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dating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6초

일부지역 대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Sexual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s)

  • 정애화;정유진;김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55-56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20일 동안 경산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교 54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에서 성 경험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은 연령, 주거형태, 출신고등학교, 이성교제경험, 부모의 성 태도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성 경험 시기는 '고등학교', 성관계 상대에서는 '당시 교제상대', 피임에 대해서도 '할 때도 있고 하지 않을 때도 있다', 성 관계 장소에 대해서 '본인 또는 상대 집'이라고 많이 응답하였다. 성 지식, 성 태도, 성 주체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성 태도와 성 주체성이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나이, 부모의 성 태도, 성 지식, 성 태도가 영향요인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성 교육 프로그램 적용시기와 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고려해야 할 영향 요인을 나타내므로 이를 바탕으로 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다면 대학생의 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천 북부 자양 칼데라 주변의 화산암류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과 화산과정 (SHRIMP U-Pb Zircon Dating and Volcanic Process of the Volcanic Rocks around the Jayang Caldera, Northern Yeongcheon, Korea)

  • 황상구;조인화;손용석;송교영;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7-249
    • /
    • 2019
  • 자양 칼데라 주변의 화산암류는 죽장화산암층, 도일유문암, 운주산응회암, 유문암관입체 순으로 분류된다.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운주산응회암은 칼데라 내부에서 66.65±0.96 Ma, 칼데라 외부에서 66.08±0.62 Ma의 분출연대를 나타내고, 환상암맥은 60.74±0.66 Ma의 관입연대를 나타낸다. 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자양 칼데라는 운주산응회암의 폭발성 분출과 환상암맥 관입 사이인 66.08~60.74 Ma 사이에 함몰되었음을 지시해준다. 자양 칼데라는 이 지역에서 회류응회암-칼데라함몰-환상암맥으로 연결되는 완벽한 화산윤회를 거치는 복잡한 화산과정을 나타낸다.

제주도 용천수의 수질 화학적 특성과 연대 측정에 관한 연구 (Water Chemistry and Age Dating of Springwater in Cheju Island)

  • 김종훈;안종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27-737
    • /
    • 1992
  • 제주도 해안가 용천수의 수질화학적 특성과 연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질화학적 특성은 TDS와 전기전도도, Cl과 H-3의 상관관계, Cl/HCO_3비, 경도와 유사경도의 관계 등에 의하여 C_1, C_4, C_7, C_9 용천수만 해수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 때 C_7 용천수는 Mineral Balance Index에 의해 맛있고 건강한 물이라 평가되었다. 강수의 Tritium 함유량과 용천수중의 Tritium 잔존량을 기초로 한 연대측정에서 제주도 수리지질 및 수문화학적 조건에 적합한 Completely mixed model에 의한 값으로 해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C_9그룹(C_{10}, _{12}, C_{14}) 용천수의 평균 이동시간은 약 1,2개월, 맛있고, 건강한 물로 평가된 C7 용천수의 평균이동시간은 5,6개월, 심부 지하수인 C_{17}은 약 4년정도로 계산되었다.

  • PDF

추가령 열곡 내 전곡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 층서 분석 (Stratigraphic Analysis on Paleofluvial Outcrop underJeongok Basalt Layer in the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 이민부;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5-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추가령 열곡의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발견된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의 층서 및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야외 조사 및 입도 분석 결과, 현무암층 하부의 자갈층과 모래층은 용암대지가 형성되기 이전에 한탄강에 의해 운반 퇴적된 하성 퇴적물로 판단된다. 주원소 분석 결과, 화학적 풍화도의 측면에서 현무암 풍화층인 JG2-3이 다른 5개 시료들과는 다른 이질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토류 원소 분석결과, 최하부에 위치한 자갈층은 현무암과 관계가 없는 한탄강 상류의 원 기반암에서 유래한 물질일 가능성이 높으며, 나머지 모든 층의 물질은 현무암층과 관련성이 매우 높다. OSL 연대 측정 결과, 전곡리 노두 일대에서는 약 4만 년 전까지 한탄강에 의한 하성 퇴적작용이 진행되었고, 이후 현무암 용암대지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진천분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loess-paleosolsequen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Korea)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4
    • /
    • 2013
  • 진천분지 하안단구면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인 진천단면을 대상으로 형성시기 및 입도조성과 기후변화 등 퇴적환경을 밝혔다. 진천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표층, 뢰스-고토양 연속층, 점이층 I, 점이층 II 그리고 하안단구 자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OSL 연대측정 결과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MIS 6~4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층은 대자율 변화에 기초하여 4개의 층준으로 구분된다. 입도분석 결과, 진천단면 뢰스-고토양 연속층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된 뢰스 퇴적층과 입도조성이 유사하다. 특히 Y값은 중국 뢰스고원의 뢰스 및 고토양 층준보다는 작고, Red Clay 또는 양쯔강 하류의 Xiashu 뢰스와 유사하다. 이는 원거리 기원 또는 퇴적 이후 한반도에서 강한 풍화작용을 경험한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부산 다대포 지역 해안 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 (The Elevation of Paleo-shoreline and Formation Age of the 1st Marine Terrace in Dadaepo, Busan, South Korea)

  • 신재열;홍영민;홍성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79
    • /
    • 2019
  • This study documents the level of paleo-shoreline and the timing of formation of the lowest marine terrace (1st terrace) distributed in Dadaepo, Busan, South Korea. In the study area, the elevation of paleo-shoreline of the 1st terrace is clearly identified as 5 meters above mean high tide based on the elevation of wave-cut platforms and the elevation of boundary between marine and terrestial sediments. This is well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are foun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Daepo-dong, Sacheon-si. The timing of formation of the 1st terrace in Dadaepo is confirmed to have been deposited around 70,000~80,000 years BP (MIS 5a) according to OSL and IRSL dating ages. However, because the formation age of the 1st terrace in Sacheon-si Daepo-dong (Southerm coast) and Pohang-si Umok-ri (Eastern coast) previously identified as about 90,000~100,000 years BP (MIS 5c), further discussion of what is needed. Possibl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b-interglacial (MIS 5a and 5c) sea-level records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are likely to be selective on land depending on regions.

