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ocopherol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34초

버진, 퓨어, 포마스 올리브유의 이화학적인 특성 비교를 통한 품질등급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ying Quality Standard by Comparison wit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rgin, Pure, Pomace Olive Oil)

  • 조은아;이영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9-34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of olive oils that are mainly distributed in Korea via imports. The fatty acid contents, degree of color, pigments, anti-oxidants, and sterol contents are analyzed on the different types of olive oil as follows: 10 kinds of extra virgin olive oil, 5 kinds of pure olive oil, and 5 kinds of refined olive-pomace oil. As a result of fatty acid analysis, the majority of oleic acid ($C_{18:1}$) and palmitic acid ($C_{16:0}$), and minority of linoleic acid ($C_{18:2}$) and stearic acid ($C_{18:0}$) were detect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s of olive oils. The UV spectrum is related to the ${\Delta}K$, and it is a part of the analysis factor for the purity and degree of degradation of the oil. Extra virgin olive oil had ${\Delta}K$ of almost 0, pure olive oil had 0.07~0.12, and refined olive-pomace oil had 0.1~0.13. These differed from extra virgin oil, and the pure or pomace oil ${\Delta}K$ had a confirmed distinct difference. The color degrees of chlorophyll with a low $L^*$ value and $(-)a^*$ (green) and carotenoid with $(+)b^*$ (yellow) were confirmed to have correlation between extra virgin and other olive oils. To compare chlorophyll and carotenoid as natural pigment in olive oils, 417 nm and the ratio of the absorbance at 480 nm (417/480) was calculated at 1.62 of extra virgin, 1.85 of pure olive oil, and 3.32 of refined olive-pomace oil.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distinguish when the extra virgin or pure olive oil are mixed with olive-pomace oil. The total amount of tocopherol, an anti-oxidant, were 19.06 in extra virgin, 10.91 in pure olive oil, and 27.88 in refined olive-pomace oil. The high content of tocopherol in pomace oil caused recovery of solvent extraction from olive pulp. Thus, extra virgin oil and pure olive oil were distinguished by olive-pomace oil. Polyphenol compounds in extra virgin olive oil measured high only in ferulic acid with 0.543 mg/kg, caffeic acid with 0.393 mg/kg, and other vanillic acid, vanillin, and p-coumaric acid had similar amount of 0.3 mg/kg. All grade of olive oils had the highest ${\beta}$-sitosterol content. Af (Authenticity factor) value were estimated with campesterol and stigmasterol content ratio (%). Af value was 19.2 in extra virgin olive oil, 17.1 in pure olive oil, 16.9 in refined olive-pomace oil, which were distinctive from sunflower oil with 3.7, corn oil with 2.4, and soybean oil with 2.0. It can provide important indicator of olive oil adulteration with other cheap vegetable oi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database for the classification of olive oil grade and distinguishing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oils.

증숙면 튀김 과정 중 대두유, 우지, 팜유의 가열 산화 안정성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 최은옥;이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2
    • /
    • 1998
  • 대두유, 우지, 팜유에서 증숙면을 튀겨내면서 튀김유의 가열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튀김유를 $150^{\circ}C$로 가열하고 증숙면을 30분 간격으로 70초간 튀기는 도중 8시간 간격으로 튀김유를 채취하여 과산화물가와 유리지방산의 함량, 지방산 조성의 변화,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엔올을 분석하였다. 튀김과정중 대두유에서의 과산화물가 및 유리지방산가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우지와 팜유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구성 지방산의 불포화도는 대두유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팜유, 우지의 순이었다.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과정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줄어드는 대신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산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리놀레산과 팔미틴산의 함량비는 대두유의 경우 튀김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튀김시간에 따라 높은 상관관계로 감소하였고 우지보다는 팜유에서 그 속도가 빨랐다. 이것은 대두유가 가열 산화에 가장 안정하고 우지, 팜유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토코페롤은 대두유에서 튀김과정에 의해 파괴되어 8, 16, 24시간 후 87.5, 81.1, 73.1%가 잔존하였으며 그 파괴 속도는 ${\gamma}$-토코페롤이 가장 컸고 ${\beta}-,\;{\alpha}$-토코페롤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 우지와 팜유에 각각 34.2, 169.0 ppm 존재하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은 튀김 8시간을 지나면서 모두 파괴되었다. 따라서 높은 불포화도에도 불구하고 대두유에서 나타난 가열산화안전성은 토코페롤의 높은 잔존량에 기인하였고, 팜유가 우지보다 낮은 가열산화안전성을 보인 것은 구성 지방산의 높은 불포화도에서 일부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OM 시험에 의한 팜유와 우지에 대한 몇가지 산화방지제 효과와 비교 (Relative Effectiveness of Some Antioxidants on Palm Oil and Beef Tallow by AOM Tests)

