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anced models

검색결과 1,834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a modified surgical protocol on the positional accuracy of dental implants placed using fully guided implant surgery in the partially edentulous posterior ridge with distal extension: a dentiform model study

  • Young Woo Song;Seung Ha Yoo;Ui-Won J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24
  • PURPOSE. The present experiment aimed to evaluate the placement accuracy of fully guided implant surgery using a mucosa-supported surgical guide when the protocol of osteotomy and installation was modified (MP) compared to when the protocol was sequentially and conventionally carried out (CP). MATERIALS AND METHODS. For 24 mandibular dentiform models, 12 dentists (6 experts and 6 beginners) performed fully guided implant placements two times at the right first and second molar sites using a mucosa-supported surgical guide, once by the CP (CP group) and at the other time by the MP (MP group).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stereolithographic images were superimposed, and the deviations between the virtually planned and actually placed implant positions and the procedure time were compared statistically (P < .05). RESULTS. The accuracies were similar in the CP and MP groups. In the CP group, the mean platform and apex deviations at the second molar site for the beginners were +0.75 mm and +1.14 mm,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for the experts (P < .05). In the MP group, only the mean vertical deviation at the second molar site for the beginners (+0.53 mm)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for the experts (P < .05). The procedure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MP group (+94.0 sec) than for the CP group (P < .05). CONCLUSION. In fully guided implant surgery using a mucosa-supported guide, the MP may improve the placement accuracy when compared to the CP, especially at sites farther from the most-posterior natural tooth.

Influence of size-anatomy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on the biomechanical performance of post-and-core restoration with different ferrule heights

  • Domingo Santos Pantaleon;Joao Paulo Mendes Tribst;Franklin Garcia-Godoy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2호
    • /
    • pp.77-90
    • /
    • 2024
  • PURPOS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errule effect and types of posts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ree morphological type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MATERIALS AND METHODS. Nine models were created for 3 maxillary central incisor morphology types: "Fat" type - crown 12.5 mm, root 13 mm, and buccolingual cervical diameter 7.5 mm, "Medium" type - crown 11 mm, root 14 mm, and buccolingual cervical diameter 6.5 mm, and "Slim" type - crown 9.5 mm, root 15 mm, and buccolingual cervical diameter 5.5 mm. Each model received an anatomical castable post-and-core or glass-fiber post with resin composite core and three ferrule heights (nonexistent, 1 mm, and 2 mm). Then, a load of 14 N was applied at the cingulum with a 45° slope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and the Minimum Principal Stress were calculated in the root dentin, crown, and core. RESULTS. Higher tensile and compression stress values were observed in root dentin using the metallic post compared to the fiber post, being higher in the slim typ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n in the medium and fat types. Concerning the three anatomical type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slim type without ferrule height in mm presented the highest tensile stress in the dentin, for both types of metal and fiber posts. CONCLUSION. Post system and tooth morphology were able to modify the biomechanical response of restored endodontically-treated incisors, show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ized dental treatment for each case.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을 위한 블록체인과 AI 기반 빅 데이터 처리 기법 (Blockchain and AI-based big data processing technique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s)

  • 정윤수
    • 산업과 과학
    • /
    • 제3권2호
    • /
    • pp.17-22
    • /
    • 2024
  • 최근 ICT분야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면서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에서는 ICT 기술들을 활용하여 농작물별 병충해 분석, 농작물 수확시 로봇 사용, 빅 데이터로 인한 예측 등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지속 가능한 농업 환경에서는 자원의 고갈, 농업 인구 감소, 빈곤 증가, 환경 파괴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농업 환경 기반의 농작물의 생산 비용 감소 및 효율성을 증가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빅 데이터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AI를 결합한 농작물의 빅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강화하고, 더 나은 의사 결정과 비즈니스 가치 추출이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산업과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데이터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실험과정에서 제안 기법은 다량의 데이터가 생성되나, 일일이 정답을 태깅하기 힘든 농장 현장에서, 소량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정확한 정답을 부여하고, 정답이 부여되지 않은 다량의 데이터와 함께 학습하여, 다량의 정답 데이터로 학습했을 때와 유사한 성능(오차율:0.05 이내)이 나타났다.

