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aconin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저장(貯藏)에 따른 감자의 Glycoalkaloid의 변화(變化) (Change in Glycoalkaloid of Potatoes during Storage)

  • 황춘선;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8-391
    • /
    • 1984
  • Irish Cobbler와 May Queen의 두품종(品種)의 감자를 $1^{\circ}$$20^{\circ}C$에 저장(貯藏)하여 피층부(皮層部) 및 수질부(髓質部)의 glycoalkaloid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 검토(檢討)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 괴경(塊莖)을 $20^{\circ}C$구(區)에서 저장 하였을 때 두품종(品種) 다같이 맹아(萌芽)에 따라 피층부(皮層部)의 ${\alpha}-chaconine$${\alpha}-solanine$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그 증가(增加)의 정도(程度)는 May Queen에 있어서 보다 현저(顯著)하였다. $1^{\circ}C$구(區)의 피층부(皮層部)에서는 두품종(品種) 다같이 외관상(外觀上)의 변화(變化)가 보이지 않은 저장기간 중에도 glycoalkaloid가 증가(增加)하는 것이 확인(確認)되었다. 수질부(髓質部)에 있어서는 두품종(品種) 다같이 저장에 따라 소량의 ${\alpha}-chaconine$이 약간 검출되었으나, ${\alpha}-solanine$은 양온도구(兩溫度區)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

저장에 의한 감자(수미)의 Glycoalkaloid 함량의 변화 (Changes in glycoalkaloid contents of 'Superior' potato tubers by storage)

  • 김정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245-251
    • /
    • 2007
  • 저장에 따른 감자의 glycoalkaloid(PGA)의 함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수미 감자를 사용하여 $5^{\circ}$C와 $20^{\circ}$C의 항온실에 저장한 후, $5^{\circ}$C 저장 감자는 20일 간격으로 80일 동안을, $20^{\circ}$C는 10일 간격으로 40일 동안 감자의 glycoalkaloid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 당일 감자의 a-chaconine과 a-solanine의 함량은chaconine이 54.22 mg/100 g 으로 solanine의 26.57 mg/100 g의 약 2배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5^{\circ}$C에서 저장된 감자의 싹의 성장은 20일째 0.4 cm의 발아를 보여 40일째는 1 cm, 60일째 1.8 cm 정도인 것이 이후에 많은 증가를 보여 80일에는 5.2 cm의 신장을 나타내었다. PGA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 당일에 비해 20일에는 3.5%, 40일에는 11.6%, 60일에는 23.4%, 80일에는 41.4%의 증가를 보였다. $20^{\circ}$C에 저장한 감자의 싹은 10일째에 0.5 cm로 발아하였으나 20일째에 2.3 cm, 40일에 7.4 cm로 급속한 싹의 신장을 보였다. PGA의 변화는 저장 당일에 비해 10일에 12.5%, 20일에는 36.6%, 30일에는 44.8%, 40일에는 48.4%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즉,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PGA함량은 $5^{\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한 감자는 $20^{\circ}$C에서 저장한 감자보다 발아의 지연과 함께 낮은 PGA증가율을 보였다.

시판 감자 가공제품의 Glycoalkaloid 함량에 관한 연구

  • 김정애;한재숙;소궤신행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2-102
    • /
    • 2003
  • 감자에는 적은 양이지만 자연독의 종류인 glycoalltaloid가 함유되어 있다. glycoalkaloid의 대표적인 성분은 a-solanine과 B-chaconine으로 이들을 20rng 이상 섭취할 때에는 건강에 유해하고 그 함량이 많을 시에는 쓴맛의 원인이 된다. 지금까지의 생감자에 함유된 glycoalkaloid에 관한 연구는 몇편 보고된 바 있으나,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여 섭취하는 감자 가공제품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 감자 가공품을 시료로 하여 그에 함유되어 있는 glycoalkaloid의 함량을 조사히여 시판 감자 가공품에 대한 몇 가지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략)

  • PDF

Simple and Sensitive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ycoalkaloids in Potato (Solanum tuberosum L.)

