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cut-slope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6초

절토사면 현황도 작성 및 분석에 따른 설계변경 사례연구 (An Example of Changed Design through the Face Mapping and Slope Analysis)

  • 이병주;채병곤;이경미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137-146
    • /
    • 2014
  • 연구지역의 지질은 흑색천매암, 석회암 및 함역천매암과 중생대 관입안인 흑운모화강암과 석영반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흑색천매암이 분포하는 구간에서 건설 중인 도로 사면에서 절토사면 현황도(face map)를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작성하였으며 이때 탄질슬레이트 분포지 부근을 포함 사면 내에는 3-4개소에서 사면붕괴와 산 정상부에는 최고 3 m의 변위를 보이며 움직이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사면 붕괴의 원인은 엽리 및 단층 등의 불연속면의 경사방향이 사면의 경사방향과 일치하는 곳에서 붕괴가 발생하였고 탄질 슬레이트는 빗물을 머금을 때 팽창성을 가짐도 붕괴가 일어나는 원인이다. 반면 본 사면의 도로 맞은편 사면에서는 같은 암상 및 지질구조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엽리 및 불연속면들의 경사 방향이 사면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이므로 안정된 사면을 유지하고 있다. 사면의 붕괴가 일어난 곳에서 안정화를 위해 절개 후 복구(cut and cover) 방법으로 도로의 양쪽 사면 사이 도로 상에 터널 구조물을 설치하여 절개식 터널(cut and cover tunnel)을 시공하였으며 시공 후 사면은 안정화 되었다.

Mobile PC를 이용한 절토사면 현황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ntory of Cut-Slope using the Mobile PC)

  • 이종현;김승희;김승현;구호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813-820
    • /
    • 2008
  • We have developed inventory database program which is available in the mobile PC. The mobile PC is convenient in terms of portability, data input, modification, practicality of various program and data confirmation in site. By utilizing the inventory database program in mobile PC, we are able to complete database in site. Then, database is converted into the Hangul document and Excel worksheet. Also, based on the above procedur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inventory on cut-slope can be achieved.

  • PDF

장대사면 내 억지말뚝의 억제효과 (현장 Case-Study 중심으로) (Reinforcing Effects of Micro-Piles in a high Cut Slope)

  • 정성윤;김경태;장기태;한희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4-381
    • /
    • 2002
  • Several sensor systems are used to estimate the reinforceing effect of pile in hihg cut slopes, and to find a failure zone in slopes effectively. Inclinometer, extensometer and V/W sensor have shown a great potentiality to serve real time health monitoring of the slope structures. They were embedded or attached to the structures, we conducted field tests and test results have shown great solutions for sensor systems of Civil Engineering Smart Structures.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lope movement and the reinforceing effect of pile, and the strain distribution in a active zone b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in-situ measurement so that the possible failure zone should be well defined based on the relationships.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ture and reinforceing effect of pile, and the strain distribution are estimated in this paper.

  • PDF

절개사면에 설치된 앵커지지 합벽식 옹벽의 변형거동 (The Deformation Behavior of Anchored Retention Walls installed in Cut Slope)

  • 윤중만;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19권4호
    • /
    • pp.475-482
    • /
    • 2009
  • 절토사면에 설치된 흙막이벽의 거동은 도심지 굴착공사에 적용된 흙막이벽의 거동과는 다를 것이다. 배면경사지에 설치된 흙막이벽 설계법을 확립하기 위하여는 흙막이벽 및 배면지반의 변형거동을 상세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신축부지 절개사면의 보강을 위하여 앵커지지 흙막이벽과 억지말뚝이 설치된 사면을 대상으로 계측을 수행하였다. 계측결과 굴착초기에는 흙막이벽의 변형이 배면경사지반의 변형보다는 크게 발생되나, 굴착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배면경사지반의 변형이 크게 발생되었다. 이는 굴착으로 인한 흙막이벽의 변형이 흙막이말뚝의 강성과 앵커인장력에 의하여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앵커에 도입된 선행인장력은 흙막이벽의 거동에만 큰 영향을 미치며, 강우로 인한 흙막이벽의 변형은 지하수위의 변화보다 지표부근에서 침투된 침투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굴착배면의 경사진 사면에 설치된 앵커지지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는 굴착배면지반이 수평인 흙막이 굴착의 경우 보다 2~6배 정도 크게 발생하였다.