Evaluation of Evacuation Safety i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Pathfinder

  • Zechen Zhang;Jaewook Lee;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237-246
    • /
    • 2024
  • In recent years, the frequent occurrence of fire accidents in university libraries has posed significant threats to the safety of students' lives and property, alongside negative social impacts. Accuratel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evacuation during library fires and proposing optimized measures for safe evacuation is thus crucial. This paper utilizes a specific university library as a case study, simulating fire evacuation scenarios using the Pathfinder software, to assess and validate evacuation strategies and propose relevant optimizations. Pathfinder, developed by Thunderhead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is an intuitive and straightforward personnel emergency evacuation assessment system, offering advanced visualization interfaces and 3D animation effects.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evacuation models and perform simulation analysis for the selected university library using Pathfinder. The library's structural layout, people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e of fire and smoke spread are considered in the analysis. Additionally, evacuation scenarios involving different fire outbreak locations and the status of emergency exits are examined.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ffective evacuation in fire situations, highlighting how environmental condi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significantly influence evacuation efficiency.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the study enhances understanding and optimization of evacuation strategies in fire scenarios,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efficiency. The research not only provides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building design, management, and emergency response planning in libraries but also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effective evacuation systems in buildings, crucial for ensuring occupant safety and minimizing loss of life in potential hazard situations

Analysis of University Cafeteria Safety Based on Pathfinder Simulation

  • Zechen Zhang;Jaewook Lee;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209-217
    • /
    • 2024
  • Recent years have seen a notable increase in fire incidents in university cafeterias, yet the social attention to these occurrences remains limited. Despite quick responses to these incidents preventing loss of life, the need for large-scale evacuation in such high foot traffic areas can cause significant disruptions, economic losses, and panic among students. The potential for stampedes and unpredictable damage during inadequate evacuation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and evacuation research in these settings.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evacuation models in various university environments, emphasi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on evacuation efficiency. However, research specifically focusing on university cafeterias is scarce. This paper addresses this gap by employing Pathfinder software to analyze fire spread and evacuation safety in a university cafeteria. Pathfinder, an advanced emergency evacuation assessment system, offers realistic 3D simulations, crucial for intuitive and scientific evacuation analysis. The studied cafeteria, encompassing three floors and various functional areas, often exceeds a capacity of 1500 people, primarily students, during peak times. The study includes constructing a model of the cafeteria in Pathfinder and analyzing evacuation scenarios under different fire outbreak conditions on each floor. The paper sets standard safe evacuation criteria (ASET > RSET) and formulates three distinct evacuation scenarios, considering different fire outbreak locations and initial evacuation times on each floor.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 the impact of the fire's location and the evacuation preparation time on the overall evacuation process, highlighting that fires on higher floors or longer evacuation preparation times tend to reduce overall evacuation time.In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s a multifaceted approach to improve evacuation safety and efficiency in educational settings. Recommendations include expanding staircase widths, optimizing evacuation routes, conducting regular drills, strengthening command during evacuations, and upgrading emergency facilitie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managing emergencies is also suggested. These measures collectively form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nsuring safe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fire emergencies.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의한 지표면 광대역 방출율 산출 (Calculation of Surface Broadband Emissivity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 조은수;이규태;정현석;김부요;조일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9-282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Earth Observing System Terra 위성에 탑재된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협대역 방출율(채널 29, 30, 31) 자료와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 광대역 방출율을 추정하였다. 다중선형회귀모형 도출 및 검증을 위한 분광 방출율 자료는 MODI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와 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 spectral library의 307종(토양 123종, 식생 32종, 물 19종, 인위적 재료 43종, 바위 90종)을 사용하였다. 도출된 다중선형회귀모형의 결정계수($R^2$)는 0.95 (p<.001)로 높게 나타났고 또한 이 모형 결과와 이론적 광대역 방출율 값의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는 0.0070이었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에 따라 계산된 지표면 광대역 방출율을 선행 연구 Wang et al. (2005)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이 연구와 Wang et al. (2005)의 결과에 대한 1월 평균 지표면 광대역방출율의 평균제곱근오차는 0.0054이었고 최소와 최대 편차는 각각 0.0027과 0.0067이었으며 이러한 통계 값은 8월에도 유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중선형회귀모형에 의하여 계산한 지표면 광대역 방출율은 Wang et al. (2005)의 값과 큰 차이가 없이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되었으나 산출 정확성 향상을 위해서는 토지피복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회귀모형 적용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의 해양예측, 오늘과 내일 (Korean Ocean Forecasting System: Present and Future)

