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Pit Dwell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평면유형 연구 -서울·경기지역 수혈주거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type of Pit-dwelling site in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Pit-dwelling of Seoul·Gyeonggi region -)

  • 서지은;홍승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3호
    • /
    • pp.43-56
    • /
    • 2015
  • Researches on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have been constantly conducted in the archeology fie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in the past have been on the classification and chronological record of dwelling types in archeology, but architectural researches on the dwelling history that is connected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Joseon Dynasty era are insufficient.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 excavated pit dwellings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those of the prehistoric age, so pit dwelling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as dwellings for common people until the Joseon dynasty era. This fact is confirmed by the frequency and density of pit dwellings. In this research, what space composition of the pit dwellings that are equipped with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shown according to the plan types was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process from pit dwellings to Folk houses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Folk houses of the Joseon Dynasty era were examined. The Folk house form did not start with the form of the house on the ground but originate from the introduction of Ondol,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to pit dwellings. As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used, the room and kitchen space are composed in the pit dwelling, and the kitchen is expanded to the one that separates the fireplace for cooking to avoid heating that is unnecessary for the summer season. As the size of the dwelling was getting bigger, the division of the space is made by the pillars that support the interior space. Also, the dwelling is expanded into a single row house and a double row house according to the progress direction of Ondol. In other words,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develops with making up diverse floors through the combination and expansion of Ondol and kitchen according to the dweller's convenience and life styl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elps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our traditional Folk houses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pit dwelling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adequately, and traditional Folk houses in the Korean dwelling history.

한반도 동부 농업생태계에 따른 지표배회성 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Ground-dwelling Invertebrates According Agroecosystem Types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안치현;오영주;옥숙미;이욱재;손수인;김명현;나영은;김창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9-39
    • /
    • 2017
  • 농업생태계에 따른 지표배회성 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반도 동부의 3개 행정권역내에 분포하는 논, 밭, 과수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2회에 걸쳐 pit-fall trap법을 사용하여 채집된 무척추동물을 통해 군집분석을 하고 기상자료를 포함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채집된 무척추동물은 13목 58과 172종 6,420개체이며, 분류군 중에서 벌목(38.26%), 메뚜기목(16.28%)이 우점하였다. 경상남도 출현 개체수가 2,983개체(46.46%)로 가장 많았으며, 경상북도가 풍부도(1.96), 다양도(1.51) 모두 높게 나타났다. 농업생태계 유형 중 논에서 69종 3,299개체(51.39%)가 조사되었으며, 종다양성 지수도 높게 확인되었다. 특히 우점종인 개미과의 포함유무가 종 다양성지수 분석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여진다. 곤충 분류군과 환경요인과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토양 pH, 토양온도와 토양함수율의 영향에 의해 매미목, 바퀴목, 흰개미목, 딱정벌레목과는 양의 상관관계로 구분되었고, 기온, 강수량, 전기전도도, 상대습도, 최저초상온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무척추동물 군집은 계층적 군집화를 통해 생태계 유형별로 패턴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가 무척추동물의 분포에 다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산모시주거건축의 기초자료 구축과 체험을 위한 건축제안 (A Suggestion on the Architectural Experience and Building Base Data for Hansan Mosi(fine ramie) Housing)

  • 김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40-150
    • /
    • 2013
  • The weaving of Mosi(fine ramie) in the Hansan region was inscribed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1. Unlike other fabric, as the Mosi is very sensitive towards humidity it needs different conditions for its workspace. The Hansan region is near the sea with many mountains around where it is easy for the Mosi to grow and is an appropriate place to weave Mosi. Recently the manpower for weaving of Mosi in the Hansan area is decreasing with the decrease of workspace drastically. After the investigation of workspace for the weaving of Mosi in the Hansan area, most of the places were done in individual houses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 1. Mosi storeroom, 2. Shed(Gwang che), 3. Dugout hut, 4. Under the toenmaru The depth of the dugout hut and under the toenmaru is around 80~60cm which is similar with the depth of the prehistoric dugout hut houses. The towns for weaving of Hansan Mosi are formed mostly in the Seochungun district, but the Hoamri Hansan-myeon and Gayangri Masan-myeon has the most traditional workspaces and they are still forming and maintaining the traditional town composition. However the numbers are too small and maintaining the traditional town is getting more difficult, so a plan for the maintenance should be made to continue to keep it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몽촌토성출토 철촉 재고 (夢村土城出土 鐵鏃 再考) (Reconsideration of Iron Arrowheads from Mongchon Earthen Wall)

