작업(農作業)에서 운반작업(運搬作業)이 차지하는 비중(比重)을 감안할 때, 비교적(比較的) 낮았으며, 기타(其他) 작업기(作業機)는 균평작업기(均平作業機)를 제외(除外)하고는 보급률(普及率)이 극(極)히 저조(低調)하였다. 다. 트랙터소유농가(所有農家)의 대당평균(臺當平均) 경작면적(耕作面積)은 수도작농가(水稻作農家) 3.9%, 축산농가(畜産農家) 13.9%, 과수농가(果樹農家) 7.4(ha)이었으며 이러한 규모(規模)는 트랙터의 부담가능면적(負擔可能面積)에 훨씬 미달(未達)하는 규모(規模)이었다. 라. 트랙터 운전자(運轉者)의 연령(年齡)은 20,30대(代)가 약(約) 70%이었고, 90%이상(以上)이 중졸이상(中卒以上)의 학력(學歷)을 가졌으며, 학력수준(學歷水準)이나 경력(經歷)에 비(比)하여 정비기술(整備技術)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 현(現) 보급기종(普及機種)의 마력규모(馬力規模)나 성능상(生能上)의 별 다른 문제점(問題點)은 발견(發見)되지 않았으나 농민(農民)의 마력성향(馬力生向)으로 보아 앞으로 20-30마력범위(馬力範圍)의 소형(小型)트랙터 수요(需要)가 증가(增加)될 것으로 예측(豫測)된다. 바. 트랙터의 각종(各種) 농작업이용시간(農作業利用時間)은 연간(年間) 약(約) 100일(日)에 400hr로 나타났으며 수도작농가(水稻作農家)가 412.4hr로 가장 높고 과수농가(果樹農家)가 377.7hr로 가장 낮았다. 사. 연간이용시간중(年間利用時間中) 운반작업(運搬作業)이 47.3%, 경운정지작업(耕耘整地作業)이 41.6%이었으며, 운반작업(軍搬作業)은 축산농가(畜産農家), 경운정지(耕耘整地) 및 평균작업(均平作業)은 수도작농가(水稻作農家), 기타작업(其他作業)은 과수농가(果樹農家)가 가장 많았다. 마력별(馬力別)로는 운반(運搬), 정지(整地) 및 방제작업(防除作業)은 대형(大型)트랙터 보다는 소형(小型)트랙터가, 경운(耕耘), 균평(均平), 로다작업(作業)은 대형(大型)보다 소형(小型)트랙터가 많았다. 아. 월별(月別) 이용시간(利用時間)은 5월(月)에 가장 높은 피크현상(現象)을 가졌으며, 자가이용시간(自家利用時間)이 경영형태(經營形態)에 따라서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가졌으나 마력별(馬力別)로는 별차(別差)가 없었던 반면(反面)에, 총이용시간(總利用時間)은 정반대(正反對)의 현상(現象)으로 마력(馬力)에 따른 차이(差異)는 현저(顯著)하나 경영형태(經營形態)에 따른 차이(差異)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 운전자(運轉者)의 학력수준(學力水準)이 높고 연령(年歷)이 많을 수록 이용시간(利用時間)은 감소(減少)되었으며 이는 학력(學歷)이 높고 연령(年歷)이 많은 경우(境遇) 임작업(賃作業)을 기피(忌避)하는 현상(現象)때문인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차. 대당평균(臺當平均) 연간(年間) 임작업시간(賃作業時間)은 171.3hr으로 이중 균평작업(均平作業)이 35.4%로 가장 높았으며, 임작업율(貨作業率)은 수도작농가(水稻作農家)가 63.7%, 축산농가(畜産農家) 31.7%, 과수농가(果樹農家) 22.4%이었으며 작업별(作業別)로는 균평작업(均平作業)의 임작업율(賃作業率)이 78.2%로 가장 높았다. 카. 임작업료(賃作業料)는 경운정지작업(耕耘整地作業)은 ha당(當) 40,000선(線)이었으며 지역(地域)에 따라 영남지방(嶺南地方)이 가장 비싸고 중부지방(中部地方)이 비교적(比較的) 싼것으로 나타났다. 다. 경운작업능률(耕耘作業能率)은 논에서 소형(小型)은 7.8hr/ha, 대형(大型)트랙터는 4.3hr/ha이었으며, 정지작업능률(整地作業能率)은 각각(各各) 6.5, 4.3hr/ha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