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riamycin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9초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Temperature Sensitive Liposomes Containing Adriamycin and Cytarabine

  • Kim, Chong-Kook;Lee, Suk-Kyeong;Lee, Beom-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29-133
    • /
    • 1993
  • Temperature sensitive liposomes(TSL) containing adriamycin (ADM) and cytarabine (Ara-C) were prepared. ADM and Ara-C were selected as model compounds of amphiphilic and hydrophilic drug, respectively. Encapsulation efficiency of ADM entrapped into TSL was about twice greater than that of Ara-C. It might be due to different polarity of the drug, Lipid compositions of TSL had no effect on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drugs. Thermal behavior of TSL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was also investigated. Phase transition of TSL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was also investigate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_c)$ of TSL was dependent on the lipid compositions of TSL ADM broadened thermogram of TSL but Ara-C did not. However, $T_c$ of TSL was not changed by any drug. Release rate of drugs was highly dependent on temperature. The release profile of ADM was similar to that of Ara-C. The maximum release rate of drugs from TSL was occurred at the near $T_c$ and observed at $39-41^\circ{C}$ for DPPC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only, $52-54^\circ{C}$ for DPPC and DSPC (1:1), respectively. Effect of human serum alburmin (HAA) on the release rate of ADM was investigated. HSA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ease of ADM below $T_c$. However, ADM release from TSL was increased at the near and above $T_c$. The HSA-induced leakage of drug may result from the interaction of liposomal constituents with HSA structure at the near TEX>$4^\circ{C}$. From the fact that the release profiles of ADM from freshly prepared TSL and stored TSL for 1 week at TEX>$4^\circ{C}$ was not changed, the TSL was considered to be stable for at least 1 week at TEX>$4^\circ{C}$. Based on these findings, TSL may be useful to deliver drugs to preheated target sites due to its thermal behaviors.

  • PDF

Renoprotective Effect of Plantago major Against Proteinuria and Apoptosis Induced by Adriamycin in Rat

  • Yazd, Zohreh Naji Ebrahimi;Noshahr, Zahra Samadi;Hosseinian, Sara;Shafei, Mohammad Naser;Bideskan, Alireza Ebrahimzadeh;Mohebbati, Reza;Heravi, Nazanin Entezari;Shahraki, Samira;Mahzari, Somayeh;Rad, Abolfazl Khajav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0
    • /
    • 2019
  • Objective: Adriamycin (ADR) is an important anti-cancer drug which can cause renal toxicity. Given the know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Plantago major (P. maj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P. major on ADR- induced nephropathy in rats. Methods: Fifty male Wistar albino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including: control, ADR (5 mg/kg), ADR + P. major (600 and 1200 mg/kg) and P. major (1200 mg/kg). The animals were treated with P. major extract for 5 consecutive weeks and ADR was intravenously injected on the 7th day of the study. Urine and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on days 0, 14, 21, 28, and 35 for the measurement of serum cholesterol and albumin levels and urine protein excretion rate. At the end of the study, the left kidneys were removed for apoptosis assessment. Results: Administration of ADR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albumin level and increased serum cholesterol and urine protein excretion rate as well as, apoptotic cell numbe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01) while had no effect on glomerular filtration rate (P > 0.05). Treatment with P. major, in both 600 and 1200 mg/kg doses, increased serum albumin level and decrease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urine protein excretion rate and as well as the number of apoptotic cell compared to the ADR group (P < 0.001).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 major extract effectively protects against ADR- induced nephropathy by reducing kidney apoptosis and improving renal functioning in rats.

