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초

녹농균과 진균류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의한 Aflatoxin 류의 생성능과 성질 변화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hanges of Aflatoxin Productivity and Properties by a Pseudomonad)

  • 이영남;김주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62
    • /
    • 1980
  • Investigation on modification of aflatoxin structures by Pseudomonads was attempted as a biological detoxifiying process of mycotoxins. Firstly, when any variation of aflatoxin yield of Aspergillus parasiticus in a mixed culture with Pseudomonas aeruginosa was examined, there was no noticible effect by growth of Pseudomonads on aflatoxin yield of Asperillus sp. Secondly, when capacity of Pseudomonas aeruginosa utilizing aflatoxin as a carbon source for its growth was tested, there was some indication that aflatoxin might be used for growth of Pseudomonads. It was also noticed that the residual aflatoxin showed different migrating pattern compared with that of the intact aflatoxin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irdly, the cell-free extract prepared from Pseudomonas aeruginosa grown in a glucose minimal medium supplemented with aflatoxin and the intact aflatoxins were incubated in the presence of $Mg^{++}$. After a certain length of incubation period, the reaction mixtures were applied on TLC plates. As a result, aflatoxins in the reaction mixture migrated differently as the control did. Such results may indicate that some changes of aflatoxin properties were induced by Pseudomonads.

  • PDF

몇가지 고오지 곰팡이가 Aspergillus flavus에 의한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me Koji Molds on Production of Aflatoxin by Aspergillus flavus)

  • 김성택;김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55-259
    • /
    • 1986
  • Aspergillus flavus ATCC 15517에 의한 aflatoxin의 생산은 Aspergillus awamori, Aspergillus kawachii,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ea 및 Aspergillus shirousamii와의 혼합 배양시 단독배 양에 비하여 각각 1.3%, 13.8%, 1.3%, 0.7% 및 38.5%로 감소되었다. 또한 이들 고오지 곰팡이들은 $aflatoxin\;B_1$$791{\mu}g/50ml$ 함유하는 배지에서 7일 배양시 $75{\sim}100%$의 aflatoxin 분해율을 보였다. A. awamori는 배양중 aflatoxin을 분해하는 물질을 분비하였으며 가열처리로 이는 불황성화 되었다. 이 물질에 의한 aflatoxin의 분해산물은 Bacillus megaterium NRRL B-1368에 대한 독성도 소멸되었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보리의 Aflatoxin 생성(生成)과 감마선(線)의 영향(影響) (Producibility of Aflatoxin by Aspergillus parasiticus in Barley and Their Radiosensitivity)

  • 장학길;P. 마카키스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1981
  •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에 의한 보리의 aflatoxin생성(生成)에 미치는 코발트-60감마선(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감마선(線)은 평형수분(平衡水分)된 후(後)(접종(接種) 3일후(日後)), 그리고 10일(日)동안 배양후(培養後) 0, 50, 100, 200 및 400krad로서 조사(照射)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분함량(水分含量)이 17%에서 25%로 증가(增加)함으로써 aflatoxin의 생성량(生成量)이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으며, 특히 무조사구(無照射區)에서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2. 배양기간(培養期間)을 3일(日)에서 13일(日)로 연장(延長)하여 조사(照射)함으로써 aflatoxin의 생성(生成)이 더욱 증가(增加)하였다. 3. 접종(接種) 13일후(日後) 200krad로 조사(照射)하여 $25^{\circ}C$에서 배양(培養)된 25%수분함량(水分含量)(RH:100%)에서는 50 또는 100krad로 조사(照射)된 것보다 aflatoxin의 생성(生成)이 증가(增加)하였다. 4. Aflatoxin의 종류별(種類別) 축적비율(蓄積比率)은 aflatoxin G가 B보다 현저(顯著)하게 대량(大量)으로 축적(蓄積)되었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依)한 보리의 아플라톡신 생성(生成)에 대(對)한 온도(溫度)의 영향(影響) (Effect of Temperature on Aflatoxin Production in Barley by Aspergillus parasiticus)

  • 장학길;피마카키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2-167
    • /
    • 1982
  •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에 의(依)한 보리의 aflatoxin생성(生成)에 대(對)한 온도(溫度)와 수분(水分)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Aflatoxin생성(生成)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 및 $30^{\circ}C$였다. 수분함량(水分含量)이 13%일 때는 aflatoxin 검출(檢出)되지 않았고, 수분함량(水分含量) 16%에서는 적은 양(量)이 생성(生成)되었다. Aflatoxin B와 G의 생성비율(生成比率)은 온도(溫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에 따라 차이(差異)를 보였다. 즉 Aflatoxin G는 B보다 초기(初期)에 생성(生成)이 촉진(促進)되었으나 퇴화(退化)도 빨랐다. 또한 G는 낮은 온도(溫度)에서 생성(生成)이 많았다. Chloroforu유출물(抽出物)의 황색정도(黃色程度)와 aflatoxin함량(含量)과는 정(正)의 상관(相關)$(=0.966^{**})$이 있었다.