수크령 파종량에 따른 주요녹화식물의 혼파가 비탈면 녹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Seeding of Main Revegetation Plants Treated with Different Seeding Amounts of Pennisetum alopecuroides on Cut-Slope Revegetation)

  • 함경식;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35
    • /
    • 2015
  • Pennisetum aloperculoides is a key revegetation species mixed with other plants species and used for revegetating cut-slop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ixed seeding of revegetation plants on cut-slope revegetation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of Pennisetum aloperculoides seeds. The coverage ratio and appearance frequency of Pennisetum aloperculoides, and other revegetation specie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cut-slope revegetation. We divided Pennisetum treatments into four groups with different Pennisetum seed quantities of $0g/m^2$, $5g/m^2$, $10g/m^2$, and $15g/m^2$. For each treatment group, we mixed identical quantities of seeds from herbaceous flowers (bird's-boot trefoil, aster, chrysanthemums, golden coreopsis and china pink), cool-season turfgrasses, and woody plants (korean lespedeza, indigo and silk tree).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the Pennisetum seeds resulted in the higher coverage ratio for Pennisetum, but in the lower coverage ratio for herbaceous flowers, cool-season turfgrasses, and woody plants. We observed a short-term succession process in which the dominant species shif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initial species Pennisetum, herbaceous flowers, and then lastly woody plants. In case of the appearance frequency, we also observed the higher appearance frequency for Pennisetum and the lower appearance frequency for the other plan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Pennisetum seeds. Pennisetum, bird's-foot trefoil and china pink showed the tendency to decrease the appearance frequency from one month after seeding while cool-season turfgrasses became extinct due to summer drought. In the woody plants, the appearance frequencies of korean lespedeza and indigo were high due to the decrease in quantity of Pennisetum seeds. The silk trees were damaged from winter frost and none emerged at all in 2013 (the following year after the seeding). Korean lespedeza and indigo appeared to have the short-term rapid dominance over other treated revegetation plants.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의 비탈면 녹화이후 침식 안정성 평가 방법 (Evaluating Erosion Risk of Revegetated Cutslope with Seed Spraying)

  • 길승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3-76
    • /
    • 2016
  • Slope revegetation refers to the use of vegetation and construction to protect a barren slope devastated by road and building construction. Among many revegetation strategies, hydroseeding has been widely utilized to stabilize barren slopes and has become the representative approach. Previous studies on slope stability have been conducted from a civil engineering perspective, mainly evaluating the stability of cut-slopes on solid bedrock and the use of concrete structures to stabilize devastated slo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evaluate erosion risk of revegetated cut-slopes, based on criteria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wenty-five factors were surveyed on both on-the-spot erosion slopes and non-erosion slopes after slope revegetation to compare slope types. The scores of all non-erosion slopes exceed 80 score while erosion slopes are 80 below. Erosion slopes got the range of 68-74 score while non-erosion slopes got the range of 81-100 score in the first result which was not applied for weighted-values. The scores of all non-erosion slopes exceeded 3.10, while erosion slopes were below 3.10. Erosion slopes were in the range of 2.73-3.09, while non-erosion slopes were in the range of 3.15-3.90 in the second result, which was applied with weighted-values according to the AHP result from a previous study.

