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ndoned mine-shaf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충전율에 따른 폐광산 채굴적 공동의 변위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placement Behavior of Abandoned Mine Goaf Cave According to Filling Factor)

  • 김동락;서인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51-156
    • /
    • 2011
  • The domestic mine development community the countermeasure establishment is insufficient about ground sinkage, not only the mine which is a in line is partial from the mine of the most which has become the rest mine and abandoned mine or the index sinkage occurs. The ground sinkage which occurs from the abandoned mine area most after operation is stopped, a long time passes and accurately predicts an occurrence location and a time with the residual sinkage which occurs, is difficult. Underground goaf of the abandoned mine and the closed shaft When considering the potentiality which causes the instability of ground, is a possibility of reaching a damage in the ground infrastructure or life. The underground shaft which is formed specially with mine development and goaf operates with the obstacle factor in the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e area, the ground sinkage which is caused by with sinkage, operates with the large safety accident occurrence factor where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of the railroad, road, residential area etc. is damag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goaf cave of the abandoned mine area, for the displac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filling factor of the material is to analyze the numerical analysis.

토목.환경 응용을 위한 고정밀 중력탐사 (Microgravity for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 박영수;임형래;임무택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특별 심포지엄 논문집
    • /
    • pp.15-25
    • /
    • 2007
  • Gravity method c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tool for evaluating the soundness of basement which is directly correlated with density and its variations. Moreover, Gravimeter is easy to handle and strong to electromagnetic noises. But, gravity anomaly due to the target structures in engineering and environmemtal applications are too small to detect, comparing to the external changes, such as, elevation, topography, and regional geological variations. Gravity method targeting these kinds of small anomaly sources with high precision usually called microgravity. Microgravimetry with precision and accuracy of few ${\mu}Gal$, can be achieved by the recent high-resolution gravimeter, careful field acquisition, and sophisticated process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routines. This paper describes the application of the microgravity, such as, density structure of a rock fill dam, detection of abandoned mine-shaft, detection and mapping of karstic cavities in limestone terrains, and time-lapse gravity for grout monitoring. The case studies show how the gravity anomalies detect the location of the targets and reveal the geologic structure by mapping density distributions and their variations.

  • PDF

GRAM 모델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 분석 (GRAM Model Analysis of Groundwater Rebound in Abandoned Coal Mines)

  • 최요순;백환조;정영욱;신승한;김경만;김대훈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6호
    • /
    • pp.373-382
    • /
    • 2012
  • 폐광된 광산에서는 채광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펌핑 작업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채광 공동이나 채광장 주변 지층에서 지하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한다. 그동안 폐광산 지역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폐탄광지역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 분석시 활용할 수 있는 VSS-NET, GRAM, MODFLOW 모델에 대해 조사하고, 공간적/시간적 규모에서 각 모델의 적용 범위에 대해 소개하였다. 특히, GRAM 모델에 대해서는 상세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포트란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GRAM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동원탄광 수갱의 지하수 리바운드 현상을 분석하였으며, 현장의 지하수위 계측 결과와 GRAM 모델의 분석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밀 중력탐사를 이용한 천부 지질구조 조사 사례 (Case Stories of Microgravity Survey for Shallow Subsurface Investigation)

  • 박영수;임형래;임무택;구성본;김학수;오석훈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6
    • /
    • 2005
  • 중력탐사는 지하의 밀도 분포를 구하는 탐사법이므로 지하의 빈 공간의 탐지나 기반암의 견고성을 파악하는 데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 고정밀 중력탐사는 지하공동, 터널, 채굴적 등의 탐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석회암 공동 탐지, 폐갱도 탐지 그리고 사력댐의 밀도 구조 등 3가지 실제 탐사 사례를 통하여 고정밀 중력탐사가 천부 토목 조사와 구조물 안정성 조사에 유용하게 활용됨을 보여주고자 한다.

  • PDF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재개광 양양철광의 운반시스템 설계 (Mine Haulage System Design for Reopening of Yangyang Iron Mine using 3D Modelling)

  • 손영진;김재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6호
    • /
    • pp.412-4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재개광을 계획하고 있는 (구)양양철광의 수갱광체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를 재개광하기 위한 운반시스템의 구축을 목적으로 광체 및 광체 주변의 지질구조와 구갱도 현황 및 신갱도 개설 계획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software는 GEMCOM사(社)의 GEMS로써 3차원의 매장량평가, 개발타당성 평가, 운영 관리용 프로그램이다. 2차원 지형도와 지표 지질도를 자료로 하여 지표 지형 및 지질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구)양양철광 개발 당시 작성된 지질 단면도와 시추자료를 토대로 연구대상지역의 지질 구조 및 광체를 3차원적으로 생성하였다. 수갱광체는 충전된 채굴적, 공동, 잔광으로 구분하여 모델링하고 잔광부의 품위에 대한 시추 정보로부터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품위별 매장량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존 2차원 구갱도 개설 현황 자료를 이용하여 구갱도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무궤도 운반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하여 신갱도의 크기와 배치를 3차원으로 설계하였다. 완성된 광체 및 운반 시스템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지하선광장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채취한 시료의 암석 물성값들을 기초로 광체 주위에 부존하는 물성을 암종별로 입력하고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해 미조사 부분에 대한 암석물성을 추정할 수 있는 3차원 공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재개광 광산의 3차원 모델은 매장량 평가 및 개발계획 수립, 추가 탐사 지역의 선정이나 개발 계획의 변경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광산 개발 기술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폐광산 지역의 공동 탐지 및 지반침하 모니터링을 위한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영상촬영기법 적용 사례 (A Case Study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Borehole Imaging Methods for Detecting Underground Cavities and Monitoring Ground Subsidence at Abandoned Underground Mines)

  • 최정열;김승섭;박상규;신광수;강병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5-208
    • /
    • 2013
  • 지하 폐광도에 의한 지반침하 지역에서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영상촬영을 통하여 지하공동의 분포 파악 및 지반 침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전기비저항탐사가 가능했던 연구지역 1에서는 100-150 ohm-meter 정도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이상대가 관찰되었으며 시추조사와 시추공영상촬영 결과에서 폐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지역 2는 도로로 피복되어 전기비저항탐사 수행이 불가능하였으나 광맥분포를 고려한 시추조사에서 채굴적 및 폐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영상촬영을 43일간 총 6차례에 걸쳐 수행하여 시간에 따른 지하매질의 수직 이동 변위를 측정하였다. 지반침하로 인한 지하매질의 수직이동양상은 하부에서 상부보다 3배 이상 큰 규모로 발생하며 그 지속기간 역시 4배 이상 오랫동안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효과적인 지하공동 탐지 및 지반침하 작용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영상촬영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