Adriamycin을 사용한 환아에서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기능의 평가 : 심근 수축력의 부하 비의존족 지표 및 휴식시와 운동시의 비교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with Echocardiography in Patients Treated with Adriamycin : A Load-Independent Index of Myocardial Contractility and Comparisons between Rest and Exercise)

  • 박병수;박혜영;이해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2호
    • /
    • pp.214-222
    • /
    • 2002
  • 목 적 : Anthracylines계 약물은 매우 효과적이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이다. 그러나 심근손상이라는 중요한 합병증이 있으며 이는 종종 중하거나 심지어는 치명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nthracyacline을 사용했던 소아 암환자에서 비침습적이고 비교적 안전한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기존의 지표에 비해 좀 더 정확하고 주위변수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심근손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방 법 : Adriamycin을 투여 받았던 17명의 환자군과 2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좌심실 내경, 심실벽 긴장도 그리고 수축기능이 평가되었다. 17명의 환자에 대해서는 2번에 걸쳐 검사가 시행되었는데, 휴식상태(group 1)와 운동을 하고 난후(group 2)에 검사를 각각 시행하였다. 결 과 : 이완기 말 좌심실 내경은 두 군에서 모두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소견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두 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완기 말 좌심실 용적과 심실벽 크기는 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소견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모두 의미가 있었다. Group 2에서 group 1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수축기말 경선 긴장도는 두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group 1에서 group 2 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분획단축으로 평가된 수축능력은 group 1에서는 17명 중 5명(29%)에서 비정상적인 결과를 나타내었고, group 2에서는 17명 중 6명(35%)에서 수축능력의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nonparametric testing으로 검정한 결과 두 군간의 특이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부하 비의존적 지표인 원주상 섬유 단축속도와 수축기말 경선 긴장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있음이 관찰되었는데, group 1에서 17명 중 7명(41%), group 2에서는 17명 중 12명(71%)에서 현저한 비정상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결 론 : 분획단축과 같은 부하 의존적 수축기 지표는 전부하 혹은 후부하의 보상적 변화에 의해서 비정상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축력의 장애가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부하 비의존적 지표인 수축기 말 압력과 내경과의 기울기 관계 및 운동 후 수축기말 심실벽 긴장에 따른 원주상 섬유 단축속도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써 심장의 수축능력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심근손상의 조기발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항암제에 내성인 생쥐의 백혈병세포 L1210의 세포막 단백질의 변환 (Membrane Protein Alterations Associated with Anticancer Drug Resistance in Mouse Lymphoblastic Leukemia L1210 Cells)

  • 김성용;손성권;김재룡;김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32-444
    • /
    • 1993
  • Adriamycin과 vincristine 각각에 내성인 생쥐의 림프아세포성 백혈병세포 L1210세포의 특성과 내성관계 단백질을 찾아내고 항암제의 세포내 분포를 관찰하였다. 항암제의 내성생성은 adriamycin이 $10^{-5}M$$10^{-6}M$에서 자란 세포를 L1210-$AdR_5$$-AdR_6$로 하고 vincristine은 $10^{-6}M$$10^{-7}M$에서 자란 세포를 L1210-$VcR_6$$-VcR_7$로 하였다. 감수성세포는 L1210으로 하였다. 내성세포의 성장속도는 감수성세포에 비해 느렸으며 doubling time은 L1210가 29.7시간, L1210-$AdR_5$가 68.7시간 $-VdR_6$가 58.2시간이었다. 복합내성은 내성인자로 표기되었고 L1210-$AdR_5$는 vincristine에 대해 76.4배, $-VcR_6$는 adriamycin에 대해 98.6배로 나타냈다. 감수성세포와 내성세포의 세포막 단백질을 비교한 결과 L1210-$AdR_5$에서는 220, 158, 88 Kd의 내성관계단백질이 나타났고 $-VcR_6$에서는 158, 140 및 88Kd의 내성관계단백질이 관찰되었다. 세포막 표면단백질을 $^{125}I$로 결합시켜 자가방사선상으로 분석하였다. 세포막 표면단백질에 결합되는 $^{125}I$의 정도는 L1210에 0.95% L1210-$AdR_5$에 5.4%, $-VcR_6$에 1.7%였다. 세포막표면단백질은 L1210-$AdR_5$에서는 158, 72.8 및 42.4 Kd의 단백질, $-VcR_6$에서는 300, 158, 72.8 및 42.4 Kd의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 PDF

진행된 Wilms 종양에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의 의의 (The Rol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Advanced Stage Wilms Tumor)

