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ibility control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6초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Accessibility of Library Mobile Applications)

  • 장보성;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5-4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안전행정부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기반으로 국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을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교차로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체 텍스트 제공은 21개 도서관(31%)만이 제공하고 있으며, 메인화면, 자료검색, 정보안내 등 모든 영역에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1개관뿐이다. 둘째, 국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위주의 콘텐츠가 대부분이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지침에서 권고 또는 준수 기준으로 제시하는 자막, 수화 등의 제공, 깜박거림의 사용제한, 배경음 사용금지 등은 연관성이 떨어졌다. 셋째, 장애인 이용자가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대체 텍스트 제공, 초첨 이동, 운영체계 접근성 기능 지원, 누르기 동작 지원, 컨트롤 간 충분한 간격 유지, 알림 기능은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넷째, 장애인들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기준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상악대구치의 치경부 접근도가 치태조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ervical Accessibility of Maxillary Molars on Plaque Control)

  • 노태경;엄흥식;장범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815-82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ccessibility to dental cervices of maxillary molars upon plaque control level of these areas. Fifthy-seven dental students with healthy gingia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axillary dental casts were fabricated for each participants. Using the casts, cervical accessibility was measured at the mid-palatal point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Cervical accessibility was defined as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the entrance of gingival sulcus to the imaginary line between the most protruded points of palatal gingiva and tooth surface, and classified into degree I(${\leq}0.5mm$), II($>0.5mm,\;{\leq}1.0mm$), III($>1.0mm,\;{\leq}1.5mm$), and IV(>1.5mm). Plaque score was recorded as the distance from crest of gingival margin to the most coronal extent of plaque. Measurements of plaque score were repeated 3 times at 1-week intervals. After the baseline measurements, the participants began to use unitufted brushes on randomly assigned right or left side. Two weeks later, a session of plaque score records identical to the baseline measurements was started. The maxillary second molars showed higher cervical accessibility than the first molars(p<0.01), but the plaque scores of maxillary second molars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first molars(p<0.01). For the maxillary first molars, cor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plaque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uch correlation was not found for the second molars. Use of unitufted brushes decreased the plaque score(p<0.01). Cor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the degree of plaque score improvement was not fou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rvical accessibility may influence the amount of plaque, and use of adjunctive oral hygiene devices may be helpful in maintaining optimal oral hygiene level at the areas of low cervical accessib ility.

  • PDF

Method of Determining Future Facility Location with Maintaining Present Accessibility

  • Takahagi, Wataru;Sumitani, Yasushi;Takahashi, Hirotaka;Omae, Yuto;Sakai, Kazu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197-205
    • /
    • 2016
  • The public service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the Japanese people, such as firefighting, police or primary school education, are largely financed by the local governments. As the population as a whole in Japan declines, the population in local regions are forecasted to experience particularly rapid decline in the future, and it is inevitable to reduce the cost of public services provided by the local governments to keep their financial basis sustainable. In order to provide public services to the people properly and fairly, the local governments own and utilize their public facilities, such as fire stations, police stations or primary schools. On the other hand, we have to secure the accessibility, which is the condition of accessing a facility easily in a whole local city including the high population density area and low population density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future facilities and its facility locations in which we maintain the present accessibility. In our proposed method, we determine them comparing the accessibility measurement calculated by facility location model using the present and future population. We adopted k-centdian model as the facility location model, which can secure the accessibility in a whole local city determining the weights of both areas. We applied our proposed method to fire station in Iwaki city, Japan. The results suggested that 7 facilities would be reduced in 2064, after 50 years from 2014. 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the future facility location had secured accessibility in both high and low population density area.

개방 플랫폼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s for Open Platforms)

  • 문현주;민홍기;김석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7-19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KS, 미국의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유럽의 BBC 지침을 기준으로 개방형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뱅킹 앱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우리나라 8개 시중은행의 모바일 뱅킹 앱 중 상기 3가지 표준의 세부 항목을 모두 만족하는 앱은 한 곳도 없었다. 대표적인 위반 항목은 대체 텍스트 미비, 키보드 초점 위반, 컨트롤 크기 및 간격 미준수, 명도대비 비율 낮음 등이었다. 이들 위반사례는 시각장애인, 상지장애인 및 저시력인과 고령자의 접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치명적인 오류이다. 모바일 뱅킹 앱이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는 원인에 있어서는 모바일 앱 개발자와 제공자들의 접근성에 관한 인식이 낮고 접근성 구현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지침을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BBC 표준과 비교한 결과, 많은 항목이 누락되어 있었다. 또한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개발자들이 구체적으로 참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앱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발자 및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표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도로 네트워크와 통행량 기반의 공간 접근성 지수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patial Accessibility Index, Based on Road Network and Actual Trips, on Housing Price)

  • 채정표;성현곤
    • 국토계획
    • /
    • 제54권2호
    • /
    • pp.76-8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spatial accessibility, based on travel, on housing prices in the Korean capital region. More specifically, it has two research purposes: Firs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mprehensive spatial accessibility, based on road network and actual trips from origin to destination, on average apartment price (Korean Won per square meter) at the level of Eup, Myeon and Dong; Second, identifying better accessibility index between Hansen's and Kalogirou and Foley's ones. The former represents a road-based travel time decay function with destination trips, while the latter is a function with origin trips as well as destination ones. The study employs spatial economic model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ve relationship as an appropriate methodology with such control independent indicators as population density, road density,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istances from CBDs.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spatial accessibility, based on road network and actual trips from origin to destin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housing price in the region. Our empirical evidence proves that the Hansen index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other in estimating housing price impact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of Green Space and Adult Obesity Rates: A Secondary Data Analysis in the United States

