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ndoned mine area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2초

풍원광산 지역의 토양 및 농작물 중금속 오염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s and Crops in the Poongwon Mine Area)

  • 김좌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11
    • /
    • 2010
  • 폐광산 주변의 광미장, 폐석더미로 인해 주변 지역의 토양 및 농작물들은 중금속으로 오염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변토양 용도별, 농작물 재배품목별, 광산과의 이격거리별로 분류하여 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갱구인근 지역에서 Zn와 Pb이 토양오염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 광미장 지역과 논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농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과의 이격거리에 따른 중금속 농도는 갱구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토양과 쌀 시료의 중금속 상관관계는 As와 Cd이 상관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중금속들은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GIS 및 확률모델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 위험 예측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Hazard Area Using GIS and Probability Model near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 최종국;김기동;이사로;김일수;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3호
    • /
    • pp.295-30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확률기법인 빈도비 모델 (frequency ratio model) 및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강원도 삼척지역 폐탄광 주변의 지반침하 발생 취약지역을 예측하였다. 지반침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지형도, 지질도, 갱내도, 토지특성도, 시추공 자료, 기 관측된 침하지 자료 등으로부터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GIS 공간분석과 확률기법을 이용하여 지반침하의 주 요인이 되는 8개의 인자를 추출하였고 관측된 침하지역과 8개 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결정계수($R^2$)를 계산하였다. 빈도비 모델을 적용하여 각인자의 등급별 가중치를 결정한 후, 이를 중첩 분석하여 지반침하 위험 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지반침하 위험 예측도를 기존 침하지 위치와 비교 검증한 결과 96.05%의 높은 예측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폐탄광 지역에서 GIS와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지반침하 위험지역을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강원도 폐탄광 산림복구지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산림복구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 화학적특성 분석 (Analysis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s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for Drawing Management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Gangwon-do)

  • 정문호;고주인;박관인;지원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4호
    • /
    • pp.457-464
    • /
    • 2021
  • 본 연구는 강원지역 폐탄광 산림복구지에서 산림복구사업 후 시간경과에 따른 토양 화학적특성을 분석하여 관리방안 도출을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정선군 5개 폐탄광과 영월군 3개 폐탄광 총 8개 폐탄광 산림복구지였으며, 경과시간별로 총 11회에 걸쳐 토양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토양 pH, TOC, 총질소, 탄질률, 유효인산 등 5개 특성이었다. 분석결과 토양 pH와 유효인산 함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TOC와 총질소 함량, 탄질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OC와 총질소는 10년 경과시 폐탄광 산림복구를 위한 복토재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토양 pH는 품질기준보다 낮아졌다. 따라서 산림복구사업후 토양 화학적 특성에 대한 장기모니터링 및 이를 통한 사후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재개광 양양철광의 운반시스템 설계 (Mine Haulage System Design for Reopening of Yangyang Iron Mine using 3D Modelling)

  • 손영진;김재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6호
    • /
    • pp.412-4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재개광을 계획하고 있는 (구)양양철광의 수갱광체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를 재개광하기 위한 운반시스템의 구축을 목적으로 광체 및 광체 주변의 지질구조와 구갱도 현황 및 신갱도 개설 계획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software는 GEMCOM사(社)의 GEMS로써 3차원의 매장량평가, 개발타당성 평가, 운영 관리용 프로그램이다. 2차원 지형도와 지표 지질도를 자료로 하여 지표 지형 및 지질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구)양양철광 개발 당시 작성된 지질 단면도와 시추자료를 토대로 연구대상지역의 지질 구조 및 광체를 3차원적으로 생성하였다. 수갱광체는 충전된 채굴적, 공동, 잔광으로 구분하여 모델링하고 잔광부의 품위에 대한 시추 정보로부터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품위별 매장량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존 2차원 구갱도 개설 현황 자료를 이용하여 구갱도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무궤도 운반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하여 신갱도의 크기와 배치를 3차원으로 설계하였다. 완성된 광체 및 운반 시스템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지하선광장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채취한 시료의 암석 물성값들을 기초로 광체 주위에 부존하는 물성을 암종별로 입력하고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해 미조사 부분에 대한 암석물성을 추정할 수 있는 3차원 공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재개광 광산의 3차원 모델은 매장량 평가 및 개발계획 수립, 추가 탐사 지역의 선정이나 개발 계획의 변경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광산 개발 기술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예측을 위한 퍼지추론기법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Fuzzy Reasoning Method for Prediction of Subsidence Occurrences in Abandoned Mine Area)

