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color

검색결과 2,780건 처리시간 0.03초

The Stability of Color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Paprika (Capsicum annuum L.) Powder During the Drying and Storing Process

  • Park, Jae-Hee;Kim, Ch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187-192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changes in the color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paprika powder under various conditions, as well as to establish the suitable conditions for drying and storage. Paprika was dri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reeze-drying, vacuum drying, far infrared-ray drying, and hot-air drying. Measurements of the moisture content, color pigments, and antioxidant compounds (total carotenoids, capsanthin, ascorbic acid, and total polyphenols) were completed during 120 days of storage at 4 and $30^{\circ}C$. We found that drying methods,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aging materials affected the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ASTA) and Hunter color values, as well as the antioxidant content of paprika powder.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r=0.87, p<0.01) between the ASTA color and the $a^*/b^*$ value. The loss of red col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r=0.81, p<0.01) during storage. Drying paprika with a low temperature in the absence of air resulted in better retention of the carotenoids and ascorbic acid. Also, as the retention of the carotenoids and ascorbic acid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red pigment increased. Freeze-drying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drying method for the stability of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ed pigment.

Conjugated Linoleic Acid(CLA)의 급여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he Egg Quality)

  • 주선태;이상조;허선진;하정기;하영래;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2-258
    • /
    • 2002
  • 본 실험은 CLA급여수준과 기간이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계란의 무게는 CLA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난백의 높이는 급여 7주에서 CLA 급여구가 유의적(P<0.05)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Haugh unit는 CLA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황내 CLA축적량은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유의적(P4O.05)으로 높은 축적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저장 2주 이후에는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CLA급여에 의한 난황내 지방산 조성을 보면 포화지방산이 증가되고 불포화 지방산이 감소하였는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의 증가와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증가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난황색 (Roche)은 CLA 급여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난황의 경도 또한 CLA급여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LA 급여가 계란의 이화학적인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있다. 그러나 CLA급여에 의한 계란 품질의 변화가 소비자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모용 염료의 염모제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of Wool Dyes for Hair Dyeing)

  • 채다은;이은교;김예원;서동완;오나현;고준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7-37
    • /
    • 2020
  • Low temperature dyeing properties of wool with reactive dyes and acid dyes were investigated for the feasibility study of their application to hair dyeing. The low temperature(30℃, 40℃) dyeing achieved light depth of shade in wool dyeing and reactive dyeing exhibited relatively higher color strength and chroma values than acid dyeing. Leveling agent slightly improved the levelness of the wool dyeing and the leveling properties of dyed wool at low temperature were good to excellent, irrespective of the dyes applied. Color loss during the repeated shampooing was in the range of 9.6~22.2% for reactive dyes and -7.4~31.5% for acid dyes and in some cases, the color fastness to shampooing was reasonable level. The overall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low temperature wool reactive dyeing to hair dyeing is sufficiently feasible in terms of dyeability and color fastness to shampooing.

첨가제를 이용한 한국산 밀가루 국수의 탈색 (Discoloration of Korean Wheat Flour Noodles with Additives)

  • 김명신;고봉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92-798
    • /
    • 2000
  • 한국산 소맥 가공제품에 대한 첨가제의 탈색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산 밀가루에 탈색을 하기 위한 다양한 첨가제를 넣어 반죽하고 반죽의 탈색에 가장 효과적인 두 가지 첨가제, ascorbic acid와 cysteine을 선택하였다. 0.1%의 ascorbic acid와 2%의 ascorbic acid를 첨가하면 생면과 건면의 명도를 개선시키는데는 효과적이나, 조리된 면에서는 0.05% cysteine 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국수의 기계적 물성은 2%의 ascorbic acid를 첨가한 국수가 수입 소맥 국수와 가장 비슷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조리면의 관능적 특성은 0.05%의 cysteine을 첨가한 국수는 가장 적은 황적색도와 회갈색정도를 띄어서 색을 개선하는데 가장 효과 적이며 이러한 국수는 높은 품질 선호도를 보인 반면, 2%의 ascorbic acid를 첨가한 국수는 가장 짙은 황적색을 띠었고 진한 뒷맛이 느껴져,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나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첨가제 의한 한국산 밀가루로 만든 국수의 탈색효과는 색도 및 기계적 관능적 특성을 종합하였을 때 0.05%의 cysteine이 가장 효과적인 첨가제로 평가되었다.

  • PDF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식품 성분 및 항산화 활성 (Foo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with White and Purple Colors)

  • 정복미;신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14-1121
    • /
    • 2016
  • 본 연구는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색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돼지감자의 일반성분은 품종과 관계없이 탄수화물, 조단백, 회분, 수분 함량 순으로 높았으며, 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돼지감자의 품종과 관계없이 가장 높은 무기질은 칼륨이었고, 다음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높은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 아연이었고 자색이 일반보다 높은 것은 칼륨, 나트륨, 구리, 망간으로 나타났으나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돼지감자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품종과 관계없이 arginine이었고, 다음으로 asparagine, 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cystine, leucine, tyrosine이었고,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L, a, b 모두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방법론 중 ABTS assay를 제외하고는 모든 활성에서 자색시료가 일반시료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부 FRAP와 ORAC assay의 경우 추출물의 낮은 농도에서는 일반시료와 자색시료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색시료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내구성 고감도 강산감지기능 초소수성 색소의 특성 및 응용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the Highly-Durable and Highly-Sensitive Super Hydrophobic Acid-gas Sensing Dye)

