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c Titanat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2초

연료가스의 고온 탈황에 사용된 Zinc Titanate의 재생 (Regeneration of Zinc Titanate Used for High Temperature Desulfurization of Fuel Gases)

  • 이태진;권원태
    • 에너지공학
    • /
    • 제7권1호
    • /
    • pp.73-80
    • /
    • 1998
  • Zinc titanate 탈황제를 제조하여 연료가스의 고온탈황에 사용된 탈황제의 재생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준비된 탈황제의 Zn/Ti 몰비는 1.5이고 반응기는 내경 1 cm와 3 cm의 석영관 고정층반응기들을 사용하였다. 고온에서 zinc titanate 탈황제의 재생은 발열반응을 수반하여 탈황제의 물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zinc titanate 탈황제의 가장 적합한 재생조건을 선정하기 위해서 반응온도, 산소함량, 유량변화, steam 함량 등을 변화시키면서 재생반응을 실험하였다. 탈황-재생의 실험동안 H2S와 SO2의 파과곡선을 구하였다. 또한 반응실험 전후의 탈황제의 물성을 SEM, XRD, Hg-porosimetry 및 BET로 분석하였다. 이런 결과들로부터 zinc titanate 탈황제에 가장 적합한 재생조건은 $650^{\circ}C$, O2 함? 5%, steam 함량 10% 이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Synthesis of Nanoparticles via Surface Modification for Electronic Applications

  • Lee, Burtrand I.;Lu, Song-Wei
    • 한국결정성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성장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International Nano Crystals/Ceramics Forum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rmaterials
    • /
    • pp.35-58
    • /
    • 2000
  • The demand for sub-micrometer or nanometer functional ceramic powders with a better suspension behavior in aqueous media in increasing. Redispersible barium titanate (BT) nanocrystals, green light emitting Mn2+ doped Zn$_2$SiO$_4$ and ZnS nanoparticle phosphors were synthesized by a hydrothermal method or chemical precipitation with surface modification. The nanoparticle redispersibility for BT was achieved by using a polymeric surfactant. X-ray diffraction(XRD) results indicated that the BT particles are of cubic phase with 80 nm in size. XRD results of zinc silicate phosphor indicate that seed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nucleation and crystallization of Zn$_2$SiO$_4$ crystals in a hydrothermal condition. This paper describes and discuss the methods of surface modification, and the resulting related properties for BT, zinc silicate and zinc sulfide.

  • PDF

아연-티타늄 복합산화물 탈황제의 제조 및 반응특성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and Reactivity of Zinc Titanate Sorbents for H2S Removal)

  • 김기석;박노국;이태진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122-131
    • /
    • 1997
  • 아연-티타늄 복합금속산화물 탈황제를 제조하여 석탄가스중의 $H_2S$를 제거하는 고온탈황성능을 연구하였다. $H_2S$ 흡수에 의한 탈황제의 황화반응실험을 충전층 관형 흐름반응기를 사용하여 $550{\sim}750^{\circ}C$ 범위에서 수행한 결과 탈황율과 아연성분의 손실측면에서 $650^{\circ}C$가 최적 황화반응 온도임이 밝혀졌다. SEM 분석에 의해서 $650^{\circ}C$에서의 황화반응과 $750^{\circ}C$에서의 재생반응에 따른 탈황제 입자의 구조변화를 관찰하였다. 탈황성능의 지속성과 탈황제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황화-재생 cycle 반응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0번째 cycle 이후에 수거반 탈황제 시료의 특성을 BET, XRD, SEM/EDX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아연-티타늄 복합 산화물 탈황제는 연속적인 황화-재생 cycle 동안에 거의 일정한 탈황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H2S제거를 위한 아연계 탈황제 제조 및 반응특성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and Reactivity of Zinc-based Sorbents for H2S Removal)

  • 이창민;윤여일;김성현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183-189
    • /
    • 1999
  • $H_2S$를 제거를 위한 아연계 복합금속산화물 탈황제를 제조하고 반응특성을 연구하였다. 최적 황화반응 온도인 $650^{\circ}C$의 고정층에서 탈황-재생의 연속 cycle에 따른 반응성을 관찰하였다.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구형입자의 탈황제를 제조하기 위해 Granulation방법을 이용하였다. XRD와 XPS분석에 의해 zinc titanate결정생성을 확인하였고 소성조건에 따른 탈황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mercury porosimetry와 BET분석을 행하였다. Cycle이 증가함에 따라 고온에서의 zinc loss와 sintering, cracking, 그리고 spalling에 의한 탈황제의 확산저항의 증가로 인해 반응성은 떨어졌다.