  • 양주홍;장영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3-568
    • /
    • 1988
  • 몇가지 산화방지제와 상승제를 첨가하여 가열한 팜유와 우지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AOM시험에 의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팜유에 0.02% TBHQ를 첨가하였을때 같은 농도의 다른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였을 때 보다 AOM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우지에 0.02% TBHQ를 첨가하였을 때는 같은 농도의 BHA와 BHT 혼합제와 $DL-{\alpha}-T$을 첨가한 것 보다 AOM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나 같은 농도의 ${\delta}-T$와 MT을 첨가한것 보다 증가하지 않았다. 팜유와우지에 $DL-{\alpha}-T$을첨가하였을 때는 BHA와 BHT 혼합제를 첨가한 것 보다 AOM안정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팜유와 우지에 ${\delta}-T$와 MT를 첨가하였을 때는 $DL-{\alpha}-T$를 첨가하였을때 보다 AOM 안정성이 증가되었고 ${\delta}-T$와 MT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DL-{\alpha}-T$${\delta}-T$에 대한 구연산의 상승효과는 팜유보다 우지에서, $DL-{\alpha}-T$에 대한 AP의 상승효과는 우지보다 팜유에서, ${\delta}-T$에 대한 AP의 상승효과는 팜유보다 우지에서 각각 더 효과적이었다. 가열중 tocopherol류의 손실량은 우지보다 팜유에서 더 적었다.

  • PDF

Immune Response and Plasma Alpha Tocopherol and Selenium Status of Male Buffalo (Bubalus bubalis) Calve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and Selenium

  • Shinde, P.L.;Dass, R.S.;Garg, A.K.;Chaturvedi, V.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1539-1545
    • /
    • 200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20 male buffalo calves to study the effect of vitamin E and selenium supplementation on their immune response and plasma ${\alpha}$-tocopherol and selenium status. These buffalo calves (10-12 months old, average body weight $75.30{\pm}2.20 $ kg)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s on the basis of their body weights and were fed on wheat straw and concentrate mixture to meet their nutrient requirements of 500 g/d body weight gain. The buffalo calves were fed either a control diet (neither supplemented with Se nor VE) or diets supplemented with Se at 0.3 ppm (+Se), DL-alpha tocopheryl acetate at 300 IU (+VE), and both DL-alpha tocopheryl acetate at 300 IU and Se at 0.3 ppm (+Se+VE). Thes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180 day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day 0 and subsequently at 45 day intervals up to 180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to monitor plasma ${\alpha}$-tocopherol and Se concentrations. To assess humoral immune response, all calves were sensitized with formalin inactivated Pasteurella multocida antigen at 135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and blood was collected on 0, 7, 14, 21 and 28 days post vaccination (DPV) to measure antibody production using indirect ELISA.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of calves was assessed after 180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by in vivo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DTH) reaction using phytohaemaglutinin-P (PHA-P) as a mitogen. Results revealed that feeding of VE and Se improved the plasma levels of these nutrients. Plasma levels of Se were affected by supplementation of both VE (p<0.001) and Se (p<0.001); however, no interaction ($Se{\times}VE$) was observed. Supplementation of Se improved the humoral immune response (p<0.008), whereas, VE showed a tendency towards improvement in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p<0.064). It was concluded that vitamin E and Se supplementation improved the status of these micronutrients and humoral immune response in buffalo calves.