  • PDF

Grapefruit 종자추출물을 이용한 Aspergillus parasiticus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Grapefuit Seed Extract on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 조성환;정덕화;서일원;이현숙;황보혜;박우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2
    • /
    • 1992
  •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을 수확·저장·가공하는 기간중에 Aspergillus parasiticus가 오염되어 aflatoxin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생육배지에 graefruit 종자추출물(GFSE)을 처리하여 곰팡이의 생육 및 aflatoxin 생합성을 저해하는 뚜렷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4000 ppm의 GFSE농도 처리로 Aspergillus parasiticus의 생육을 92% 저해하였으며, 5000ppm 농도에서는 곰팡이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였고 3000ppm 이상의 농도에서 aflatoxin 의생성을 100% 억제하였다. 한편, GFSE 처리에 의하여 aflatoxin 생합성 경로증, averufin, versiconal acetate 등의 중간대사산물이 aflatoxin으로 주입되는 것이 완전히 저해된 반면, versicolorin A, versicolorin A hemiacetal, sterigmatocystin 등은 aflatoxin 으로 전환되는 결과를 보여주어 GFSE는 versiconal acetate를 포함한 그 이전의 중간 대사물이 반응기질이 되는 효소 반응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곰팡이균체 및 포자의 형태변화는 GFSE처리에 의하여 세포막기능에 파괴되어 세포구성 내용물이 유실되고 곰팡이가 사멸하고 aflatoxin 생합성 기작이 중단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PDF

광합성세균의 생리 및 이용에 관한 최근의 동향 (General characters and applications of photosynthetic bacteria)

  • 이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30-138
    • /
    • 1971
  • 배양조건에 따른 aflattoxin 생성능을 알기위하여 증대두배지에 Aspergillus flavus를 PH5.0 PH7.0 PH9.0 수분30%,45%,63%, 온도 2$0^{\circ}C$ 3$0^{\circ}C$ 4$0^{\circ}C$등의 조건으로 각각 배양한 27종의 시료와 Bacillus와 혼합배양한 3종의 시료를 AOAC 공정법에 의하여 aflatoxin의 생성량을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겨로가를 얻었다. 1. 각 PH에 의한 aflatoxin의 생성량은 PH5.0의 경우가 높았으며 PH7.0의 경우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 PH9.0에서는 aflatoxin생성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2. 수분합량에 따른 aflatoxin의 생성량은 수분이 적은 30%의 경우, 비교적 많은 양의 aflatoxin을 얻을 수 있었으며, 그 다음이 45%, 63% 으로서 수분함량이 많아질수록 aflatoxin의 생성이 감소되었다. 3.온도조건이 의한 결과는 Aspergillus flavus를 2$0^{\circ}C$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aflatoxin의 생성량을 볼 수 있었으며, 3$0^{\circ}C$의 경우도 비교적 높은 양의 aflatoxin 생성을 볼 수 있으나 4$0^{\circ}C$의 경우는 aflatoxin의 생성은 낮았다. 4.여러가지 배양조건에 따른 Aspergillus flavus의 aflatoxin생성량은 수분 30% PH5.0 온도2$0^{\circ}C$일때 crude aflatoxin은 5.093ppm로 가장 높았으며 수분함량 63% PH 9.0 온도 4$0^{\circ}C$일때 crude aflatoxin의 량은 2.197ppm으로 aflatoxin 생성이 가장 낮았다. 5. Aspergillus flavus를 여러 조건하에서 배양한 결과 가장 많이 생성되는 배양조건인 온도 20 $^{\circ}C$ 수분 30%의 조건하에서 Bacillus subtilis와 혼합배양한 결과 Aspergillus flavus 단독배양의 경우보다 Bacillus subtilis균과 혼합배양하였을때 aflatoxin은 약 27%나 감소되었다.

  • PDF

영남지방 농상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제2보) ELISA 법에 의한 Aflatoxin B1 검색 (Hygienic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Part II) Determination of Aflatoxin B1 by ELISA Method)

  • 정덕화;하기수;정혜경;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1-176
    • /
    • 1989
  • 영남지방 곡류에 오염되어 있는 Aflatoxin B1을 측정하기 위해 식속하고 정확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법을 응용하였다. 생산된 Antibody 는 aflatoxin B2와 강한 corss reaction을 보였고, 정량적으로 표준곡선을 보인 aflatoxin B1 범위는 1-100ppb이었으며, methanol-PBS-dimethylformamide로 spike시킨 쌀 추출물이 ELISA 반응에 약간의 간섭반응을 보였다. ELISA법에 의한 쌀 65종, 보리 116종의 aflatoxin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쌀시료 65개 중 3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보였으며, 그중 R-18이 $7.5\;\mu\textrm{g}/kg$, R-30이 $3.6\;\mu\textrm{g}/kg$, R-59가 $3.3\;\mu\textrm{g}/kg$ 순으로 aflatoxin B1 함량을 나타내었고 시료의 4.6%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보리 116종 중 겉보리에서 4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겉보리 UB-37이 $9.6\;\mu\textrm{g}/kg$의 함량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의 UB-35, UB-54순이었으며 전체 시료의 3.4%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 PDF