  • 강창규;문광빈;유건희;구홍회;윤혜경;박관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34-1539
    • /
    • 2002
  • 목 적 : Wilms 종양은 진행된 경우에서도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의 병합요법으로 치료 성적이 우수하지만 방사선 치료로 인한 후기 합병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Wilms 종양(병기 3기, 4기)에서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완전 절제율을 높임으로써 방사선 치료를 생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1998년 1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Wilms 종양으로 치료를 시작한 환자 중 침 생검 후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시 3기, 4기의 환자에서 침 생검이 가능한 경우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vincristine, adriamycin, dactinomycin)을 12주간 시행 후 종양의 크기가 감소하면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완전 절제가 된 경우 방사선 치료를 생략하고 수술 후 화학요법(vincristine, dactinomycin${\pm}$adriamycin)을 시행하였다. 침 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위험하다고 생각되었던 경우에는 먼저 수술적으로 종양을 절제하고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중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를 시작한 17례의 Wilms 종양 중 3기, 4기는 12례였고 이중 2례에서는 침생검이 불가능하여 먼저 수술적으로 종양을 절제하였고 침생검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10례였다. 이들의 진단 시 정중 연령은 21개월(5개월-103개월)이었고, 진단 후 정중 추적기간은 31개월(9개월-44개월)이었다.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한 10례 중 2례를 제외한 8례에서 수술시 병기가 1기로 하향화되었으며, 수술시 병기가 2기였던 1례와 함께 총 9례에서 종양의 완전절제가 가능했고 방사선 치료도 생략할 수 있었다. 이들 중 4례에서는 adriamycin도 치료에서 제외하였다. 종양의 완전 절제에 실패한 1례는 결국 사망하였고, 1례는 재발하였으나 강화된 항암화학요법과 수술로 다시 관해에 도달하여 현재 10례 중 9례가 무병 생존 중이다. 결 론 : 진행된 Wilms 종양에서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완전 절제율을 높이고 방사선 치료를 생략할 수 있었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수술 후 화학요법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향후 생존율의 저하 없이 후기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esna의 쥐 고환에 대한 방사선 보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Mesna on Mouse Testis)

  • 류삼열;김재철;김상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45-150
    • /
    • 1990
  • 고환암에서 mesna는 ifosfamide와 병용 투여하면 요관 계통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adriamycin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 항암제의 세포증식 억제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부작용을 경감 시킨다. 방사선 보호제의 sulfhydryl가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hydroxyl 유리기와 반응하여 조직을 보호할 수 있고, 역시 체내에서 유리기를 발생하는 adriamycin의 독작용을 musua가 감소시키는 사실에 근거하여, 쥐에 mesna와 방사선을 투여하여 mesna의 방사선보호 작용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단독 처치군과 mesna와 방사선 처치군에서 고환의 수정관 내의 배아세포의 수와 형태적 변화를 현미경 하에서 매주 비교하고 재생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양쪽 군에서 공히 초기에 세포 수가 감소하고 후기에 다시 세포가 증식 하였으며, 가장 세포 수가 적게 관찰된 시기는 방사선 조사 후 3주 째였다. 모든 관찰 기간에서 mesna 처치군의 평균 배아 세포수가 방사선 단독 처치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고(p<0.05), 또한 mesna 처치군에서 더 유효한 세포 재생 능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mesna가 방사선 상해로부터 고환의 수정관 내 배아세포를 보호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Mesna가 고환 이외의 다른 조직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종양의 관해율을 저해하지 않을지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이 중의 Coenzyme $Q_{10}$첨가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II. 미토콘드리아내의 Coenzyme $Q_{10}$ 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enzyme $Q_{10}$ on Lipid Peroxidation in Adriamycin-treated Rats - II. Effect on Mitochondrial Coenzyme $Q_{10}$ Level and Fatty Acid Composition -)