  • Kim, Jae-Kwang;Bae, Shin-Cheol;Baek, Hyung-Jin;Seo, Hyo-Won;Ryu, Tae-Hun;Kim, Jung-Bong;Won, So-Youn;Sohn, Soo-In;Kim, Dong-Hern;Kim, Sun-Ju;Cho, Myoung-Ra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13-117
    • /
    • 2009
  • A method was developed using enhanced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for the analysis and quantitation of 2 main potato glycoalkaloids, $\alpha$-chaconine, and $\alpha$-solanine, without any pre-concentration or derivatisation steps. Calibration curves generated by this technique exhibited a linear dynamic range from 0.025 to $50{\mu}g/mL$ and from 0.05 to $50{\mu}g/mL$ for $\alpha$-chaconine and $\alpha$-solanine, respectively. Matrix effec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calibration curves measured in matrix-matched and solvent-based systems. Ion suppression due to matrix effects was weak and extraction recoveries of 88 to 114% were obtained in different sample matrices spiked with analyt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5 to $35{\mu}g/mL$. Potatoes that had been genetically modified to tolerate glufosinate contained the same glycoalkaloid levels as their non-transgenic counterpart. We suggest complementing compositional comparison assessment strategy by validating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s for the toxic glycoalkaloids in potato plants.

광선의 영향에 따른 감자의 Chlorophyll과 Glycoalkaloid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Chlorophyll and Glycoalkaloid Contents in Potato Tubers after Exposure of Fluorescent and UV Light)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7-212
    • /
    • 2005
  • To determine changes of chlorophyll and potato glycoalkaloid(PGA) contents in potato tubers after lightening, Dejima potatoes cultivated in Korea were used and PGA was analyzed by HPLC. Potatoes were stored under fluorescent and UV light exposure or darkness for 7 days at $5^{\circ}C$.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nd glycoalkaloid in the peel of potatoes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were increased to $84\%,\;69.5\%$ respectively compared to potatoes stored without lightening. While a marked effect of lightening on the peel of potatoes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UV light lead to no change of chlorophyll and less increase in glycoalkaloid than fluorescent did. The increase of chlorophyll was provoked by only fluorescent light. Cortex part did not accumulate any chlorophyll or glycoalkaloid.

  • PDF

한국산 재배종 감자의 기관, 품종, 부위, 중량별 Glycoalkaloid의 변화 (Glycoalkaloid Content in Korean Cultivated Potato Plant and Tubers by Organ, Variety, Part and Weight)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87-194
    • /
    • 2004
  • The concentration of potato(Solanum tuberosum L.) glycoalkaloids(PCA) (i.e., ${\alpha}$-chaconine and ${\alpha}$-solanine) in Korean cultivated potato plant, and in the different varieties, parts and weights of the potato tubers,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GA in potato plants were found in the roots, followed by the stems and leaves. A large quantity of PGA existed in the periderm of 'Atlantic' potatoes, whereas 'Irish Cobbler' contained the lowest amount in five cultivated potato tubers.'Irish Cobbler' potato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PGA content in each part was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 end parts of the potatoes contained higher PGA than the middle part. The PGA contents in four different sizes of potatoes increased toward the smaller size. Thesignificantly high level of PGA was contained in the smallest size potato tubers, which have been used widely for Korean cooking.

감자의 이용 실태 및 Glycoalkaloid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Usage of rotate and Recognition of Glycoalkaloid)

  • 김정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00-606
    • /
    • 2006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age of potato and recognition of glycoalkaloid among residents aged from their teens to over fifties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preferred purchase places for the respondents were traditional markets (41.8%), big discount markets (23.8%), and supermarkets (14.9%), in order. Freshness (52.1%)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llowed by size (12.5%), sprout (10.1%) and producing district (6.6%), in order. Most (77.6%) respondents preferred small amount below $2{\sim}3kg$ per purchase. Potato recognition revealed that respondents knew relatively well that potato sprouts contain toxins (M=4.30), that the major potato toxin is solanine (M=3.86) and that potato contains toxins when its color turns to green (M=3.70). However, respondents did not recognized well that the potato peel contains toxins (M=3.00), or that this toxin is chaconine (M=2.48).

