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lon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Effects of Temperature on Survival and Growth of Hybrids between Haliotis gigantea Gmelin (♀) and Haliotis discus hannai Reeve (♂)

  • An, Hye Suck;Han, Jong Won;Hwang, Hyun-Ju;Jeon, Hancheol;Jung, Seung-Hyun;Jo, Seonmi;Choi, Tae-Young;Hyun, Young Se;Song, Ha Yeun;Whang, Ilson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2017
  • In abalones, interspecific hybridiz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possible means to increase production and desired traits for the industry. In Korea, Haliotis gigantea is considered a species with a larger size and higher temperature tolerance than H. discus hannai. However, H. discus hannai is considered the most valuable and popular fishery resource due to its better acceptance and higher market prices. Thus, viable interspecific hybrids have been produced by artificial inseminating H. gigantea eggs with H. discus hannai sperm. However, the reciprocal hybrid cross was not successful. In this study, the hybridity and the growth and thermal tolerance performance of the interspecific hybrids were examined. A combination of various assays revealed maximum growth occurrence at 21℃ and the higher growth rate in the hybrids than that of H. discus hannai parent. In addition, the growth and survival at high-temperature (28℃) of the hybrids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highly tolerant H. gigantea parent, suggesting new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mass mortality in H. discus hannai during high temperature periods of summer season in Korea. Furthermore, the induced interspecific hybrid status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species-specific bands for each parental species of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ofiles using universal rice primer (URP), which could be used as speciesspecific markers to distinguish the hybrids and their parental species.

유통중인 양식산 냉동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미생물학적·화학적 위해요소분석 및 안전성 평가 (Risk Analysis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in Cultured Froze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Distributed in Markets)

  • 전은비;강상인;허민수;이정석;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03-208
    • /
    • 2024
  • Fifteen cultured froze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amples were purchased from supermarkets, traditional markets, online markets, and processing factories throughout Korea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Sanitary-indicative (total viable bacteria,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nterohemorrhagic E. coli)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were assessed quantitatively or qualitatively. Additionally, heavy metal content (lead, cadmium, and total mercury) and radioactivity (134CS+137CS, 131I) were quantitatively assessed. The total viable bacterial count was 4.3×102 CFU/g, while coliform count was 50 CFU/g. E. coli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count < 10 CFU/g). All six pathogenic bacteria tested negative qualitatively. The average lead, cadmium, and total mercury contamination levels in the cultured frozen abalone were 0.100±0.057, 0.145±0.061, and 0.015±0.001 mg/kg, respectively. Moreover, none of the samples were radioac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ultured frozen abalones distributed in all types of markets were safe from all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동계기간 상업용 배합사료 공급비율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성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Commercial Artificial Diet Feeding rate during the Winter Season in Indoor Tank)

  • 김병학;박정준;손맹현;김태익;이시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육상 수조에서 중간 양성 시 공급되는 상업용 북방전복 배합사료를 저수온이 유지되는 동계기간에 공급량을 다르게 할 시 성장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1년생 전복치패 (평균 각장 $29.14{\pm}2.56mm$, 중량 $2.9{\pm}0.6g$) 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구는 총체중에 대한 일일 먹이공급율 (the daily feeding rate about total weight, DFW) 을 각 수조에 수용된 실험전복 치패 (250 마리) 총체중의 0.75%, 1.50%, 2.25%. 3.00%. 3.75%, 4.50%로 공급되도록 총 6개 구간을 설정 (0.75 DFW, 1.50 DFW, 2.25 DFW, 3.00 DFW, 3.75 DFW, 4.5 DFW) 하였으며, 실험구는 모두 2반복으로 실시되었다. 실험기간인 동계기간에 평균수온은 $9.7{\pm}3.27^{\circ}C$이었으며. 월별 각장과 각장 성장률 (AGRSL) 및 순간성장률 (SGRSL) 은 1월에는 1.50 DFW 와 2.25 DFW, 3.75 DFW 가 0.75 DFW, 3.00 DFW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월별 체중변화 3월에 3.75 DFW 가 모든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월별 중중률변화에서는 3.75 DFW 가 실험구보다 0.75 DFW 와 1.50 DFW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열단위성장계수 (TGC) 에서는 1월부터 급격히 낮아졌으며, 3.75 DFW 가 모든 실험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1월에는 3.75 DFW 가 0.75 DFW, 1.50 DFW 보다 높았으며 (P < 0.05),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2월에는 3.75 DFW 가 2.25 DFW, 4.50 DFW 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3월에는 3.75 DFW 가 4.50 DFW 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보다 높았다 (P < 0.05). 월별 사료효율에서는 12월에 0.75 DFW 가 모든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 < 0.05), 이후 1월을 제외한 2월과 3월에는 모든 실험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방전복 치패를 육상수조에서 동계기간 내 사육 시 상업용 배합사료는 일정량 이상을 공급하는 것이 육중량을 유지 또는 일부 증가시킬 수 있으며, 향후 동계기간의 사료공급율에 따른 육중량의 변화가 수온상승기에 가져올 수 있는 성장 변화를 연결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복 양식업의 발전과정과 당면과제 연구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cedure and Current Problems of the Korean Abalone Industry)

