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infantile convul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소아(小兒) 경풍(驚風)의 침구치료(鍼灸治療)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Philological study on Acupuncture & Moxibustion Treatment of Infantile Convulsion)

  • 박지수;김윤희;류동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1-482
    • /
    • 2001
  • Infantile Convulsion, one of common emergency symptoms in pediatrics, arises from sudden derangement of the central nerve system, and can cause a sudden loss of consciousness and spasm. It falls into three categories: Acute Infantile Convulsion, Chronic Infantile Convulsion and Chronic Spleen Convulsion. According to research, approximately 6~7% of all babies undergo spasm more than once. Since the treatment must be done immediately, acupuncture & moxibustion treatment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atments in this Particular case.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how acupuncture & moxibustion can be utilized in the treatment of Infantile Convulsion, and the literar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eridian points used on acute infantile convulsion are Sugu(GV26), T'aech'ung(Liv3), Hapkok(LI4). 2. The meridians used on acute infantile convulsion are Governor Vessel(GV), Bladder Meridian(BL), Stomach Meridian(ST). 3. The meridian points used on accompanied symptoms with acute infantile convulsion are Haenggan(Liv2), Yangnungch'on(Liv3) on spasm, Paek'oe(GV14) on opisthotonus, Kokchi(LI11), Taech'u(GV14) on fever, Nogung(P8), Yongch'on(K1) on fainting spell, Chok-samri(S36) on body weakness. 4. The meridian points used on chronic infantile convulsion are Shinguol(CV8), Ch'onchj'u(S25), T'aech'ung(Liv3), Kwanwon(CV4), Ch'ukt'aek(L5). 5. The meridians used on chronic infantile convulsion are Conception Vessel(CV), Governor Vessel(GV), Stomach Meridian(ST). 6. The meridian points used on accompanied symptoms with chronic infantile convulsion are Ch'onchj'u(S25), Kolli(CV11) on diarrhea, Taenung(P7), Shinmun(H7) on fainting spell, Kansu(B18), T'aech'ung(Liv3) on spasm. 7. The meridian Points and meridians are Paek'oe(GV14), Sangsung(GV23), Sugu(GV26) of Governor Vessel(GV) and Choiyung(CV16), Shinguol(CV16) of Conception Vessel(CV) and Taedon(Liv1), Changmun(Liv13).

  • PDF

조선시대(朝鮮時代) 소아경풍(小兒驚風)에 사용된 약재의 변화 (Evolution of "Medicinal Material Usage Targeted at Infantile Convulsion" of the Chosun Dynasty)

  • 이가은;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76
    • /
    • 2008
  • Infantile convulsion has always been the subject of concern as it is a common yet fatal disease among infants.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Chosun dynasty animal and mineral medicinal materials were used to relieve heat. These are replaced with more subtle medicinal materials later on in the Chosun dynasty when differentiation of chronic and acute infantile convulsion first emerged. As such, perception on appropriate medicinal materials is constantly renovated in the course of time.

  • PDF

『주촌신방(舟村新方)』 소아질환의 처방 분석과 의학지식의 전승 관계 고찰 (Analysis of Pediatric Prescription in 『Juchonsinbang』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of Medical Knowledge)

  • 황지혜;한지원;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55
    • /
    • 2018
  • This is a review of Juchon (舟村) Sinman's (申曼) book "Juchonsinbang (舟村新方)", describing generations of clinical experience in pediatric practice. Written during King Sukjong era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JuchonSinman used symptoms and general disease terminology, including prescription and treatments employed over generations, so the public could easily utilize the information. "Juchonsinbang (舟村新方)" "pediatric (小兒編)" is characterized by a symptom differentiation method of prescribing herbs which allowed the reader to add or subtract various substances according to symptoms based on Tongchibang (通治方). "Juchonsinbang" includes unique prescriptions and new ways to distinguish acute infantile convulsion (急驚風) according to the cause of fright. Although these prescriptions were not completely new, they present an aspect of an empirical book including JuchonSinman's clinical experience based on existing medical theories. "Juchonsinbang" has a medico-historical value in that it was cited in many medical books such a "Danbangsinpyun (單方新編)", "Sujinggyunghumsinbang (袖珍經驗神方)", and "Hanbang medical pediatric book (漢方醫學小兒全科)" in 1910-30.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영아 경련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Benign Infantile Convulsions with Gastroenteritis)

  • 이정선;권혜옥;지영미;채규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53-759
    • /
    • 2005
  • 목 적 : 소아에서 위장관염에 동반된 경련의 발생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임상보고가 최근에 추가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저자들은 위장관염과 함께 무열성 경련을 보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의 임상적 특징 고찰과 발작간기 뇌파를 통해 이 질환의 전기 생리학적인 특징을 규명함으로서 향후 이 질환의 간질 증후군 분류와 진단, 치료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3년 6개월 동안 급성 위장관염으로 분당차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아 중 과거 신경질환이나 발달 이상의 병력이 없으면서 전해질 이상 및 저혈당에 의하지 않는 무열성 경련이 관찰되었던 67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급성 위장관염 입원 환아 2,887례 중 67례(2.3%)에서 무열성 경련이 관찰되었고 대상 환아의 연령은 1개월에서 42개월 사이($18.5{\pm}6.1$)이며 남아가 32례, 여아가 35례이었다. 경련 양상은 전신 강직-간대 발작은 51례(76.1%), 전신 강직 발작은 16례(23.9%) 형태였고 평균 경련시간은 2.8분(20초-40분), 입원 기간동안 평균 경련 횟수는 3.1회(1-13회)이었으나 경련 전후의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항경련제는 42례(62.7%)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중 23례에서는 2가지 이상의 항경련제 사용 후에 경련이 조절되었다. 뇌척수액 검사는 5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두 정상이었고, 15례에서 시행된 뇌영상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49례에서 시행한 대변 배양 검사 상 세균은 자라지 않았으며, 로타바이러스는 62례 중 51례(82.3%), 노로바이러스는 18례 중 2례, 아스트로바이러스는 18례 중 1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대상 환아에서 시행한 총 73례의 발작간기 뇌파에서 49례(67.1%)는 정상 소견을 보였으나 24례(32.9%)에서는 두정위 일과성 예파(vertex sharp transient)와 구분되는 극파 또는 예파가 수면 I-II기에 중심부에서 관찰되었고 이 중 추적뇌파가 가능했던 6례에서 3례는 정상화가 되었으나 3례에서는 저진폭의 비정형적인 극파나 예파가 지속되었다. 퇴원 후 추적조사는 58례(86.6%)에서 시행되었고 최대 36개월까지 모두 신경학적 후유증없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다. 결 론 : 급성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무열성 경련은 정상발달을 보이며 건강하던 영유아에서 일회성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전해질, 혈당, 뇌척수액 등의 검사가 정상이고, 일부에서는 일시적으로 중심부에서 극파 또는 예파를 보이지만 추적 검사 시에는 정상 또는 호전되는 소견을 나타내며 양성 경과를 취한다. 따라서 이 질환군은 간질 증후군 중 특별 증후군으로 분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상 발달을 보이는 영유아에서 급성 위장관염과 함께 무열성 경련이 발생하는 경우 반드시 이 질환군을 고려하여야 하며 보호자를 안심시키고, 장기간의 과다한 항경련제 투여와 불필요한 방사선 검사를 피하는 등 그 진단과 치료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