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attitude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8초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SNS-based Advertising and the Roles of Involvement: Focusing on Facebook News Feed Advertising)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88-202
    • /
    • 2014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뉴스 피드 광고 태도 영향 요소로서 정보성, 오락성, 성가심, 신뢰성, 개인화, 인센티브, 프라이버시 염려 등의 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뉴스 피드 광고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요인과 뉴스 피드 광고 태도 속에서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성과 오락성이 한 요인으로 구성된 인포테인먼트성, 신뢰성 및 개인화가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도는 성가심과 광고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소비자들에게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광고의 인포테이먼트성, 신뢰성 및 개인화의 측면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Effects of Congruence between Self-Image and the Advertising Image of Chinese Consumers on Advertising and Brand Attitudes -The Moderating Role of a Fashion Advertising Model's Nationality-

  • Cui, Yu Hua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6호
    • /
    • pp.1-15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responses of Chinese consumers,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of the fashion advertising model featured in an advertisement; it explores the effects of a congruence between self-image and advertising image (CSIAI) on consumer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online; 200 samples selecting a Korean model and 200 samples selecting a Chinese model with a fashion brand were analy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fluence of CSIAI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CSIAI of consumers positively influences their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and the brand, and further, that advertising and brand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is positiv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the nationality of the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ationality of the model can serve as an important retail mix for global marketers. Other result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Display Type of PPL and Program Context on Advertising Attitude : Moderating Role of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 김성은;전중옥;박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97-31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소비자 개인특성변수로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배치유형: 현저/모호)${\times}2$(프로그램 상황: 긍정적/부정적)${\times}2$(사전 침입성 지각: 고/저)의 실험설계에 의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PL 광고의 배치유형에 따른 광고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의 상호작용이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치유형과 사전 침입성 지각의 상호작용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상황과 사전 침입성 지각의 상호작용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치유형, 프로그램 상황, 사전 침입성 지각은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PPL 광고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UGC as a New Digital Promotion in the Metaverse Context

  • Huimin XU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10호
    • /
    • pp.11-2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brand-related user-generated content (UGC) influences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text of the Metaverse, and the mediating role of virtual brand experience,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with 239 questionnaires from frequent social media users in China and hypothesis testing through AMOS 26.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1) brand-related UGC positively influences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virtual brand experience,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2) The study identified the fully-mediated effects of virtual brand experience,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the impact of brand-related UGC on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3) The mediating pathway with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was the virtual brand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followed by the effect of the virtual brand experience,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on brand attitude.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UGC as a new type of digital promotion that can positively impact the effectiveness of brand advertising in the Metaverse.

인터넷 광고유형과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A study on the advertising effects by internet advertising types and fashion lifestyle)

  • 고은주;목보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1258-126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fashion lifesty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lifestyle and internet advertising effect,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types and advertising effects. Using dependent variables as internet advertising effects(i.e., attitude to advertising, attitude to product, attitude to brand), advertising types (i.e., banner, website e-mail types) and fashion lifestyl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study, a sample of 152 apparel consum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research. The survey of design with a questionnaire was employed. Three types of fashion advertisement were included as banner type, website type, and e-mail type. For each type, two sample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the html language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internet on October 2000.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i. e., frequency, percen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d ANOVA were used. First, fashion lifestyle was classified with the seven dimensions: personality seeking group, planning purchase group, fashion leader group, fashion information seeking group, media preference group, commonness/traditional group, fashion follower group. Second, fashion lifestyle had signification effects on advertising effects. In the group of fashion lifestyle, fashion Information seeking group and planning purchase group were found to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lanning purchase type was influenced to attitude toward brand and attitude toward product. Third, main effects of fashion lifestyl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correlation and interaction effects of fashion lifestyle and internet advertisement types were not significant.

  • PDF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motivation on application display advertising attitude and avoidance: Mediating effect of ad intrusion)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59-56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는 309명이며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변량구조분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이용동기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가 광고회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는 지각된 광고침입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마트폰 에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침입성 지각은 광고회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 행동간에 인과관계에서 광고침입성 지각은 매개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광고회피 행동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제안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V를 통한 스포츠 시청 중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침입성, 광고태도, 광고회피의 차이와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Difference During to Watch Sports Through TV by Advertising to Perceived Intrusiveness, Advertising Attitude and Advertising Avoidance)

  • 조송현;장현길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6호
    • /
    • pp.309-31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와 야구 시청 중 광고에 대한 지각된 침입성, 광고태도, 광고회피의 차이를 규명하고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포츠 시청자들에게 더 나은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 제시 및 스포츠를 통해 광고하는 기업의 광고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조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B광역시 대학생 275명을 표집하여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IBM AMOS 20을 활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IBM SPSS Statistics 21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야구시청자가 축구시청자보다 인지적 광고회피와 물리적 광고회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태도, 지각된 침입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회피(물리적 광고회피, 인지적 광고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광고태도는 인지적 광고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광고태도는 물리적 광고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조형성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매력성과 적합성의 병렬 이중 매개효과 (The Impact of Virtual Influencer Formativeness on Advertising Attention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The Dual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Attractiveness and Suitability)

  • 김은희;이노미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1-31
    • /
    • 2024
  • 본 연구는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예술적 형상을 창조하는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 광고 태도와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확인하고자 연구 대상자는 SNS 이용률이 높은 MZ세대와 X세대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통계 27.0과 SPSS 프로세스 매크로 버전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와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의 경로에서 총 효과가 직접 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에 의해 병렬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형성이 매개변수인 매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매력성은 광고 태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형성은 적합성에 적합성은 다시 광고태도에 영향이 미치기에 이들 변인 간에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조형성과 광고태도와의 관계에서는 매력성과 조형성에 의한 병렬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는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제작 측면에서 고려되는 조형성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 태도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의 병렬 이중 매개효과를 살펴보면서 학문적 함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래핑 광고의 레이아웃 구성 요소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버스 래핑을 중심으로 (Effect That Layout Component of Wrapping Advertisement gets in Brand Attitude: To Center on Bus Wrapping)

  • 이광숙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81
    • /
    • 2012
  • A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for analysing layout-factors of bus wrapping which influence on brand attitude. 13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23 copies were retreated at metropolitan area. SPSS 12.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testing hypothesis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ttention, readability, explicitness, formativeness, creativity are partially significant to establish brand attitude. Attention and readability are insignificant, while explicitness, formativeness, creativity are significant to establish brand attitude. The most effective independent variables are creativity, and explicitness and formativeness are followed. In particular sensual, original, fresh layout of bus wrapping are highly significant.

Effect of SNS sports advertisement Engagement on advertising attitude, product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sports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 Lee, Kwa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14-2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s' engagement through SNS sports advertisement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advertising attitudes and product trust for the disabled. In other words,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disabled people's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s is formed by acting on various sports product advertisements that are seen during SNS activities.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sports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advertising attitude and product trust, and advertising attitude and product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emotion engineering and communal engineering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s and not on product 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