  • 옥영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44권3호
    • /
    • pp.15-28
    • /
    • 2013
  • Abalone aquaculture has developed very rapidly in Korea. Until the mid 1990s it has annually produced about 100 tons. Since then the yield has increased to about 9,000 tons in 2012. The amount accounts for 20% of the global abalone yield. About 86% of produced abalone is consumed domestically and the rest is exported. 100 tons for export seemed as an unattainable goal back in 2003. However, the export rose up to 1,333 tons in 2012. Despite its rapid growth, Korean abalone industry is faced with some problems. The first is the slowdown of yield increase rates. Abalone production increased by 50~60% until the mid 2000. However, the rate continued to drop to below 10%. Reasons behind the slow increase are deteriorating aquaculture grounds and worsening market problems. Constant aquaculture aggravated productivity and overcrowded facilities at a limited space made matters worse. Moreover, abalone export has stalled and so did domestic consumption. In the meantime, rising mortality of young abalone has lowered productivity at abalone breeding places. The mortality rates of abalone remained below 5% in the early 2000s but rose to 30~40% these days. This translates into rising abalone prices. The market problems imply stagnant or shrinking export as well as domestic consumption. The export increase rates took a nosedive from 200 to below 50 between the early 2000s and the late 2000s. Moreover, the increase rates of domestic consumption have become remarkably sluggish. According to, it stood at 50~60% in the mid 2000s but continued to decrease after 2008. These problems, in turn, affected the size of abalone. The usual abalone size for market was 10~12 shells per kg, but recently the size became smaller and smaller to 15~16 shells per kg. The change of size implies shift in consumption patterns: Consumers not only eat live abalone but also they cook soup with it. The size of abalone for uncooked dish is usually very big, like 10~12 shells per kg. In contrast, smaller abalone, such as 20~25 shells per kg, are used for making soup. Increasing use of smaller abalone leads to lower income of abalone aquaculture households. This is partly because that the size determines the price and the price gap between big abalones and smaller ones is extreme in Korea.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abalone industry, we need to come up with strategies. First, a reasonable production system needs to be in place, especially for better management of abalone aquaculture grounds. Management of abalone licenses is also necessary because local governments issue relevant licenses as well as supervising abalone grounds. Second, abalone export destination need to be diversified. Japan, the major importer of Korean abalone, takes up a lion's share of export, at 95%. Third, new consumption style of abalone needs to be developed. Abalone used to be consumed as 'raw type' or Sashimi in Korea. This sole type of consumption hampers the growth of abalone market. Moreover, more strategies are needed to encourage and distribute home cooking of abalone rather than eating-out at restaurants. Last but not least,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for better delivery of live abalone.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적정 수온 및 염분 조건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of live container for long distance transport in liv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양성진;명정인;박정준;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3-370
    • /
    • 2014
  • 북방전복을 활어상태로 장거리 수송에 적합한 수온 및 염분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온 및 염분 별 생존율, 산소소비율의 생리적리듬 및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10^{\circ}C$$8^{\circ}C$에서는 모든 염분에서 생존율이 96-100%로 폐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6^{\circ}C$$4^{\circ}C$의 경우 염분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북방전복의 염분내성농도는 24.9 psu (Shin et al., 2011) 으로 염분 25 psu 이하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염분이므로 저수온과의 복합 영향을 고려해볼 때 수송조건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북방전복의 24시간 동안 산소소비율의 일주리듬은 일반해수와 염분 $30{\pm}0.5psu$에서 수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염분 및 수온 별 산소소비율은 모든 염분에서 수온이 하강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일반해수에 비해 $30{\pm}0.5psu$에서 산소소비율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북방전복 발상피와 근육의 조직학적 지표는 염분 $30{\pm}0.5psu$이하와 수온 $6^{\circ}C$이하의 복합구에서 상피층의 두께 감소 또는 혈림프동 확장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북방전복의 장거리수송을 위한 수온의 적정범위는 $8-10^{\circ}C$, 염분은 $30{\pm}0.5psu$이상으로 여겨진다.

급격한 수온 스트레스에 따른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ies on Acute Water-temperature Stres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태형;양문휴;최미경;한석중;여인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2
    • /
    • 2005
  • 본 연구는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를 이용하여 급격한 수온변화 스트레스에 따른 간부위에서의 항산화효소 및 HSP70 mRN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10, 15, 20(대조구), 25 및 $30^{\circ}C$로 설정하였으며, 측정 시간은 0, 6, 12, 24 및 48h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HSP70 mRNA의 발현은 다른 실험구들과 비교하여 $30^{\circ}C$ 실험구에서만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으며, SOD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고수온에서 12 h 이후 급격한 상승을 나타내었고, 저수온에서는 수온 스트레스 자극 직후에 증가한 후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T에서는 실험 개시 후부터 고수온 실험구에서 지속적인 상승을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중의 생존율은 $30^{\circ}C$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30^{\circ}C$ 실험구에서는 $92\%$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20"C에서 순치된 전복은 저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기작이 약 $5^{\circ}C$ 내외의 고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기작과 비교하여 보다 빠르게 작용하여 안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 수온 이상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생체 내 과도한 생리학적 방어 기작이 작용하여 항산화효소 및 HSP70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내 먹이공급비율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 (The Effect of Growth and Survival Rate on Feeding Rate of 3-year-ol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ing in Net Cage Culture)

