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adopte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성인입양인의 생애사 연구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an Adult Adoptee)

  • 권지성;최운선;변미희;안재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83-10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입양인의 생애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명의 성인입양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관찰, 기록물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생애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과정은 우선 연구참여자의 생애 과정을 연대기 형식으로 요약한 뒤, 인생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고, 연구참여자 사례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주제들을 파악하여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앞서 분석된 내용들을 검토하여 입양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개입이슈들을 파악하여 논의하였다. 주제분석에서는 '옹이 신세', '나비가 되려는 애벌레', '괜찮아요. 아니, 안괜찮아요', '내가 잘못한 건 아니니까', '사랑, 삶을 이끄는 결정적 요소' 등의 주제들을 발견하여 제시하였으며, 입양 시점, 사후관리, 비밀입양과 공개입양, 뿌리찾기, 성인입양인 대상 개입 등의 개입이슈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입양인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 PDF

한국인 다시 되기: 최근 미국 연극에 나타난 성인 입양인의 귀환과 젠더 연습 (Re-made in Korea: Adult Adoptees' Homecoming and Gendered Performance in Recent American Plays)

  • 나은하
    • 미국학
    • /
    • 제43권1호
    • /
    • pp.25-56
    • /
    • 2020
  • The essay examines two contemporary American plays that portray adult Korean American adoptees' return to South Korea: How to Be a Korean Woman (2012) by Sunmee Chomet and Middle Brother (2014) by Eric Sharp. While the existing scholarship on transnational adoption has discussed homecoming as a predominantly female experience of birth mothers and daughters, Chomet and Sharp suggest the differing ways in which the adoptee subjectivity is re-imagined in particularly gendered ways after homecoming. In these plays, adult adoptees' repeated, mundane bodily performances of Korean cultural norms illustrate how notions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are inscribed onto the body of adoptee individuals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Such performative construction of Korean-ness departs from the earlier theatrical representations of young, adolescent adoptees' homecoming that served as a symbolic rite of passage, a necessary process through which they would gain cultural hybridity and mature into cosmopolitan American-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