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number plate recognitio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8초

스마트 차량 관리 시스템을 위한 HSV 색상모델 기반의 키 프레임 추출 기법 (A Key-Frame Extraction Method based on HSV Color Model for Smart Vehicle Management System)

  • 권용욱;정세훈;박동국;심춘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95-604
    • /
    • 2013
  • 현재 수입차 차량의 등록대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에 맞춰 수입차와 같은 고급 차량을 정비하기 위한 차량 정비 업체의 환경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비 차량의 고객 신뢰도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차량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HSV 색상모델 기반의 키 프레임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수리 차량의 입고 시 차량 번호판 인식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 후, 이를 기준으로 차량의 수리 이력 확인 및 수리 요청을 처리한다. 차량 수리 동영상을 토대로 차량 수리 키 프레임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한다. 아울러 제안하는 기법을 스마트 차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키 프레임 추출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RGB 색상을 HSV 색상으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의 키 프레임 추출을 위한 성능 평가에서 기존의 RGB 색상모델보다 HSV 색상모델이 재현율 측면에서 약 30%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차종 시퀀스 패턴을 이용한 구간통행시간 계측 (Measurement of Travel Time Using Sequence Pattern of Vehicles)

  • 임중선;최경현;오규삼;박종헌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53-63
    • /
    • 2008
  • 교본 연구는, 구간속도 검지를 위한 기존의 방법인 프로브차량 방식과 차량 번호판 인식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써, 도로 구간 시.종점에서의 차량 시퀀스 패턴을 이용하여 구간속도 검지가 가능토록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 제시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구간 시.종점에서의 차량들을 '차종 순차(Precedence)패턴을 순서대로 나열한 일정한 길이의 시퀀스 그룹'으로 인식하고, 종점에서의 특정 시퀀스에 대응하는, 시점에서의 시퀀스를 탐색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시퀀스를 동일 그룹으로 간주하여 해당 구간의 통행 시간을 산출하였다. 유사도 비용의 정의에 따라 세 가지의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차량 유출입에 의한 이상치를 제거하고 가공함으로써 정보제공 주기에 가장 적합한 구간 대표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구간길이와 통과차량 수를 증가시키면서 차종별, 시.종점의 시퀀스 길이별로 반복 시뮬레이션 한 결과, 평균 최대 오차율 3.46%로서 현장 적용성에서 뛰어난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치과에서의 마스크 및 손의 미생물 오염정도 비교 (A Study of the Mask and Hand Contamination in Dental Clinic)

  • 표은지;이경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85-9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degree of mask contamination in dental hygienist for general and oral bacteria and to identify areas of mask contamination after treatment. Methods: Masks were collected with every fifty dental hygienists who currently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prosthodontics, and orthodontics in Busan. The mask bacteria were collected in specific upper and side parts of the mask. Hand germs were collected using sterile cotton swabs, and then placed in a sterile conical tube. These were transferred to the laboratory. Hand germs and mask bacteria were incubated with nutrient broth (NB) and brain heart infusion broth (BHI) for 24 hrs and each cultured with NB and BHI plate at $37^{\circ}C$ for 48 h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20. Results: The number of bacteria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the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10.1{\times}10^5CFU/ml$), prosthodontics ($14.7{\times}10^5CFU/ml$), and orthodontics ($23.3{\times}10^5CFU/ml$) in the hand. In general bacteria, the difference of contamination was seen by the parts of the mask,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oral bacteria were observed highly contaminated upper part of the mask in preventive dentistry. The mask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medical departments was observed. Especially, the contamination of mask in preventive dentist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departments in oral bacteri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orrect mask replacement and recognition of contamination areas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hand hygiene performance to prevent cross-infection with masks. Also, this study may give an idea for making guidelines for mask management and supporting to establish clear criteria for the education program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