  • 최성웅;김재동;최광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5호
    • /
    • pp.463-472
    • /
    • 2009
  • 국내 광산에서 많이 적용되어 왔던 주방식 채굴법 및 위경사 중단붕락법은 그 특성상 지표, 특히 천부에서의 침하 발생 가능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이들 광산에 대한 갱내도 및 채굴작업에 대한 기록이 완전하지 않고, 또한 국부적인 지질학적 정보가 충분치 않아 지반침하, 특히 싱크홀 형태의 침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표준화하기가 매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퍼지추론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기법은 지반침하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그 과정의 단순함은 물론, 지반 및 광산에 대한 정밀한 자료가 부족하더라도 비교적 신뢰도 있는 예측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이미 지반침하가 발생한 경북 봉화지역의 금호광산 및 충주 이류지역의 충주본산광산에 대해 적용됨으로써, 퍼지추론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지반침하 발생가능성 예측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폐광산 주변 토양 중금속 오염노출농도 우려기준과 위해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Heavy Metal Pollutant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in an Abandoned Mine Site)

  • 최진원;유근제;구명서;박준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B호
    • /
    • pp.261-2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에 의한 토양환경영향평가 시 노출농도 기반의 평가와 위해성 기반의 평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서 폐광산 지역에서 중금속 오염노출을 조사하였다. 발암위해도와 비발암위해도 평가 결과, 토양섭취의 영향이 토양접촉의 영향보다 지배적이었고,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총 위해도도 기준을 초과하였다.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도 대부분 총 위해도 기준을 초과하였으므로, 위해도 기반의 평가가 노출농도 기반의 평가보다 더 민감한 기준이라는 기존 인식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토양접촉 경로의 비발암위해성 결과들의 심층 분석 결과, 우려기준을 초과함에도 위해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들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폐광산지역의 토양오염정화사업 타당성 평가를 위해서는 현재 노출농도기반의 평가 위주에서 위해성 기반 평가로의 정책 전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위해도 원단위 및 판단기준의 객관적 설정을 위한 연구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JERS-1 SAR를 이용한 가은 폐탄광 지역 지반침하 관측 (Observation of the Ground Subsidence in the Abandoned Gaeun Coal Mining Area using JERS-1 SAR)

  • 정한철;김상완;김복철;민경덕;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509-519
    • /
    • 2004
  • JERS-1 L밴드 SAR 위성에서 얻어진 25개의 레이더간섭도를 이용하여 1992년 11월 5일부터 1998년 10월 1일 사이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폐탄광 일대의 지반 침하량을 측정하였다. SAR 영상에서 긴밀도가 높은 고정 산란체(PS: permanent scatterer)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서 지반침하를 계산하였고, 현장조사된 균열등급 분포도와 비교하였다. 고정된 산란체는 1차적으로 진폭값과 간섭쌍의 긴밀도 영상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는데, 산악지역에 비해 도심지역에서 우세하게 선정되었다. 계산된 변위량은 붕락과 같은 급격한 비선형의 변위는 제외되고, 영상 획득 기간 내의 평균 변위량이다. 연구지역 내 계산된 주시방향으로의 평균 지표면 변위속도는 0.19cm/yr이고, 추정오차는 0.18cm/yr이다. 그리고 옛 가은 본갱의 중심부와 가은역 맞은편 일대에서 관측된 침하량은 0.49cm/yr, 1.66cm/yr로 연구지역에서 가장 뚜렷한 침하 양상을 보였다.

