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B_1$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초

현미의 저장조건에 따른 aflatoxin $B_1$ 생성의 변화 (Variation of Aflatoxin $B_1$ Production in Brown Ric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parasiticu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7-52
    • /
    • 1998
  • 쌀에대하여 afltoxin 생성을 위한 기질로서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미 (청청벼) 시료에 Aspergillus parasiticus를 접종하고 조건을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Aflatoxin $B_1$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시료중의 Aflatoxin $B_1$의 분석은 ELI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현미 시료에서 Aflatoxin $B_1$ 생성에 가장 좋은 온도는 $28^{\circ}C$였으며, 시료의 수분함량을 15.8%로 증가시킨 경우 Aflatoxin $B_1$ 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5), 고압증기멸균시킨 시료는 Aflatoxin $B_1$ 생성에 보다 효과적인 기질이 되었다. 실온에서 3개월 동안 저장한 현미에서는 15일 동안 저장 한 경우에 비해 Aflatoxin $B_1$ 생성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따라서 저장 온도 및 수분함량이 쌀에서도 Aflatoxin $B_1$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를 나타내었으며, 또 시료의 상태 및 저장기간도 쌀에서 Aflatoxin 생성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쌀이 aflatoxin 생성에 좋은 기질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Aflatoxin-DNA Adduct의 화학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Synthesis of Aflatoxin-DNA Adduct)

  • 최상경;김성영;강진순;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7-370
    • /
    • 1992
  • Aflatoxin은 세계 여러 곳에서 식품에 오염되어 발견되며 증가하는 인간의 간암발생과 빈번히 역학적으로 관련하여 보고되는 발암물질이다. 이러한 aflatoxin의 발암성 규명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20 mg calf thynmus DNA와 8 mg 표준 aflatoxin $B_1$을 반응시켜 화학적으로 aflatoxin $B_1$을 반응시켜 화학적으로 aflatoxin $B_1-DNA$ adduct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aflatoxin $B_1-DNA$ adduct는 산가수분해와 열처리에 의해 거대한 DNA 분자를 절단하였고, immunoaffinity column을 통과시켜 aflatoxin $B_1-DNA$ adduct만 선택적으로 정제한 후 HPLC법으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 반응생성물의 대부분은 aflatoxin $B_1-guanine$ adduct였으며, 그 함량은 aflatoxin $B_1$으로 5.2 mg이었다.

  • PDF

Aflatoxin B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과 물리화학적 인자 (Incubation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Aflatoxin B1 Binding of Lactic Acid Bacteria)

  • 임성미;안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에 의한 aflatoxin $B_1$의 결합 정도를 배양조건에 따라 측정하였고, 물리화학적 처리조건이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Enterococcus faecium DJ22, Lactobacillus fermentum DJ35, Lactobacillus rhamnosus DJ42 및 Lactobacillus pentosus DJ47는 19.3-52.1% 정도의 aflatoxin $B_1$ 결합 효과를 나타내어 균종에 따라 결합력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E. faecalis DJ14, Lactobacillus panis DJ29 및 Pediococcus halophilus DJ50 균주는 aflatoxin $B_1$에 대한 결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과 결합속도는 독소의 농도, 반응시간 및 온도와 초기 세포수 등의 배양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flatoxin $B_1$의 결합력은 세척 횟수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살아있는 세포와 가열 처리한 세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열, 산성 pH, ${\alpha}$-amylase, protease, lysozyme 혹은 sodium metaperiodate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아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에 aflatoxin $B_1$이 결합되며, urea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에 낮아지는 것은 이들 사이에는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시판 땅콩 및 땅콩버터 중 Aflatoxin $B_1$ 오염 분석 (Analysis of Peanut and Peanut Butter Retailed in Korea for Aflatoxin $B_1$)

  • 박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09-312
    • /
    • 2006
  • 식용 땅콩 40점(국산 28점, 수입산 12점)과 땅콩버터 30점(국산 12점, 수입산 18점)등 2003년 서울에서 무작위 선정된 총 70점의 국내 시판 중인 땅콩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aflatoxin $B_1$의 오염을 조사하였다. 본 곰팡이독소의 분석에는 형광검출 HPLC 방법이 사용되었고, 그 오염의 확인에는 HPLC-MS가 이용되었다. 두 가지 대표 시료들에 2 ppb수준으로 첨가된 aflatoxin $B_1$의 회수율은 모두 80%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또한 사용된 두 분석법 즉, HPLC-FD와 HPLC-MS의 검출한계는 각각 0.8과 0.1 ppb로 나타났다. 총 40점의 땅콩 중 10점(국산 4점, 수입산 6점)에서 aflatoxin $B_1$의 오염이 확인되었고, 국산 및 수입산 땅콩의 평균오염수준은 각각 19와 32 ppb이었다. 한편 aflatoxin $B_1$은 총 5점의 땅콩버터에서 검출되었고, 평균 오염수준이 국산과 수입산 땅콩버터 각각 10과 12 ppb이었다. 수입산 땅콩의 경우 aflatoxin $B_1$의 오염도가 보다 빈번히 나타났고, 특히 그 오염수준은 땅콩버터와는 다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지적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땅콩 및 땅콩버터는 한국인의 aflatoxin $B_1$ 노출에 있어서 주요 기여식품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입식품 및 국내식품중의 아플라톡신 함유량 조사연구 (A Study on the Aflatoxin B1 Contents in Domestic and Import Foods)