사람 LDL의 지질과산화에 의한 geraniin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Role of Geraniin in Lipid Peroxidation of Human LDL)

  • Ho, Ryu-Beung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0-187
    • /
    • 2004
  • 본 연구는 동맥 경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사람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geraniin의 산화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사람 LDL을 C $u^{2+}$유도 LDL로 산화 시킬 때 50와 100 $\mu\textrm{g}$/ml 농도의 geraniin를 첨가하여 TBARS을 측정한 결과 LDL에 대한 항산화가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Geraniin를 20-100 $\mu\textrm{g}$/ml의 농도를 조절하여 전기 영동에 의한 이동상을 조사한 결과 100 $\mu\textrm{g}$/ml geraniin의 농도에서 거의 완전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사람 LDL에 C $u^{2+}$로 유도하여 LDL를 산화시킬때 conjugated diene를 보면 geraniin를 100 $\mu\textrm{g}$/ml 첨가하였을 때 억제 효과가 높았다. 또한 geraniin은 동맥의 내피세포에 서도 그 농도에 따라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horbol myristate acetate를 처리한 macrophage 유도활성 산소의 소거 효과는 geraniin의 농도가 100 $\mu\textrm{g}$/ml일때 거의 소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eraniin는 $\alpha$-tocopherol, ascorbir acid 및 합성 항산화제인 probucol과 거의 비슷한 항산화 활성이 있어 동맥 경화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Serum fatty acids, biochemical indices and antioxidant status in goats fed canola oil and palm oil blend

  • Adeyemi, Kazeem D.;Sabow, Azad B.;Aghwan, Zeiad A.;Ebrahimi, Mahdi;Samsudin, Anjas A.;Alimon, Abdul R.;Sazili, Awis Q.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2호
    • /
    • pp.6.1-6.11
    • /
    • 2016
  • Background: Dietary supplementation of unsaturated fats in ruminants, if not stabilized, can instigate oxidative stress which can have negative impact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nhance the susceptibility to various disease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etary 80 % canola oil and 20 % palm oil blend (CPOB) on serum fatty acids, antioxidant profile and biochemical indices in goats. Thirty Boer bucks (4-5 months old; initial BW, $20.34{\pm}0.77kg$) were randomly assigned to diets containing 0, 4 or 8 % CPOB and fed daily for a period of 90 days. Blood was sampled from the goats on 0, 30, 60 and 90 days of the trial and the serum was analyzed for fatty acids, cholesterol, glucose, total protein, antioxidants and lipid oxidation. Results: Neither diet nor sampling time influenced serum TBARS valu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LDL cholesterol, VLDL cholesterol, triglycerides, glucose and total protein. Goats fed 4 and 8 % CPOB had higher (P < 0.05) tota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than the control goats on day 30, 60 and 90. The proportion of C15:0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CPOB on day 30 and 60. Serum C18:1n-9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CPOB in diet on day 60. The proportion of C18:3n-3 and C22:5n-3 increased (P < 0.05), while the proportion of C18:2n-6 decreased (P < 0.05) with increase in the level of CPOB on day 60 and 90. Dietary CPOB did not affect serum total carotenoid and ${\delta}$-tocopherol but did increase (P < 0.05) ${\alpha}$ and ${\gamma}$-tocopherol. Conclusion: Dietary canola oil and palm oil blend could be supplemented in diets without instigating oxidative stress in goats.

팜유와 우지로 제조한 라면의 저장 안정성에 대한 산화방지제 효과의 비교 (Relative Effectiveness of Some Antioxidants on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Noodle(Ramyon) Fried by Palm Oil and Beef Tallow)

  • 양주홍;장영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9-575
    • /
    • 1988
  • 몇가지 산화방지제와 상승제를 첨가한 팜유와 우지로 튀긴 라면의 저장 안정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저장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이화학적 항수(과산화물값, carbonyl값, conjugated diene)의 변화와 n-hexana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와 우지에 ${\delta}-Toc$을 첨가한 것이 $DL-{\alpha}-Toc$을 첨가한 것보다 저장 안정성이 다같이 우수하였고고 ${\delta}-Toc$$DL-{\alpha}-Toc$에 상승제로 ascorbyl palmitate를 첨가하였을 때가 citr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보다 상승효과가 좋았다. 우지에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것이 tocopherol류를 첨가한 것보다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팜유에서는 BHA와 BHT 혼합제를 첨가한 것이 ${\delta}-Toc$를 첨가한 것보다 저장 안정성이 좋지 못하였다. 저장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값, carbonyl값 및 conjugated diene산의 변화는 서로 잘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라면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저장 라면중의 hexanal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Tetraselmis suecica유래의 항산화성 물질의 정제 및 구조 (Purification and Structure of Antioxidative Substance Derived from Tetraselmis suecica)