  • 김영호;최병주;이준수;변도성;강기룡;김영규;조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2호
    • /
    • pp.89-103
    • /
    • 2013
  • 경제 발전에 따라 레저, 해운, 수산, 국방, 해난사고 등 해양을 이용하는 활동이 증가하면서 해양예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상에서 해양의 역할이 새롭게 인식되면서 정확한 기상 및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해양 예측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인 요구와 관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해양예측시스템이 수립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해양예측시스템을 발전시키고 확산시킨 국제협력프로그램 GODAE(Global Ocean Data Assimilation Experiment)의 진행과정과 기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재 해양예측시스템을 운용 중인 미국,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노르웨이, 호주, 일본, 중국이 해양예측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세웠던 목적과 비전, 역사, 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각 나라의 해양예측시스템 현황을 비교하였다. 우리보다 앞서 해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나라들이 취한 개발 전략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하여 성공적인 현업 해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둘째, 국제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선진 기술을 공유하고 상호 발전시켰다. 셋째, 각 기관의 역할과 고유 목적에 따라 기여분야를 나눠가졌다. 국내에서도 최근 현업 해양예측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국방과학연구소의 해양예측시스템 개발에 관한 현재 상황과 향후 장기적 계획을 조사하였다. 국지 해양예측 또는 기후예측 모델을 위한 개방경계 초기장 제공이 가능한 광역의 정확도 높은 해양예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유관 기관 간 협력 관계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관련 기관과 연구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성이 바람직하다. 컨소시엄을 통해 경쟁력 높은 예측 모델과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제한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구 개발 인력이 전문분야에 집중할 수 있으며, 중복 투자를 막고 각 기관은 고유 업무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 비록 해양예보에 있어 우리나라가 현 단계로는 국제적인 수준에 뒤쳐져 있지만, 각 유관 기관들이 고유 업무를 정립하고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하여 현업 해양예측시스템을 공동 개발하면 곧 추격하여 해양예보 분야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무알칼리 다성분 La2O3-Al2O3-SiO2 유리의 조성과 몇 가지 물성의 관계 (Composition-Some Properties Relationships of Non-Alkali Multi-component La2O3-Al2O3-SiO2 Glasses)

  • 강은태;양태영;황종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7-133
    • /
    • 2011
  • Non-Alkali multicomponent $La_2O_3-Al_2O_3-SiO_2$ glasses has been design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a mixture design experiment with constraints. Fitted models fo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Young's modulus, Shear modulus and density are as follows: ${\alpha}(/^{\circ}C)=8.41{\times}10^{-8}x_1+5.72{\times}10^{-7}x_2+2.13{\times}10^{-7}x_3+1.09{\times}10^{-7}x_4+1.10{\times}10^{-7}x_5+1.15{\times}10^{-7}x_6+2.72{\times}10^{-8}x_7+2.41{\times}10^{-7}x_8-1.08{\times}10^{-8}x_1x_2+4.28{\times}10^{-8}x_3x_7-2.02{\times}10^{-8}x_3x_8-1.60{\times}10^{-8}x_4x_5-2.71{\times}10^{-9}x_4x_8-2.19{\times}10^{-8}x_5x_6-3.89{\times}10^{-8}x_5x_7$ $T_g(^{\circ}C)=7.36x_1+15.35x_2+20.14x_3+8.97x_4+13.85x_5+4.22x_6+28.21x_7-1.44x_8-0.84x_2x_3-0.45x_2x_5-1.64x_2x_7+0.93x_3x_8-1.04x_5x_8-0.48x_6x_8$ $E(GPa)=2.04x_1+14.26x_2-1.22x_3-0.80x_4-2.26x_5-1.67x_6-1.27x_7+3.63x_8-0.24x_1x_2-0.07x_2x_8+0.14x_3x_6-0.68x_3x_8+0.29x_4x_5+1.28x_5x_8$ $G(GPa)=0.35x_1+1.78x_2+1.35x_3+1.87x_4+9.72x_5+29.16x_6-0.99x_7+3.60x_8-0.48x_1x_6-0.50x_2x_5+0.08x_3x_7-0.66x_3x_8+0.94x_5x_8$ ${\rho}(g/cm^3)=0.09x_1+0.51x_2-4.94{\times}10^{-3}x_3-0.03x_4+0.45x_5-0.07x_6-0.10x_7+0.07x_8-9.60{\times}10^{-3}x_1x_2-8.20{\times}10^{-3}x_1x_5+2.17{\times}10^{-3}x_3x_7-0.03x_3x_8+0.05x_5x_8$ The optimal glass composition similar to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Si based on these fitted models is $65.53SiO_2{\cdot}25.00Al_2O_3{\cdot}5.00La_2O_3{\cdot}2.07ZrO_2{\cdot}0.70MgO{\cdot}1.70SrO$.