Aflatoxin B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과 물리화학적 인자 (Incubation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Aflatoxin B1 Binding of Lactic Acid Bacteria)

  • 임성미;안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에 의한 aflatoxin $B_1$의 결합 정도를 배양조건에 따라 측정하였고, 물리화학적 처리조건이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Enterococcus faecium DJ22, Lactobacillus fermentum DJ35, Lactobacillus rhamnosus DJ42 및 Lactobacillus pentosus DJ47는 19.3-52.1% 정도의 aflatoxin $B_1$ 결합 효과를 나타내어 균종에 따라 결합력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E. faecalis DJ14, Lactobacillus panis DJ29 및 Pediococcus halophilus DJ50 균주는 aflatoxin $B_1$에 대한 결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과 결합속도는 독소의 농도, 반응시간 및 온도와 초기 세포수 등의 배양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flatoxin $B_1$의 결합력은 세척 횟수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살아있는 세포와 가열 처리한 세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열, 산성 pH, ${\alpha}$-amylase, protease, lysozyme 혹은 sodium metaperiodate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아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에 aflatoxin $B_1$이 결합되며, urea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에 낮아지는 것은 이들 사이에는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시판 땅콩 및 땅콩버터 중 Aflatoxin $B_1$ 오염 분석 (Analysis of Peanut and Peanut Butter Retailed in Korea for Aflatoxin $B_1$)

  • 박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09-312
    • /
    • 2006
  • 식용 땅콩 40점(국산 28점, 수입산 12점)과 땅콩버터 30점(국산 12점, 수입산 18점)등 2003년 서울에서 무작위 선정된 총 70점의 국내 시판 중인 땅콩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aflatoxin $B_1$의 오염을 조사하였다. 본 곰팡이독소의 분석에는 형광검출 HPLC 방법이 사용되었고, 그 오염의 확인에는 HPLC-MS가 이용되었다. 두 가지 대표 시료들에 2 ppb수준으로 첨가된 aflatoxin $B_1$의 회수율은 모두 80%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또한 사용된 두 분석법 즉, HPLC-FD와 HPLC-MS의 검출한계는 각각 0.8과 0.1 ppb로 나타났다. 총 40점의 땅콩 중 10점(국산 4점, 수입산 6점)에서 aflatoxin $B_1$의 오염이 확인되었고, 국산 및 수입산 땅콩의 평균오염수준은 각각 19와 32 ppb이었다. 한편 aflatoxin $B_1$은 총 5점의 땅콩버터에서 검출되었고, 평균 오염수준이 국산과 수입산 땅콩버터 각각 10과 12 ppb이었다. 수입산 땅콩의 경우 aflatoxin $B_1$의 오염도가 보다 빈번히 나타났고, 특히 그 오염수준은 땅콩버터와는 다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지적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땅콩 및 땅콩버터는 한국인의 aflatoxin $B_1$ 노출에 있어서 주요 기여식품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lection of Resistant Varieties to Aspergillus flavus by Determination of Aflatoxin B1 Content in Korean Peanut (Arachis hypogaea L.) Accessions

  • Seungah Han;Byeong-Cheol Kim;Jungmin Ha;Tae-Hwan J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75-187
    • /
    • 2023
  • Peanuts, also known as groundnuts (Arachis hypogaea L.), are globally recognized as a vital oilseed crop. Peanuts are rich in proteins (e.g., arginine), oils (e.g.,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fiber, vitamins (e.g., niacin and tocopherol), and carbohydrates and are consumed worldwide. However, the presence of aflatoxin (AF) has garnered substantial attention since its initial discovery as the causative agent of Tukey's X disease in the United Kingdom in 1960. Among the 18 aflatoxins identified, aflatoxin B1 (AFB1) has the highest toxic activity and causes hepatocellular carcinoma. It is classified as Group I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flatoxin B1 resistance of 102 peanut accessions and select putative aflatoxin B1-resistant peanut accessions to aflatoxin B1. One hundred and one Korean germplasms harvested in 2020 were inoculated with A. flavus to identify aflatoxin-resistant cultivars, and the aflatoxin B1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detector. Twenty-six accessions with aflatoxin B1 concentrations lower than those of the check plant 55-437 were chosen for the development of aflatoxin-resistant varieties in Korea. As Korean aflatoxin-resistant varieties have not yet been developed,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flatoxin-resistant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