Evaluating Soil Respiration as Indicator of Heavy Metal Pollution in Agricultural Field

  • Choi, Won-Suk;Hong, Young-Kyu;Min, Kyung-Jun;Kim, Kwang-Jin;Kim, Sung-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72-481
    • /
    • 2017
  • Agricultural field near at the abandoned metal mine and industrial area has a high possibility to be polluted by heavy metals. However, concern about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heavy metal concentration has been increased and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soil respiration has been minimal in heavy metal polluted field. Therefor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soil respiration as an indicator of heavy metal pollution in agricultural field. Total of 60 sampling sites including each 30 sites of abandoned metal mine and industrial area were selected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soil respiration,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metal mine area was ranged Cu: $6.21~85.23mg\;kg^{-1}$, Pb: $23.84{\sim}1,044.72mg\;kg^{-1}$, As: $1.88{\sim}691.44mg\;kg^{-1}$, Zn: $18.72{\sim}527.55mg\;kg^{-1}$, Cd: $0.58{\sim}4.27mg\;kg^{-1}$, and Cu: $0.29{\sim}30.62mg\;kg^{-1}$, Pb: $4.41{\sim}19.77mg\;kg^{-1}$, As: $2.23{\sim}11.76mg\;kg^{-1}$, Zn $39.98{\sim}109.59mg\;kg^{-1}$, Cd $0.29{\sim}0.57mg\;kg^{-1}$ for industrial area respectively. While no sampling site was exceed the threshold value of each heavy metals in industrial field, metal mine area was highly polluted with Pb, As, Zn, and Cd. Soil respiration in the metal mine and industrial area was ranged $12.05{\sim}299.80mg\;O_2\;kg^{-1}$ and $27.68{\sim}330.94mg\;O_2\;kg^{-1}$,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oil and soil respiration showed tha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in metal mine area while no correlation was observed in industrial area. This result might indicate that as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microbial activity in soil was decreased resulting decrease of soil respiration rate. Overall, soil respiration can be used as indicator of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 and more biological properties need to be evaluated to better understand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

폐금속광산 하부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오염과 그 복구방법으로서 반전객토의 효율성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s Around the Downstream Area of Abandoned Metal Mine and Efficiency of Reversed Soil Method as Its Remediation)

  • 나춘기;이무성;정재일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2호
    • /
    • pp.123-135
    • /
    • 199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persion patterns and contamination level of heavy metals in the soil-ecosystem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soil remediation by reversed soil method, soils and plants were collected from the Dongjin Au-Ag-Cu mine area and analysed for heavy metals. The dispersion patterns of heavy metals in soils and plants show that heavy metal pollutions caused by waste rump around Dongjin mine are mainly found in the vicinity of the waste rump and in the southward slanting of mine. Toxic metallic pollutants from the mine influence heavy metal contents in paddy soils in downstream area, and may be a potential sources of heavy metal pollution on crop plants.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remediated rice farming field by reversed method show similar levels of heavy metal content to those from the polluted rice farming field, but topsoil enrichment of heavy metals are not found. Heavy metal contents of the rice plants collected from remediated rice farming field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polluted rice farming field, and it suggests that the reversed soil method i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bioavailability of heavy metals.

  • PDF

동명 금-은 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from Dongmyeong Au-Ag Mine Area)

  • 이광춘;김세현;이승호;서용찬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1호
    • /
    • pp.17-25
    • /
    • 2003
  • 동명광산을 경유하는 수계의 pH는 5.9∼7.1의 변화를 보여 약산성 내지는 중성의 환경을 보인다. 하천수 중 중금속 원소함량의 분포는 자원소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포 양상을 보이나 전반적으로 폐광산 주변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명광산 지역의 광미, 폐석적치장토양, 농경지토양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농경지토양에는 중금속의 총 농토가 광미나 폐석적치장의 토양보다 훨씬 낮았을 뿐 아니라 총 중금속 농도 중 adsorbed, carbonate, reducible fraction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이들이 농작물이나 주변 수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하천수중 중금속 원소함량 분포가 전반적으로 광산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광미나 폐석적치장 토양에서도 중금속의 총 농도가 매우 높았을 뿐 아니라 adsorbed, carbonate, reducible fractions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농경지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이들이 유실되거나 또는 산성우, 산성인 광산폐수의 유입 등으로 인해 화학적 환경변화가 발생할 경우 중금속 오염의 확산이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오염방지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