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etate

검색결과 5,791건 처리시간 0.039초

Oleanolic acid 3-acetate, a minor element of ginsenosides,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ovarian carcinoma and endometrial carcinoma cells via the involvement of a reactive oxygen species-independent mitochondrial pathway

  • Jo, Hantae;Oh, Jeong-Hyun;Park, Dong-Wook;Lee, Changho;Min, Churl 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96-104
    • /
    • 2020
  • Objectives: Oleanolic acid, a minor element of ginsenosides, and its derivatives have been shown to have cytotoxicity against some tumor cells. The impact of cytotoxic effect of oleanolic acid 3-acetate on ovarian cancer SKOV3 cells and endometrial cancer HEC-1A cells were examined both in vivo and in vitro to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s. Methods: Cytotoxic effects of oleanolic acid 3-acetate were assessed by cell viability, phosphatidylserine exposure on the cell surface, mitochondrial release of cytochrome C, nuclear translocation of apoptosis-inducing factor, depolarization of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Ψm),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vivo inhibition of tumor growth was also assessed with xenografts in immunocompromised mice. Results: Oleanolic acid 3-acetate exhibited potent cytotoxicity toward SKOV3 and HEC-1A cells by decreasing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mportantly, oleanolic acid 3-acetate effectively suppressed the growth of SKOV3 cell tumor xenografts in immunocompromised mice. Furthermore, oleanolic acid 3-acetate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as revealed by loss of ∆Ψm, release of cytochrome c,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apoptosis-inducing factor with a concomitant activation of many proapoptotic cellular components including poly(ADP-ribose) polymerase, Bcl-2, and caspases-8, caspase-3, and caspase-7. Oleanolic acid 3-acetate, however, caused a decrease in ROS production,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an ROS-independent pathway in oleanolic acid 3-acetate-induced apoptosis in SKOV3 and HEC-1A cell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oleanolic acid 3-acetate could be used as a potent anticancer supplementary agent against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 Oleanolic acid 3-acetate exerts its proapoptotic effects through a rather unique molecular mechanism that involves an unconventional ROS-independent but mitochondria-mediated pathway.

산두근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Indigofera kirilowii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06-111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 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산두근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산두근을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두근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산두근의 ethyl acetate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Shigella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산두근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백두옹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 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산두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aureus 및 Shigella dysenteriae의 배양액에 산두근의 ethyl acetate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dysenteriae의 생육도 48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산두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식품보존제 등의 신소재 물질로 활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황금(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이명진;이선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황금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황금을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황금 추i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과 사설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및 S. dysenteriae의 배양백에 황금의 ethyl acetate 추물을 각각 5,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황금의 ethyl acetate추출물은 S. aureus와 S.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푸레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7-28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물푸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물푸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물푸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쇠비름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S. dysenteriae의 배양액에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은 S. aureus와 S.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alcium Acetate 및 Potassium Sorbate를 첨가한 깍두기의 품질 특성 (Effect of Calcium Acetate and Potassium Sorbate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 김소연;엄진영;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1991
  • 상온($20^{\circ}C$)에서 깍두기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a-acetate, K-sorbate를 단독 혹은 혼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20^{\circ}C$에서 4일동안 저장한 시료의 관능적 특성, Instron을 이용한 경도측정 및 비휘발성 유기산을 측정하였고, 10일동안 저장하면서 pH와 산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0.3%의 Ca-acetate가 첨가된 Ca-acetate군과 Ca-acetate/K-sorbate군에서 깍두기의 단단한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 질긴 정도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고 신맛이 증가하였으며 바람직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비휘발성 유기산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생성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저장 8일까지 이 시료들의 산도가 높은 반면 pH의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나 Ca-acetate가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0.1%의 K-sorbate가 첨가된 시료는 대조군에 비해 단단한 정도와 질긴 정도가 조금 증가하였으며 신맛이 감소되었으나 바람직한 정도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저장기간 동안 K-sorbate에 의한 산생성 억제효과가 현저하여 총산 생성량이 가장 적었고 4일 저장시료의 총 비휘발성 유기산 생성량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Instron으로 측정한 깍두기의 경도는 압착실험이 관능검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착실험 결과, Ca-acetate 첨가시료가 단단하였으며 특히, K-sorbate와 혼합하여 첨가한 시료에서 경도증진 효과가 상승하였다.