  • 윤미혜;김국주;김종화;조규홍;김세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2호
    • /
    • pp.115-120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aflatoxin $B_{1}$ in cereal, pulse, nuts and these products of domestic and import. These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concentration(in ${\mu}g/kg$) of aflatoxin $B_{1}$ in domestic foods were 2.6 in cereal, 3.9 in pulse, 4.2 in nuts and 1.4 grain products. The contents of aflatoxin B$_{1}$ in pulse and nut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cereal and grain products. But their values were still within $10{\mu}g/kg$ the maximum residual level of aflatoxin $B_{1}$ for food of Korea. 2. Average contents of aflatoxin $B_{1}$ in import foods were 4.8, 5.4, 6.0, $3.8{\mu}g/kg$ for cereal pulse , nuts and popcorn & peanuts butter,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were found to be below the maximum residual level ($10{\mu}g/kg$) of aflatoxin $B_{1}$ for food of Korea. 3. The concentration of aflatoxin $B_{1}$ in 2 samples of domestic and 9 samples of import foods were over the tolerance limit for aflatoxin $B_{1}$ in food of Korea. Therefore, the hygienic managements of the foods should be required during storage and circulation at market.

  • PDF

HPLC에 의한 aflatoxin 분석법에 관한 연구-형광검출의 최적조건 (Determination of Aflatoxin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Optimized Fluorescence Detection)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6
    • /
    • 1998
  • HPLCdp 의한 주요 afltoxins(aflatoxins $B_1,\;B_2,\;G_1\;및\;G_2$)의 동시 분석에서 postcolumn 유도체화법을 시도하였다. Electrochemical cell (Kobra-cell)을 사용한 postcolumn 유도체화법은 기존의 precolumn 유도체화법보다 분석시간을 단축하였으며 (약 1/2 단축), 더 안전하고 , 향상된 분석능을 보였다. Aflatoxin $B_1과\;G_1의$ 경우 10~100ppb에서, 그리고 B_2와\;G_2의$ 경우 3~30 ppb에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Aflatoxin $B_1과\;G_1은$ 각각 88.9% 및 100.5%로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다. Aflatoxin $B_2와\;G_2의$ 경우 분리도는 우수하였으나 회수율에있어서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영남지방 농상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제2보) ELISA 법에 의한 Aflatoxin B1 검색 (Hygienic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Part II) Determination of Aflatoxin B1 by ELISA Method)

  • 정덕화;하기수;정혜경;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1-176
    • /
    • 1989
  • 영남지방 곡류에 오염되어 있는 Aflatoxin B1을 측정하기 위해 식속하고 정확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법을 응용하였다. 생산된 Antibody 는 aflatoxin B2와 강한 corss reaction을 보였고, 정량적으로 표준곡선을 보인 aflatoxin B1 범위는 1-100ppb이었으며, methanol-PBS-dimethylformamide로 spike시킨 쌀 추출물이 ELISA 반응에 약간의 간섭반응을 보였다. ELISA법에 의한 쌀 65종, 보리 116종의 aflatoxin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쌀시료 65개 중 3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보였으며, 그중 R-18이 $7.5\;\mu\textrm{g}/kg$, R-30이 $3.6\;\mu\textrm{g}/kg$, R-59가 $3.3\;\mu\textrm{g}/kg$ 순으로 aflatoxin B1 함량을 나타내었고 시료의 4.6%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보리 116종 중 겉보리에서 4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겉보리 UB-37이 $9.6\;\mu\textrm{g}/kg$의 함량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의 UB-35, UB-54순이었으며 전체 시료의 3.4%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 PDF

생약추출물이 Aspergillus parasiticus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Aflatoxin $B_1$ Production from Aspergillus parasiticus)