소백산맥 북부 지역 하천의 하각률 분포 (Incision Rate Distribution of Stream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 이광률;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1-51
    • /
    • 2020
  • This study tried to reveal incision rate distribution of stream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with OSL age dating and geomorphic analysis, and factors influencing on the distribution were also discussed. With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0 sites from 7 streams in the study area showed the rates ranging from 0.220 m/ka to 0.297 m/ka. Namhan-gang and Geum-cheon indicated the highest and lowest rates, respectively. Both sides in the northern section in the study area showed similar rates, while the western side in the middle section and the eastern side in the southern section showed higher rates than the other sides. Higher rates were also found from the eastern and northern sides where the Range runs N-S and E-W directions, respectively. Certain relationships with altitude and distance from the divide can be recognized from the rates and may be attributed to active incision with altitude and location of the uplift axis near the present divide. The rates on granite and sedimentary rock were higher than those on metamorphic rock, indicating that bedrock typ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stream incision. Tectonic movement seemed to play some roles in the rates, because areas with lineaments showed lower rates. This study suggests that incision rate distribution of stream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reflects various local geomorphic and geologic conditions.

휴무스분석을 이용한 함평천 유역의 홀로세 후기 충적평야의 지형발달과 기후환경변화 (Humus Analysis for the Geomorphic Development and Climatic Environment Change of Alluvial Plain in Hampyeongcheon Basin during the Late Holocene)

  • 정혜경;김정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0-328
    • /
    • 2012
  • 후기 홀로세 동안의 지형발달과 기후환경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함평천 유역의 충적평야에서 채취된 퇴적물 시료에 대한 탄소연대측정(AMS, Accelerated Mass Spectrometry), 토양유기탄소와 휴무스분석을 실시하였다. 최하부인 토탄층은 온난 습윤한 기후환경에 형성되었으며, 후빙기 중 Atlantic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황갈색 사질점토층은 자연제방성 퇴적물이며, 대체로 온난하고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형성시기는 1,879-1,532 BC 이며, 이 시기는 후빙기 중 Sub-boreal기에 해당된다. 담갈색 점토층은 자연제방에서 배후습지로 이행되는 환경에 퇴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기후 환경은 온난하고 습윤하였으며, 후빙기 중 Sub-boreal에서 Sub-Atlantic으로 이행되는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유추된다. 상부의 담황갈색 점토층과 담갈색 점토층은 배후습지의 퇴적물로 생각된다. 담황갈색 점토층이 퇴적된 환경은 냉량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시기는 후빙기 중 Sub-Atlantic에 대비될 가능성이 있다. 담갈색 점토층이 퇴적된 환경은 온난하고 건조한 기후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형성 시기는 211-427 AD이며, 이 시기는 Post Roman Warm Period에 해당되는 것으로 유추된다.

백악기 무주분지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를 이용한 퇴적시기와 퇴적물 기원지 연구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Cretaceous Muju Basin: Implications for the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 채용운;김유희;하수진;임현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5-109
    • /
    • 2024
  • 전라북도 무주군에 분포하는 백악기 무주분지의 퇴적시기 및 퇴적물의 기원지를 파악하기 위해 쇄설성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설천응회암(SCT), 방이리층(BYR), 길왕리층의 고방층원(GWR-G), 서창층원(GWR-S), 북창층원(GWR-B), 적상산층(JSS)으로 총 6개가 채취되었다. 연대측정 결과 무주분지의 퇴적층은 약 105.6-90.4 Ma에 걸쳐 퇴적되었고, 지질시대로는 알바절에서 투로니아절에 해당한다. 무주분지 서쪽에 분포하는 방이리층과 길왕리층 고방층원 시료에서 각각 약 94.4 Ma와 89.6 Ma의 단일 저어콘 최소연령이 확인되어, 기존에 길왕리층 역암을 기준(암층서)으로 설정된 상대연령에 대해 추가연구를 통한 재확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주분지를 채우고 있는 대부분의 퇴적물들이 무주분지와 인접한 제한된 지역에서 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韓國) 경상남도(慶尙南道) 언양도폭(彦陽圖幅) 및 북서부(北西部) 울산도폭(蔚山圖幅) 지역산(地域産) 화강암질암(花崗岩質岩)의 K-Ar 연대(年代) (K-Ar dating on granitic rocks from the Eonyang-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Ulsan-quardrangle, Kyeongsang-nam-do, Korea)

  • 이윤종;우에다 요시오
    • 자원환경지질
    • /
    • 제9권3호
    • /
    • pp.127-134
    • /
    • 1976
  • The K-Ar age determined on six granitic rocks samples from the Eonyang-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Ulsan-quardrangle, Kyeongsang-nam-do, Korea, ranges from $87{\times}10^6$ years to $58{\times}10^6$ years. Three of the samples belong to the upper Cretaceous ($87{\times}10^6-71{\times}10^6years$) and three to the late Cretaceous-early Tertiary ($63{\times}10^6-58{\times}10^6years$) in age. The early Tertiary ages are measured first on the "Younger Granites" in Korea. These two emplacement periods of granitic rocks are representative that the former is correlated to north Kyushu-Seto Inland belt ($95{\times}10^6-75{\times}10^6years$) and the later to Sanin-central Honshu belt ($65{\times}10^6-50{\times}10^6years$), in southwestern Jap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