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earnings profil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인구 고령화와 임금구조: 1990년대 이후 한국 남성 근로자의 세대규모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Population Aging and Wage Structure: An Empirical Study of Cohort Size Effect on Korean Male Worker since 1990)

  • 엄동욱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75-97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향후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인구구조, 특히 연령구조(age structure) 또한 급격한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가 임금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별 세대규모(cohort size)에 초점을 맞추어 세대규모효과로 인해 연령-임금 프로파일이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Wright(1991)의 모형을 기초로 노동부의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원자료($1990년{\sim}2006$년)의 남성 근로자 데이터를 활용한 Weighted OLS 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추정결과에서는 고졸 근로자 및 대졸이상 고학력 근로자에게서 세대규모효과가 발견되었는데, 고졸 근로자의 경우 기존 Welch(1979)나 Wright(1991)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지만, 대졸이상 근로자의 경우 반대로 정(+)의 신규진입효과와 부(-)의 지속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고졸 근로자는 임금수준에서 세대규모로 인한 불이익을 받는 반면, 고학력 취업자의 경우 최근 청년실업 및 취업난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세대규모로 인해 임금수준에서 이득을 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주로 노동수요 측면에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 노동공급측면에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에 관심을 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미국 편모가계의 자녀보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Influence on Child Care Expenses of Single Mother Families in the U. S.)

  • 박선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7-101
    • /
    • 2008
  • Using the 1999 National Survey of America's Families(NSA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child care expenses and examined financial and social support of single mother families in the U. S. In this study, 4,676 single mother families with children aged twelve and under are included for the analytical sample. About half of all single mother families with children under age 12 had some amount of child care expenses in 1999. Monthly child care expenses for those who had child care expenses was an average of $255 and it accounted for about 15 percent of their family earnings. The profile of financial and social support showed that about one-quarter of single mothers received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one-fifth received free child care by relatives and about 40 percent received child support payments from nonresident fathers. Tobi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were mother'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the numbers of children aged 0-5, family income, the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and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