  • 정상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85-391
    • /
    • 2003
  • 본 연구에서 8종의 생약 추출물이 A. parasiticus의 배양시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지의 pH는 배양 3일 후에 모든 생약 추출물이 pH 4 이하를 나타냈으며 구기자, 오매, 계피, 두충은 배양 6일에 다시 pH 4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이중 대추가 배양 기간 중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균체 생성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갈근, 두충, 오미자, 대추, 오매,구기자, 목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갈근이 최대 생성량을 나타냈으며 목과가 가장 낮은 생성량을 나타냈다. Aflatoxin $B_1$은 갈근과 대추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생성이 억제되었다. 특히 계피, 오매, 두충 구기자, 오미자 추출물 에서 aflatoxin $B_1$ 생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계피가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균체량이 많이 생성되면 aflatoxin $B_1$ 생성이 적어지고 균체량이 적게 생성되면 aflatoxin $B_1$의 생성이 많아졌다.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해 aflatoxin $B_1$을 가장 적게 생성하는 계피와 가장 많이 생성하는 갈근 추출물의 총단백질 생성량은 계피는 3일째 (34.5%), 갈근 ext ract는 4일째 (36.4%) 총단백질의 함량이 최대가 되어 균체 내의 총단백질의 함량은 계피와 갈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군이 게조군의 총단백질 함량 (32.7%)보다 약간 많았으며 aflatoxin $B_1$ 생성 및 축적이 최대가 되는 시기는 총단백질량이 최대가 되는 시기보다 대체로 1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Inhibitory Effects of Quinizarin Isolated from Cassia tora Seeds Against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Aflatoxin $B_1$ Biotransformation

  • 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529-536
    • /
    • 2003
  • The growth-inhibitory activity of Cassia tora seed-derived materials against seven intestinal bacteria was examined in vitro, and compared with that of anthraquinone, anthraflavine, anthrarufin, and 1-hydroxyanthraquinone. The active constituent of C. tore seeds was characterized as quinizarin, using various spectroscopic analyses. The growth responses varied depending on the compound, dose, and bacterial strain tested. At 1 mg/disk, quinizarin exhibited a strong inhibi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and moderate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 bifidum, B. longum, and Lactobacillus casei. Furthermore, the isolate at 0.1 mg/disk showed moderate and no activity against C. perfringens and S. aureus.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revealed that anthrarufin, anthraflavine, and quinizarin moderately inhibited the growth of S. aureus. However. anthraquinone and 1-hydroxyanthraquinone did not inhibit the human intestinal bacteria tested. As for the morphological effect of 1 mg/disk quinizarin, most strains of C. perfringens were damaged and disappeared, indicating that the strong activity of quinizarin was morphologically exhibited against C. perfringens. The inhibitory effect on aflatoxin $B_1$ biotransformation by anthraquinones revealed that anthrarufin ($IC_50,\;11.49\mu\textrm{M}$) anthraflavine ($IC_50,\;26.94\mu\textrm{M}$), and quinizarin ($IC_50,\;4.12\mu\textrm{M}$), were potent inhibitors of aflatoxin ${B_1}-8,9-epoxide$ formation. However, anthraquinone and 1-hydroxyanthraquinone did not inhibit the mouse liver microsomal sample to convert aflatoxin $B_1$ to aflatoxin ${B_1}-8,9-epoxi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hydroxyl groups on A ring of anthraquinones may be essential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aflatoxin ${B_1}-8,9-epoxide$. Accordingly, as naturally occurring inhibitory agents, the C. tora seed-derived materials described could be useful as a preventive agent against diseases caused by harmful intestinal bacteria, such as clostridia, and as an inhibitory agent for the mouse liver microsomal conversion of aflatoxin $B_1$ to aflatoxin ${B_1}-8,9-epoxide$.

엑스과립과 환으로 만들어진 한방생약제제의 aflatoxin B1 연구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Aflatoxin B1 in Granule and Globular Types of Herbal Medicines)

  • 배종섭;김용웅;박문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9-215
    • /
    • 2010
  • This study is an endeavor to evaluate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aflatoxin $B_1$) in medicines from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which are circulated much recently. For that, twelve globular and granule types, seven liquid types of herbal medicine were bought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of aflatoxin aflatoxin B_1), which are harmful to human body. Woo Hwang Cheong Sim Hwan of Aflatoxin $B_1$ concentration lower than the standard accepted by all the products have been detected, B company(tradition) is the concentration of $1.24\;{\mu}g/kg$, C company $1.04\;{\mu}g/kg$, A company(tradition) and B company did not detect. And the general pill of aflatoxin B1 concentration lower than the standard accepted by all the products have been detected, S-1 is the concentration of $1.8\;{\mu}g/kg$, S-2 of $1.04\;{\mu}g/kg$, S-3 of $0.88\;{\mu}g/kg$, S-4 of $9.32\l\;{\mu}g/kg$, S-6 of $7.8\;{\mu}g/kg$, S-5 did not detect. All the products eundan allowed in the concentration of aflatoxin $B_1$ levels were lower than detection, D company of $0.96\;{\mu}g/kg$, E company concentration was not detected. The liquid product of aflatoxin $B_1$ concentration was found liwer than the standard accepted by all the product, L-3 concentration of $0.8\;{\mu}g/kg$, K-4 was detected in the $1.16\;{\mu}g/kg$, L-1 and L-2 is not detected, L-5 concentration of $15\;{\mu}g/kg$, L-7 is detected as $1.08\;{\mu}g/kg$ and, L-6 was not de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