  • 김병학;박정준;손맹현;김태익;이시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3-109
    • /
    • 2016
  • 본 연구는 3년산 북방전복의 해상가두리의 먹이공급비율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을 조사하여, 미역과 다시마등의 천연먹이의 적정 공급율을 제안하여 북방전복 성패의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자 실시하였다. 먹이공급율은 실험전복 어체중량을 기준으로 일간공급율 (daily feeding rate, DFR) 5, 10, 15, 20% (5 DFR, 10 DFR, 15 DFR, 20 DFR) 를 설정하여, 해상가두리에서 2반복으로 13개월간 실시하였다.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한 전복 (최초 수용 시 평균각장 $73.77{\pm}11.27mm$) 성장에서 각장과 각폭의 성장율 (growth rate, GR), 일간성장율 (daily growth rate, DGR) 및 특수생장율 (specific growth rate, SGR) 과 체중의 증중률 (weight gain, WG), 일간증중률 (daily weight gain, DWG) 및 특수증중률 (specific weight gain, SWG), 그리고 생존율에서 5 DFR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30%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3년산 북방전복을 해상가두리에서 사육 시 미역, 다시마 등의 생먹이의 일간 공급율은 어체중량의 5-10%에서 공급되는 것이 성장에 유리하지만, 생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저수온 스트레스에 의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생리학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n Low Water-temperature Stress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박철지;민병화;김관석;이장욱;이정호;노재구;김현철;박종원;명정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7-322
    • /
    • 2011
  • 본 연구는 북방전복 (H. discus hannai) 의 겨울철 저수온으로 발생하는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생리학적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온 $12^{\circ}C$를 대조구로 $7^{\circ}C$$4^{\circ}C$의 실험구를 설정하고 10일간에 걸쳐 생존율,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총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7^{\circ}C$ 저수온 실험구에서는 SOD 활성 및 총 단백질 농도가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생존율은 90.8%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4^{\circ}C$ 저수온 실험구에서는 SOD 활성은 노출직후에 급격히 상승하여 12시간째까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단백질 농도에 있어서는 24시간째부터 실험종료 시까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3일째 10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10일째 전 개체가 페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북방전복 (H. discus hannai) 은 $7^{\circ}C$의 저수온 실험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작을 이용하여 생존이 가능한 반면에 $4^{\circ}C$의 저수온 실험구에서는 생리적 순응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나 방어기작의 한계를 벗어나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추정된다.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표지의 영향 (Effects of the Tagging methods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Abalone Juvenile, Haliotis discus hannai)

  • 김봉석;이윤호;박두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2-288
    • /
    • 2002
  • 전복 방류효과조사를 위한 효과적인 표지 개발을 위하여 치패에 알맞은 표지 탐색과 표지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에 관하여 2000년 5월 25일부터 2001년 1월 27일까지 8개월간 조사하였다. 실험군 (결각군, 동선부착군, 볼트너트구조물부착군 그리고 너트접착군)별 표지부착률은 각장 2, 3cm 볼트너트부착군에서 89.9, $89.5\%$로 가장 높았고, 결각군이 $18.5\%$ 이하로 가장 낮게 식별되었다. 패각 내부에서 표지를 피복하여 표지의 안정성을 높이는 표지피복률은 각장 2, 3cm 볼트너트부착군은 각각 $100.0\%$, $96.6\%$로 나타난 반면, 동선부착군에서는 $17.1\%$ 이하로 나타났다. 각장 2, 3, 4와 5cm의 치패 크기에 따른 표지 실험군별 성장은 대조군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표지가 전복치패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존율 역시 각장 2, 3, 4cm의 모든 실험군에서 $93.8\%$ 이상을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표지가 전복의 폐사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각장 5cm 실험군의 생존율은 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지부착 및 피복률, 성장과 생존 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 미세볼트너트표지를 부착한 각장 3cm실험군이 본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과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Reeve, 1846) hemolymph의 생리학적 변화 (Influence of elevated temperature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hemolymph from two species of abalone, Haliotis gigantea and Haliotis discus discus (Reeve, 1846))

  • 민은영;김신후;황인기;김경욱;박보미;이정식;강주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7-1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 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헤모림프의 생리 및 면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 두 전복을 20, 22, 24, 26 및 $28^{\circ}C$ 수온에 각각 4 일간 노출시켰다. 노출 결과, 헤모림프의 totalo-protein (TP), glucose, calcium (Ca) 은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말전복 (H. gigantea) 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magnesium (Mg), alkaline phosphatase (ALP) 두 전복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O에서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온 증가에 따른 헤모림프의 TP, glucose, Mg, AST, ALT 및 ALP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헤모림프의 Ca 농도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에서 $24^{\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henoloxidase (PO) 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2^{\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 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말전복 (H. gigantea)은 $24^{\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6^{\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보였다.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6^{\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2^{\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