  • PDF

산화철을 이용한$H_2S$ 제거 ($H_2S$ Desulfurization Using Iron Oxide Sorbent)

  • B.K. Kho;Lee, W.R.;Kim, H.J.;Lee, W.M.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3-77
    • /
    • 2000
  •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he last twenty some years to develop high temperature desulfurization. For example, the efficiency of advanced power generation processes based on the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can b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 temperature desulfurization. Much of the recent high temperature desulfurization research has concentrated on zinc-based sorbents such as zinc ferrite(ZnFe$_2$O$_4$) and zinc titanate(ZnO.xTiO$_2$) due to its thermodynamic advantage in capturing H$_2$S molecules.(omitted)

  • PDF

유동층 공정변수의 고체입자 마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uidized-Bed Variables on Attrition of Solid Particles)

  • 문영섭;이창근;손재익;류청걸;최정후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603-608
    • /
    • 2005
  • 본 연구는 zinc titanate를 탈황제로 사용하는 유동층 탈황공정에서 고체 입자 마모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내경 0.035 m, 높이 1.34 m의 기체유동층 실험장치에서 수행되었다. 다공판 분배기에서 고속 분사 제트와 유동층 내부의 기포요동이 입자마모의 주요 원인으로 사료되었다. 탈황제의 마모속도가 작아서 회분식 측정결과가 연속식 유동층에 근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탈황공정에서 주요 변수인 기체유속, 온도, 압력, 층물질량의 변화에 따른 AI(attrition index)와 CAI(corrected attrition index)를 측정하였다. AI(5), CAI(5)는 층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입자는 일정기간 충격에 의한 피로현상이 있은 후 마모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I와 CAI는 기체속도, 상대습도,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입자마모는 주로 제트에 의하여 일어났으며 절단(fragmentation)보다 마쇄(abrasion)에 의하여 더 많은 미분입자가 발생하였다.

고온정제를 적용한 IGCC 플랜트 성능 해석에 관한 연구(I) (Plant Performance Analysis for IGCC Employing HGCU(I))

  • 이윤경;서석빈;김종진
    • 에너지공학
    • /
    • 제9권3호
    • /
    • pp.157-162
    • /
    • 2000
  • 기존의 IGCC의 장점인 고효율 플랜트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고온정제를 적용하는 경우 조건변화에 따른 플랜트 성능의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IGCC에 고온정제 공정을 적용하여 구성한 모델은 연구 목적에 알맞은 범위의 건전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조건을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저온 정제 공정(MDEA amine) 적용에 비해 플랜트 효율이 약 2.7% 가량 상승하였다. 한편 동일한 고온정제 공정이라도 적용하는 흡수제를 zinc titanate에서 zinc ferrite로 달리 하는 경우 탈황제의 화학 반응상 특성 및 차이점으로 인해 연료가스의 발열량 변화를 유발하므로 결과적으로 약 0.5%의 플랜트 효율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탈황 온도 350~$650^{\circ}C$ 사이의 온도범위에 대해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결과 전제 온도의 증가와 플랜트 효율은 정비례하지 않으며 50$0^{\circ}C$ 이상의 정제 온도를 적용한 경우는 거의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제 온도를 증가시킴으로 인해 가스터빈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온도는 높아지지만 적용한 가스터빈의 출력 및 연소 온도가 제한되어 있어 고온정제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득을 가스터빈에서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고 한편으로 고온정제를 채택함으로써 저온정제 적용시 보다 syngas cooler에서 회수할 수 있는 헌열이 줄어듦으로 인한 증기 터빈 출력의 감소가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 PDF

고상소결에 의한 방사성 희토류산화물의 고화 (Immobilization of Radioactive Rare Earth oxide Waste by Solid Phase Sintering)

  • 안병길;박환서;김환영;이한수;김인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10
  • Pyroprocessing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처리 과정에서 방사성 희토류 염화물이 포함된 폐용융염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 용융염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희토류 염화물을 산화물로 침전시켜 회수함으로서 용융염을 재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성 희토류 산화물의 저장과 처분에 적합한 monolithic 고화체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상 소결에 의해 붕규산 유리에 의한 고화체 제조, 희토류 산화물을 모나자이트로 합성한 후 붕규산 유리에 의한 고화체 제조를 수행하였다. 또한 zinc titanate 세라믹이 주요성분인 고화 매질(ZIT)을 개발하여 고화체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고화체에 대한 침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고상 소결에 의해 제조된 ZIT 매질 고화체는 내 침출성이 크며 밀도가 크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