  • 김세권;변희국;박표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5-161
    • /
    • 2002
  • 해양 미세조류는 해양생물의 영양원으로서 대부분 소비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이들 미세조류로부터 유용물질의 회수 및 이용은 미이용 수산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아울러 생물 및 식량자원으로서 그리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비교적 성장이 빠르고 배양이 용이한 담녹조류인 T. suecica 중의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미세조류 T. suecica의 유기용매 추출물 중의 항산화성은 chloroform 획분이 가장 좋았으며, 이 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TLC 및 HPLC를 사용하여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cdot}$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을 사용하여 분리된 획분의 항산화성은 hexane: ethylacetate (1:5)로 용출시킨 획분에서 가장 높았다. 이 획분은 PTLC에 전개하여 8개의 획분을 얻었으며, 그 중에서 Rf값 0.40인 획분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HPLC에서 단일 획분으로 정제된 물질의 항산화성은$IC_{50}$ 값으로 10.2$\mu$g/mL였으며,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산화제인 BHT 및 BHA보다는 낮았지만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될 수 있었다 이 물질의 화학적 구조는 chlorophyll을 전구체로 하는 pheophorbide-a로 동정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a-tocopherol과 비교될 수 있어 식품 및 관련분야에서 항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메밀의 성분 (Composition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Cultivars from Korea)

  • 심태흠;이혁화;이상영;최용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59-1266
    • /
    • 1998
  • 메밀의 품종간 성분함량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13 종(개량종, 6종; 재래종, 7종)의 메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의 주요아미노산은 glutamate, arginine, asparagine이였으며, 이에 비하여 tryptophan, cysteine, methion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메밀의 아미노산 조성중 tryptophan 함량은 195 mg%였다. Rutin 함량은 개량품종에서 높았으며, quercetin의 함량은 낮았다. Phytic acid 함량은 $7.0{\sim}13.6\;mg/g$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평균함량은 5.4 mg%이었다. 메밀중 함유된 tocopherol의 평균함량은 6.84 mg%이었으며, 이중 ${\gamma}$-형(6.16 mg%)이 주요한 동족체로 존재한 반면, ${\beta}$-형은 없거나 매우 낮았다. 여러 미량원소중에서 특히 철은 품종간 커다란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메밀 총단백질을 분석한 SDS-PAGE 전기영동은 메밀품종간 유사한 단백질패턴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분석한 13개의 시료중 품질면에서 수원 1호가 우수한 품종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사방오리(Alnus firma)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lnus firma Extracts)

  • 최혜정;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8
    • /
    • 2019
  • 본 연구는 사방오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사방오리는 메탄올(MeOH) 분획에 가장 높은 총 페놀화합물($452.80{\pm}7.01{\mu}g$ gallic acid equivalents/mg)을 그리고 에틸에세테이트(EA) 분획 에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12.29{\pm}11.14{\mu}g$ rutin equivalents/mg)과 가장 높은 총 항산화 활성($936.23{\pm}0.07{\mu}g$ ${\alpha}$-tocopherol equivalents/mg)을 가지고 있었다. 사방오리의 용매 추출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아스코빅산 등 표준 물질과 비교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beta}$-carotene-linoleate 에세이, 환원력 측정, ferric thiocyanate법으로 지질과산화 억제력 측정 그리고 금속 킬레이팅능 측정 등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250{\mu}g/ml$ 농도의 사방오리 EA와 MeOH 분획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각각 92.43와 89.20%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50{\mu}g/ml$의 EA분획은 72.49%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gallic acid의 소거능(60.88%)보다 조금 높았다. 또한 ${\beta}$-carotene-linoleic acid 시스템에 의한 과산화 억제능 조사에서 0.5과 1 mg/ml 농도의 EA 분획이 각각 73.45와 73.29% 억제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EA 분획 > BuOH 분획 > DCM분획 > HX분획 순 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에서 사방오리는 천연 항산화제제 개발을 위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잠재적인 자원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