최근 12년간 아까시나무 만개일의 변화와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만개일 예측 (Recent Changes in Bloom D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Bloom Date Predictions Using a Process-Based Model in South Korea)

  • 김수경;김태경;윤석희;장근창;임혜민;이위영;원명수;임종환;김현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322-340
    • /
    • 2021
  • 최근 급격한 봄철 기온 상승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개화 시기가 변화하면서 지역간에 동시 개화 현상(simultaneous blooming)이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양봉 산업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정확도 높은 아까시나무 개화시기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아까시나무의 지역별 개화 시기 변화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개화 시기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2년(2006~2017년)간 전국 26개 지점에서 관측된 아까시나무 만개일 자료와 과거 일기온 복원 자료를 활용하여 봄철 기온 및 아까시나무 만개일 변화의 경향성을 권역별로 파악하고,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하여 지역 통합 모형(SM)과 함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세 모형-SM에 지점별 보정계수를 도입한 수정 통합 모형(MSM), 권역별로 모수를 추정하는 권역별 통합 모형(GM), 관측 지점별로 모수를 추정하는 지역 모형(LM)-을 도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온 및 만개일의 경향 분석 결과, 남부 지역에 비해 봄철 기온 상승률이 2배 이상 높았던 중북부 내륙 지역의 경우 만개일이 빠른 속도로 앞당겨져, 결과적으로 남서부 해안 지역과의 만개일 차이는 1년에 0.7098일씩 감소하였다(p-value=0.0417). 전체 지역에 대한 모형의 성능 비교 결과, 지역 특이성이 반영되지 않은 SM에 비해서 MSM은 24% 이상, LM은 15% 이상 감소한 RMSE 값을 나타냈다. 또한 LM과 MSM의 예측 알고리즘을 전국 범위로 확대하여 4년 간(2014~2017년) 16개의 추가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LM에 코크리깅(Co-kriging)기법을 적용한 방법이 보정계수 전국 분포도를 추정하여 SM을 보정하는 방법보다 예측력이 더 뛰어났으며, 오차의 분포는 두 모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MSE: p-value=0.0118, Bias: p-value=0.0471).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개화 시기 예측에 있어 지역 단위 예측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모형을 넓은 지역 범위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SVM을 이용한 VKOSPI 일 중 변화 예측과 실제 옵션 매매에의 적용 (VKOSPI Forecasting and Option Trading Application Using SVM)

  • 라윤선;최흥식;김선웅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177-192
    • /
    • 2016
  •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의 한 분야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를 학습시켜 기계 스스로가 데이터 분석 및 예측을 하게 만드는 것과 관련한 컴퓨터 과학의 한 영역을 일컫는다. 그중에서 SVM(Support Vector Machines)은 주로 분류와 회귀 분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델이다. 어느 두 집단에 속한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얻었을 때, SVM 모델은 주어진 데이터 집합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어느 집단에 속할지를 판단해준다. 최근 들어서 많은 금융전문가는 기계학습과 막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금융 분야와의 접목 가능성을 보며 기계학습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면서 각 금융사는 고도화된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통해 여러 금융업무 수행이 가능한 로봇(Robot)과 투자전문가(Advisor)의 합성어인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서비스를 발 빠르게 제공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현재의 금융 동향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방법의 하나인 SVM을 활용하여 매매성과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SVM을 통한 예측대상은 한국형 변동성지수인 VKOSPI이다. VKOSPI는 금융파생상품의 한 종류인 옵션의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VKOSPI는 흔히 말하는 변동성과 같고 VKOSPI 값은 옵션의 종류와 관계없이 옵션 가격과 정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VKOSPI의 정확한 예측은 옵션 매매에서의 수익을 낼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한 VKOSPI의 예측을 다룬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SVM을 통해 일 중의 VKOSPI를 예측하였고, 예측 내용을 바탕으로 옵션 매매에 대한 적용 가능 여부를 실험하였으며 실제로 향상된 매매 성과가 나타남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