건설공사와 사면 안정성 (Slope stability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 백용;김교원;구호본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1-17
    • /
    • 2000
  • 잠재적인 파괴위험 가능성이 있는 270여 개소의 절개사면을 조사하여 지반구성, 사면 높이 및 경사도 현황을 파악하였다. 위험 절개사면의 84% 이상이 암반사면 혹은 혼합사면이었으며, 위험 사면의 높이는 대략 10∼30인 경우가 72% 이오T다. 또한, 일부 붕괴 사면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한 역해석을 실시하여 사면파괴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사면 파괴의 주원인은 하절기의 집중호우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건설 중의 발파진동도 공사 중의 사면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 PDF

비탈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연속섬유보강토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a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to Revegetate a Cut Slope)

  • 고정현;허영진;이용구;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3-83
    • /
    • 2010
  • A technology using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for the crea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in a damaged area has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The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Geofiber system)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lope protection technique that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d layers are constructed with green plantation on cut slop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in terms of the strength and hydraulic performance, and the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s of this comparative study was to quantify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geofiber system for the revegetation on the cut slope in a damaged area. A Geofiber system was constructed to reinforce the lower layer of slopes and revegetation methods including wood chips were carried out on the upper layer by machineries. The results of monitoring during 3 years on cut slopes were as follows : 1) All the quadrat existed in the proper range for vegetation. 2) Species richness was 4.4 (site-1) and 18.5 (site-2) respectively. 3) The averaged coverage rates of quadrats was 90%. It is remarkable that the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would be capable of applying to a damaged area and also would serve maintaining a healthier environment for floras. However, it behooves to continue monitoring on succession of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고속도로(高速道路) 절개(切開)비탈면에서 녹화공법(綠化工法) 선정기준(選定基準) 설정(設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lection of Standard Revegetation Measures on the Highway Cut-slopes)

  • 우보명;김경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76-488
    • /
    • 1997
  • 절개(切開)비탈면을 대상으로 녹화공법(綠化工法) 선정시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실용성 높은 기준을 선정하기 위한 학술적 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 고속도로(高速道路) 절개비탈면에 시공되어 있는 녹화공법 시공 상황을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직접 현지 표본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고속도로 절개비탈면에 적용된 녹화공법은 종자뿜어붙이기공법, 평떼붙이기공법, 격자틀붙이기공법,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 각종 녹화망덮기공법 등의 순으로 많이 시공되었다. 이들 비탈면의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에 영향을 미치는 주 인자는 절개비탈면의 토양경도, 토성, 암반유무 등의 토질인자(土質因子)와 비탈면 경사, 길이 등의 입지인자(立地因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절개비탈면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녹화공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비탈면의 토질상태(토양-토양경도지수 20mm, 30mm, 암반-연암, 경암 상태의 4조건), 비탈면 경사도($30^{\circ}C$, $45^{\circ}C$, $60^{\circ}C$의 3조건), 비탈면 길이(10m, 30m, 60m의 3조건) 등의 3인자를 필수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산성암반배수에 의한 절취사면 구조물의 피해 현황과 평가 (Damage Conditions and Assessment for Cut Slope Structures due to Acid Rock Drainage)

  • 이규호;김재곤;박삼규;이진수;전철민;김탁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83-92
    • /
    • 2005
  •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면구조물의 피해현황과 환경오염 실태를 파악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성암반배수가 발생하는 절취사면은 대부분 숏크리트공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산성암반배수가 사면구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숏크리트는 산성암반배수에 의해서 현저하게 열화되어 가고 있으며, 용수발생량이 많은 곳은 배면공동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절취사면에서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곳은 국부적으로 불안정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앵커와 록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강산성암반배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크다. 넷째, 식생공의 경우 산성암반배수가 잔디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생석회를 사용하여 산성암반배수를 중화시키고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황철석의 풍화로 발생한 산에 의해 배수가 낮은 pH를 유지하면서 중금속들을 용출시켜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부근 토양, 지하수와 하천수를 오염시킬 개연성이 매우 크다. 산성암반배수의 발생 가능성을 암석유형별로 평가한 결과 편마암, 화강암의 경우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군으루 열수변질을 받근 화산암, 응회암, 탄질셰일, 금속광산 폐석시료는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군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토목건설공사과정에서 빈번히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면절취에 의한 암반산성배수에 대비하여 발생개연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지반정보의 확보 및 대책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