  • PDF

감자의 가공제품 종류와 조리방법에 따른 Glycoalkaloid의 함량 (Glycoalkaloid content in potato tubers by various cooking methods and potato products)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0
    • /
    • 2004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감자 가공제품 12종류와 8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조리한 감자 가공품의 potato glycoalkaloid(PGA)의 함량을 HPLC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리 후 PGA의 감소는 물에 삶은 감자(91.68%)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물에 데친 감자(84.17%)였다. 기름에 튀긴 감자와 볶은 감자의 감소율은 각각 49.42%, 49.51%였으며 찐 감자는 50.52%로서 삶은 것에 비하여 감소율이 낮았으며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한 감자는 40.82%, 구운 것은 9.14%로서 가장 감소율이 낮았다. 증류수에 삶은 감자보다 1% 소금물에 삶은 감자의 PGA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PGA 함량의 감소율이 높은 순서는 boiling 〉 blanching 〉 boiling with 2% NaCl 〉 steaming 〉 sauteing 〉 frying 〉 microwaving 〉 baking 이었다. 2. 수입 감자로 만든 국내회사의 1종류 potato chip에서 PGA 69.57mg/100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동일 브랜드의 국내산 감자로 만든 potato chip은 0.23mg/100g으로 미량이 함유되었다. 냉동 french fry용 감자에서는 미국산, 캐나다산의 수입 제품은 각각 PGA 5.54mg/100g, 6.45mg/100g 이었으나 국내산은 2.05mg/100g 였다. 국내 유명 fast food점 2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french fry 감자에는 PGA가 검출되지 않았다. Potato powder로 만든 과자류는 미국산 수입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사 2종류는 3.68mg/100g, 4.88mg/100g 의 함량을 보였다.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도 검정과 저항성 관련요인 분석 (Screening of Potato Cultivars for Infestation by Selatosomus puncticollis Mot.(Coleoptera: Elasteridae) and Analysis of Factors Assiciated with Resistance)

  • 권민;박천수;함영일;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7-163
    • /
    • 2000
  •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alpha$-chaconine, $\alpha$-solanine, $\alpha$-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in Layer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한 ${\alpha}-Solanine$의 정량(定量) (Thin Layer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lpha}-Solanine$)

  • 최은옥;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38-244
    • /
    • 1981
  • Thin-layer chromatography을 이용(利用)하여 감자중(中)의 ${\alpha}-solanine$의 분리(分離), 정량방법(定量方法)을 모색하였다. Methanol-chloroform (2 : 1, v/v) 혼합용매를 이용한 감자 추출액에 0.2N HCl 용액을 가(加)하여 색소물질(色素物質)을 비롯한 불순물(不純物)을 제거한 후 진한 암모니아 용액(溶液)을 가(加)하여 생성(生成)된 침전을 원심분리(遠心分離)(25,000 rpm, $4^{\circ}C$, 10min.)함으로써 solanine의 침전을 얻었다. 얻어진 solanine 침전을 1% $NH_4OH-absolute$ ethanol-chloroform(1 : 2 : 2, v/v)의 용매 system을 사용(使用)한 TLC로 ${\alpha}-solanine$${\alpha}-chaconine$을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alpha}-solanine$은 Infrared spectrophotometry에 의해서 순도(純度)가 확인(確認) 되었다. 분리(分離)된 ${\alpha}-solanine$을 진한 황산-1% paraformaldehyde(2:1, v/v) 용액(溶液)과 반응(反應)시킨 다음 310nm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정량(定量)하였다. ${\alpha}-solanine$의 진한 황산-1% paraformaldehyde에 의한 발색용액(發色溶液)의 molar absorptivity는 2,09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