  • Kim, Junhyoung;Lee, Sujung;Ramos, Willia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3호
    • /
    • pp.208-217
    • /
    • 2021
  • Objectiv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 for reducing obesity-related problems, there has been little exploration of whether access to green space (e.g., park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influences the obesity rate of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ccessibility of green space, obesity rates, and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adults living in the State of Indiana, United States. Methods: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ccessibility to green space, obesity rate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with employ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measure the accessibility of green space.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accessibility of green space served as a strong predictor of reduced obesity rates among adults (β=-2.478; p<0.10). In addition, adult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as well as better access to green space, were found to have even lower obesity rates (β=-0.188; p<0.05).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unemployment rates, food security, and physical inactivity are addi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obesity rates among adults. Conclusions: Accessibility of green spac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facilitating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reducing obesity rates.

장애인을 위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반의 홈 네트워크 제어 (Home Automation Control with Multi-modal Interfaces for Disabled Persons)

  • 박희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321-326
    • /
    • 2014
  • 최근 장애인을 위한 IT 접근성 향상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 IT 사용자를 위하여 음성 인식, 영상 인식, TTS 등과 같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제어에 있어서 장애인 IT 접근성 향상 기술의 적용 방안에 대하여 서술한 후, 장애인이 쉽게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음성 인식 및 애니메이션 UI (User interfaces)등과 같은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반의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모델을 구현하였다.

사용자 평가를 통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의 개정 방향 (A Study on the Amendment of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 based on User Evaluation)

  • 문현주;김석일
    • 재활복지
    • /
    • 제18권2호
    • /
    • pp.181-205
    • /
    • 2014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1년에 모바일 앱이 장애인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규정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만들고, 이를 고시하여 국가기관과 공공기관이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개의 모바일 앱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고, 사용자가 제기한 문제점과 현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의 검사항목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부 모바일 앱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접근할 수 문제점이 발견되어 현행 지침이 접근성 제공을 위한 요구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모바일 앱이 장애인 접근성을 충실히 제공하기 위해서는 키보드 접근성, 컨트롤 크기, 레이블 제공, 시간제한 등의 검사항목이 지침에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일부 검사항목은 수정하거나 삭제함으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천안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시기별 접근성 변화 분석 (Chronological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Change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in Cheonan City Using Space Syntax)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2-41
    • /
    • 2017
  • 본 논문은 천안지역의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구성요소 간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 속성을 단지 전체 차원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에 대한 예비 연구적 성격으로 진행하였다.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공간구조라는 관점으로 거주자의 보행에 기반을 두고 각 공간 및 시설로의 출입공간에 대한 접근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5시기로 구분하고,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에 위치한 시설 및 공간으로의 출입공간을 단위공간으로 설정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단지주출입공간, 주동 출입공간, 단지내 상가, 관리사무소/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등 총 6개의 분석항목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단지주출입공간의 접근성은 거의 모든 시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주동 출입공간은 전반적으로 낮은 접근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단지내 상가는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주민공동공간으로 볼 수 있는 관리사무소/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중에서 어린이놀이터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통합도 순위가 시기별 큰 변화 없이 일정하게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고, 관리사무소/경로당의 경우는 최근으로 올수록 통합도 순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주로 계획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Arachnoid Remodeling by Clipping Technique Facilitates Surgical Maneuverability during Transsphenoidal Surgery for Pituitary Macroadenoma

  • Kim, Eui Hyun;Park, Soo Jeong;Na, Minkyun;Moon, Ju Hyung;Kim, Su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4호
    • /
    • pp.591-597
    • /
    • 2022
  • Objective : Pituitary adenomas frequently extend into the suprasellar space. After a suprasellar tumor is removed, the superiorly extended arachnoid becomes redundant and sinks down into the intrasellar space which often hiders visualization and accessibility to the hidden space behind the evaginated arachnoid. We introduced arachnoid remodeling by clipping technique, and evaluated its usefulness and safety during TSS. Methods : Total 223 patients who underwent arachnoid remodeling with our new clipping technique were included. Redundant arachnoid was clipped along the dural edge with multiple 2.6-mm titanium clips until the redundant arachnoid membrane no longer blocked the surgical route. To check for possible deterioration of hormonal function by this technique, we assessed anterior pituitary function of 166 patients who underwent arachnoid remodeling by clipping and compared this with those of other 429 control patients. Results : Our technique greatly enhanced the accessibility and visualization of intrasellar and parasellar spaces, both of which are generally hindered by redundant arachnoid during transsphenoidal surgery (TSS). We found no difference in anterior pituitary function between a clip-assisted arachnoid remodel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lying that this technique does not result in hypopituitarism. Conclusion : During TSS for pituitary adenomas with suprasellar extension, arachnoid remodeling by clipping technique is very useful and conveni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redundant arachnoid membrane to enhance visualization and surgical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