  • 김태경;이선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5-112
    • /
    • 2015
  • In order to detect gas phase strong acid on fabrics, a hexyl-substituted monoazo yellow dye, which was the modified form of a conventional pH-indicating dye, Methyl Yellow, was studied in view of acid-gas sensing properties and its fastness. The dye was printed on polypropylene non-wovens for protective coveralls and examin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strong acid such as hydrochloric acid. The dye showed color change from yellow to red on exposure to gas phase hydrochloric acid as low concentration as 1~3 ppm very instantly. Considering reuse of the dye-printed non-wovens, the repeatability of color change was tested on the same sample for 50 repeats and 100 days. The acid-gas sensing function was maintained almost the same level of initial performance. The color fastness of the dye on polypropylene non-wovens was very good showing higher than ratings 4 except for 3~4 to rubbing under wet condition.

설탕, 식염, 초산 첨가가 보존중의 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crose, NaCl and Acetic acid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ed Cooked Rice)

  • 김윤경;오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21-130
    • /
    • 2000
  •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crose, NaCl and acetic acid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stored at 20$\^{C}$ for 72 hours. It conducted a moisture content, color value, texture and RVA(Rapid Visco Analyser) viscosity on stored cooked rice. Moisture contents of all groups ecreased during storage and that of cooked rice with NaC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color, lightness(L) of cooked rice with various additives seemed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reduced b value of cooked rice with acetic acid showed that the color became less yellow. In texture, the hardness of cooked rice with NaCl and sucros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whereas that of cooked rice with acetic acid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Adhesiveness of cooked rice with acetic acid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and it was shown that texture could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acetic acid. The initial viscosity of cooked rice with acetic acid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and finial viscosity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t seemed that addition of acetic acid could retard the retrogradation of stored cooked rice.

  • PDF

울금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urcuma Longs L. Dyeing)

  • 주영주;소황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29-437
    • /
    • 1996
  • This paper surveys extraction condition-temperature, pH, and changes of adsorbance in accordance with extraction condition of curcuma Longa L. solution. Using extracted curcuma Longa L. Solution, dyeing behaviors with natural fiber, effect of mordants to color fastness and color change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absorption (K/S value) was increased by mordants (Fe, Cr) and mordants treatment affected color change of dyed fabric. Among the mordants, effect of citric acid to color change of dyed fabric was the smallest, and color difference of post- mordant treatment is smaller than that of pee-mordant treatment in making use of citric acid as mordant. And K/S value of post mordant was higher than that of pre mordant. It was found that the pre - and post- mordants treatment little affected color fastness, but affected the amound of adsorption and color change of dyed fabric.

  • PDF

마이얄반응속도에 미치는 카페인산의 영향 (Effects of Caffeic Acid on the Rates of Maillard Reaction)

  • Son, Jong-Youn;Ahn, Myung-So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1-165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마이얄반응속도에 미치는 카페인산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갈색화 반응속도는 60와 8$0^{\circ}C$에서 매우 느리게 나타났으나, 10$0^{\circ}C$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갈색화반응속도는 환원당보다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카페인산가 첨가될 때 갈색화반응물의 색깔의 강도는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증가는 주로 카페인산으로 부터 형성된 o-quinones의 중합에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욱이 카페인 산과 아미노산, 특히 phenylalanine이나 methionine과의 상호반층에 의해 색깔의 강도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산이 첨가되지 않은 갈색화반응물의 환성화에너지는 108~130J/mo1정도, 온도계수(Q10 value)는 2.6~3.2정도였으며 카페인산의 첨가에 의해 갈색화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카페인산이 첨가된 갈색화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80~101J/mo1정도, 온도계수는 2.0~2.6정도였다.

  • PDF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제조 조건이 단무지의 색도 및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 Conditions on the Color and Firmness of Salted Radish Root (Danmooji) at Model System)

  • 구경형;박완수;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77-1484
    • /
    • 2005
  • 단무지 조미액 성분이 단무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와 단무지 조미액의 pH($X_1$), 열처리 조건($X_2$)의 영향 및 저장온도와 기간별 단무지의 색도 및 조직감 변화를 조사하였다. 개별 단무지 조미액 성분이 단무지의 색도 및 경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증류수 침지군을 기준으로 AD9(acetic acid) 침지군을 제외하고 AD3(polyphosphate), AD5(citric acid), AD2(malic acid)은 색도 변화와 단무지 연화를 지연시켰다. 반면에, AD1(potasium sorbate), AD7(succinic acid), AD8(MSG), AD6(saccharin) 처리구는 색도 변화와 경도 감소를 가속화시켰다. 또 단무지 조미액과 열처 리 조건의 영향은 중심 합성 계획 (central composite design)과 반응표면 분석법(response surface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의 상관 정도를 나타내는 $R^2$값이 종속변수 경도 값을 제외하고 0.8이상이었으며, 특히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0.899을 나타내었다. 각 개별 독립변수와 교차 분석 결과 독립 변수인 $X_1$(pH)과 $X_2$(가열시간)모두 단무지의 색도와 조직감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또 저장 온도의 경우, $40^{\circ}C$에서 저장한 단무지의 색도가 다른 온도에 저장한 시료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한 색도 변화와 연화가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