  • 서정숙;한인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299-307
    • /
    • 1991
  • 식이 중에 첨가된 coenzyme $Q_{10}$이 ADR을 투여한 흰쥐의 심장 미토콘드리아 분획의 coenzyme $Q_{10}$ 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4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함과 동시에 ADR을 투여하였으나 실험 2에서는 4주간 실험식이만을 급여한 후 다시 4주간 실험1과 같은 방법으로 ADR투여와 실험식이 공급을 병행하였다. 실험군은 실험1과 2에서 모두 ADR 2수준 (1.0mg/kg B.W./week, 2.0mg/kg B.W./weed)과 coenzyme $Q_{10}$ 3수준 (무첨가군, 0.1g/kg diet 및 0.5/kg diet)에 의한 6개의 실험군과 basal diet만을 공급하는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심장 미토콘드리아 내의 coenzyme $Q_{10}$의 함량은 ADR투여로 크게 감소되었으나 특히 식이중의 coenzyme $Q_{10}$을 고수준으로 급여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실험1에 비해 실험2에서 coenzyme $Q_{10}$급여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plamitic(16 : 0), stearic(18 : 0), linoleic acid(18 : 2)와 arachidonic acid(20 : 4)가 주요지방산으로서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ADR투여로 인해 arachidonic acid(20 : 4)와 docosahexaenoic acid(22 : 6)등의 고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coenzyme$Q_{10}$ 급여에 의해 이러한 감소가 조절되었다.

  • PDF

식이 중에 첨가한 Coenzyme $Q_{10}$가 Vitamin E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enzyme Q_{10}$ and Vitamin E on Hepatic Lipid Metabolism in Adriamycin-Treated Rat)

  • 양경미;정영아;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4-489
    • /
    • 1992
  • Adriamycin(ADR)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vitamin E 및 coenzyme $Q_{10}$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이유한 sprague-Dawley 흰쥐를 4군(대조군, coenzyme $Q_{10}$과 vitamin E 무첨가군, coenzyme $Q_{10}$ 급여군, vitamin E 급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게 매주 1회씩 일정시각에 ADR(2mg/kg)을 복강주사하였다. 혈장에서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간 cytosol의 지질과산화물 대사 효소활성도, 간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조성과 간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혈장에서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모든 처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vitamin E와 coenzyme $Q_{10}$의 급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Catalase와 GSH-Px 활성도는 ADR투여로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coenzyme $Q_{10}$의 급여로 활성이 유으적으로 증가되었다. SOD 활성도는 ADR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coenzyme $Q_{10}$ 공급만이 그 활성도를 크게 유도하였다. 간 지질함량의 변화는 ADR 투여로 대조군에 비해 cholesterol과 phospholipid 양이 증가되었고, cholesterol함량에 있어서는 coenzyme $Q_{10}$ 급여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Adriamycin 유발 신병증에서 중간엽 줄기세포의 완화 효과 (Mesenchymal Stem Cells Ameliorate Adriamycin Induced Proteinuric Nephropathy)

  • 강희경;박소연;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32-41
    • /
    • 2010
  • 목 적 : 사구체신염은 흔히 단백뇨를 보이며 특이 치료법이 없고, 만성 신부전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연구에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실험적 사구체신염에 투여하여 단백뇨가 호전된 것을 보고한 바 있으나, 이는 신염을 일으키는 약제와 중간엽 줄기세포를 함께 투여하거나 신장에 직접 투여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 신병증에서 단백뇨가 발현된 시점에서 정주 요법으로 MSC를 투여함으로써 MSC의 임상적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방 법 : 실험용 생쥐에 Adriamycin을 투여하여 신병증(ADR-GN)을 유발한 후, 2주 후에 대량의 단백뇨를 확인하고 MSC를 생쥐 꼬리의 정맥에 주사하였다. MSC에 의한 질병 완화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으로 mixed lymphocyte culture(MLC)에 MSC를 투여하였을 때의 염증 관련 cytokine인 IFN-$\gamma$ and IL-10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실험용 생쥐에 ADR-GN를 유발하고 단백뇨가 보일 때 MSC를 정주한 군에서는 단백뇨의 소실이 더 먼저 관찰되었다. 또한 MSC를 투여받은 군에서의 생존률이 더 나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MLC 에 MSC를 투여하였을 때,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인 IFN-$\gamma$ 는 감소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cytokine인 IL-10는 증가하였다. 결 론 : 이 연구는 이전의 보고들에서 관찰되었던 사구체신염에서의 MSC의 질병완화 효과가 좀더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투여된 경우, 즉 단백뇨가 있을 때 정주 요법으로 투여한 경우에도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의 기전과 임상적용에 요구되는 안전성 등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