  • 최종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3권
    • /
    • pp.68-92
    • /
    • 2000
  • This paper reconsiders the users of iron arrowheads from Mongchon Earthen Wall(夢村土城). Because the Mongchon Earthen Wall has been seen as a major dwelling fort of the Hansong Period(漢城時代 : 18 B.C.~475), Paekche(百濟), these iron arrowheads have been considered as artifacts of the Hansong Paekche with no systematic analysis since they were found in 1985. However, uncovering numerous Koguryo artifacts, the excavations in 1988 and 1989 showed that Koguryo(高句麗) army had occupied the Mongchon Earthen Wall after they had conquered Hansong Paekche.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formal similarity between these arrowheads and those from other Koguryo sites, I attempt to reconsider the nature of arrowheads from the Mongchon Earthen Wall. Found from a small pit, all of these arrowheads (88 in number) seem to have been contemporaneous. While all are stemmed, they can be divided into nine types on the basis of the shape of body and point. Most types are equal or similar to Koguryo arrowheads of other regions, and especially type F and G have not been found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 existing models be reconsidered, and that Koguryo army who had conquered Hansong Paekche used these arrowheads around mid-5th century AD. Although at this poin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users of these arrowheads only by analyzing several formal attributes due to Korean archaeology's little understanding of the arrowhead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三國時代), I expect that application of natural scientific method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모래하천에서 식생 침입에 대한 육상곤충 군집의 반응 (Response of Terrestrial Insect Community to the Vegetation Invasion at a Sand-Bed Stream)

  • 조건호;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1호
    • /
    • pp.44-53
    • /
    • 2017
  • 대표적 모래하천인 내성천의 사주에서 식생 정착에 대한 지면 서식 육상곤충의 생물상과 생물군집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나지 사주와 식생 사주에서 함정법으로 곤충을 채집하여 종조성, 종다양성, 기능특성군 및 생물군집 구조를 비교하였다. 내성천에서 육상곤충은 나지사주에 식생이 정착함에 따라서 서식 곤충의 종다양성은 증가하였으나 서식 밀도는 감소하였다. 특히 나지 사주에서는 강변길앞잡이, 동양알락방울벌레 등의 사주 지표성 곤충이 서식하였다. 사주의 곤충군집은 사주 식생의 피도에 따라서 나지사주와 식생사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모래하천의 나지 사주의 먹이망은 쇄설물 - 쇄설물 섭식자와 청소자 - 주로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포식자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식생 사주 먹이망은 식물 - 흡즙 초식자와 저작 초식자 - 포식기생자와 포식자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모래하천에서 나지 사주에 식생에 정착함에 따라서 종다양성은 증가하고 초식 먹이사슬로 변화하고, 나지 사주에 특이적인 곤충상과 쇄설물 기반 먹이사슬이 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송국리유적 재고 (Reevaluation of the Songguk-ri site)

  • 손준호
    • 고문화
    • /
    • 제70호
    • /
    • pp.35-62
    • /
    • 2007
  • 송국리유적은 1974년 비파형동검이 부장된 석관묘가 발굴됨으로써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1975년부터 시작된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통하여 한반도 청동기시대에 획기를 이루는 중요한 유적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개된 송국리유적 보고문에는 전체 평면도조차 제시되지 못하고 있어 유적의 전모를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송국리유적의 보고서와 관련 보고문을 재검토하여 발굴된 전체 유구의 배치도를 작성함으로써 연구의 기초자료를확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과 개별 유구및 출토유물에 대한 분석결과를 최근의 발굴.연구성과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송국리유적의 시기와 성격에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송국리유적에서는 주거지, 부속유구, 저장공, 요지, 목책렬, 녹채, 굴립주건물지 등의 생활 유구와 석관묘, 옹관묘, 토광묘 등의 분묘 유구, 그리고 대지조성면과 같은 대규모 토목공사의 증거들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유구의 분포 양상이나 유물상의 유사성 등을 통하여 볼 때 동일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구체적인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에 의하여 대략 B.C. 850-550년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한편,송국리유적에서는 논농사의 집약화를 통하여 생산량을 증대시켰으며, 이러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유력자또는 유력 집단이 등장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우월적 지위를 유지하고 더 많은 잉여생산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방어 취락을 형성하였으며, 이를차지하기 위한 빈번한 전쟁이 있었던 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였으리라 생각되는데, 이는 인구 증가에 의한 주거 공간의 확대를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결국 송국리유적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주변의 여러 취락과 관련을 맺으면서 그 정점에 위치하는 중심취락으로 성장하였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