  • PDF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잎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Fractional Extract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Leaves)

  • 김경희;김나영;김성환;한인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20-1225
    • /
    • 2012
  • 본 연구는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생리 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검증하였다. 곤달비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21.36%이었으며, 이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물이 60.35%로 가장 높았으며, n-butanol, n-hexane, ethyl acetate 순이었다. 곤달비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254.00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곤달비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0.28 m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0.5 mg/mL 농도에서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96.67%의 활성을 보였다. FRAP 활성 역시 1 m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2.70 mM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B. cereus 균주에 대해 ethyl acetate 분획물 5 mg/disc에서 10.2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곤달비의 추출물 및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약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소재로서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38-643
    • /
    • 1998
  • 찹쌀 및 보리쌀을 원료로 주모를 첨가하여 담금한 발효과정 중의 탁주술덧을 고체상 추출법으로 추출 농축한 후 극성 column을 사용하여 GC 및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alcohol 10종, ester 9종, acid 2종, aldehyde 7종 등 28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향기성분 수는 담금 직후에 $13{\sim}14$종이었으나 발효 16일에 $27{\sim}28$종으로 증가되었고 찹쌀 탁주는 보리쌀 탁주 술덧보다 향기성분이 다소 많았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 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iso-amyl alcohol, n-hexyl alcohol, hexen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ethyl acetate, ethyl succinate, 2-phenylethyl acetate, butyic acid, benzaldehyde, 3-methoxybenzaldehyde의 12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ethyl propion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phenyl acetate 및 acetaldehyde 등 5종의 aldehyde는 발효 16일에서만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 %)은 시험구와 발효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2-phenylethyl acetate, hexenyl alcohol, iso-butyl alcohol이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공통으로 높아 탁주술덧의 주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추측된다. 이들 성분 외에 ethyl acetate, benzaldehyde는 찹쌀 탁주에서, hexenyl alcohol은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만 높았다. 찹쌀 탁주 술덧에서 발효 16일에 ethyl acetate의 면적비율이 ethyl alcohol보다 다소 높아 보리쌀 탁주술덧과 다른 특색을 보였다.

  • PDF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Tocopheryl Acetate 의 피부흡수 연구 (Study on Skin Permea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Swollen Micelle)

  • 손수빈;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2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모방지 토너의 활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 salicylic acid 및 niacinamide 성분 중 유용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Salicylic acid와 niacinamide를 함유함과 동시에 tocopheryl acetate를 투명하게 가용화시키려는 방법으로, 계면활성제가 회합하여 형성되는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킨 swollen micelle 구조를 이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 용액은 3종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투명한 성상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poloxamer 407과 octyldodeceth-16을 사용하였다. 또한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isostearic acid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온(25 ℃)에서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Swollen micelle에 함유된 탈모방지 성분 중,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이용하였다. 24 h 후 tocopheryl acetate의 경우 대조군보다 6 배 향상된 피부흡수량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ollen micelle은 탈모방지 제품 또는 여러 기능성 화장품의 가용화 제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oles of Glucose and Acetate as Carbon Sources in L-Histidine Production with Brevibacterium flavum FERM1564 Revealed by Metabolic Flux Analysis

  • Shioya, Suteaki;Shimizu, Hiroshi;Shimizu, Nobuyuk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3호
    • /
    • pp.171-177
    • /
    • 2002
  • The metabolic flux pattern for L-histidine production was analyzed when glucose and/or acetate were used as carbon sources. Total L-histidine production was enhanced when mixed substrate (glucose and acetate) was used, compared wish that when either glucose or acetate was used as the sole carbon source. Theoretical maximum carbon fluxes through the main pathways for L-histldine production, cell growth, and ATP consumption for cell maintenance were obtained by the linear programming (LP) method. By comparison of the theoretical maximum carbon fluxes tilth actual ones, it was found that a large amount of glucose was actually used for maintenance of cell viability. On the other hand, acetate was used for cell growth. After depletion of acetate in the mixed substrate culture, the flux for glucose to L-histldine synthesis was markedly enhanced. A strategy for effective L-histidine production using both carbon sources was proposed.

Oxidized Acetate Starch as a New Surface Sizing Agent

  • Zhang, Guang-Hua;Lai, Zhi-Chao;Li, Hui;Wang, Zhou-Ni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5호
    • /
    • pp.1-7
    • /
    • 2009
  • Oxidized acetate starch was synthesized from corn oxidized starch and vinyl acetate. The sizing concentration and degree of substitution of modified starch on surface strength, smoothness and water resistance of the paper have been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strength, smoothness and other properties of paper sized by oxidized acetate starch is better than that of oxidized starch. When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modified starch is from 0.04 to 0.14, the properties of paper sized by oxidized acetate starch have been improved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