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c Sal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Electron Beam Mediated Simple Synthetic Route to Preparing Layered Zinc Hydroxide

  • Bae, Hyo-Sun;Jung, 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6호
    • /
    • pp.1949-1954
    • /
    • 2012
  • We have developed a novel and eco-friendly synthetic route for the preparation of a two-dimensional layered zinc hydroxide with intercalated nitrate anions. The layered zinc hydroxide nitrate, called 'zinc basic salt', was, in general,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technique. The 2-propanol solutions containing hydrated zinc nitrate were directly irradiated with an electron-beam at room temperature, under atmospheric conditions, without stabilizers or base molecules. Under electron beam irradiation, the reactive OH radicals were generated by radiolysis of water molecules in precursor metal salts. After further radiolytic processes, the hydroxyl anions might be formed by the reaction of solvated electrons and the OH radical. Finally, the $Zn_5(OH)_8(NO_3)_2{\cdot}2H_2O$ was precipitated by the reaction of zinc cation and hydroxyl anions. Structure and morphology of obtain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powder X-ray diffraction (XR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e products were determin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elemental analysis (EA). The thermal behavior of products was studied by thermogravimetric (TG)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포틀랜드 시멘트 수화반응에 있어 Znic Chloride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ZinC Chloride In Portland Cement Hydration Reaction)

  • 정현구;이경희;조재우;이재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681-685
    • /
    • 2000
  • The influence of ZnCl2 in portland cement hydration was studied. The hydration reaction was progressed with ZnCl2 solution to observe the adiabatic hydration exothermic and hydration products. To compare with cement hydration, Ca(OH)2 solution reacted with ZnCl2 was carried out. The addition of ZnCl2 solution to the portland cement was retarded hydration quantitatively. Because ZnO which was produced in certain pH adsorbed with unhydrated cement made retarded the hydration reaction.

  • PDF

프탈로시아닌이 흡착된 산화아연의 광기전력효과에 관한 연구 (Photovoltaic Effect of Adsorbed Metallophthalocyanine on Zinc Oxide)

  • 허순옥;김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6-422
    • /
    • 1993
  • ${\alpha},{\beta}$-구리 및 무금속의 프탈로시아닌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용액 중에서 산화아연에 흡착시켰더니, 첨가시킨 색소가 모두 흡착되었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술폰화된 프탈로시아닌의 나트륨염인 경우는 Langmuir 단분자 흡착성을 나타내었다. 흡착상태에 따른 증감특성을 알기 위하여 진동용량형 표면 전위계를 사용하여 광기전력을 측정하였더니, 산화아연의 고유파장과 프탈로시아닌 색소의 흡수파장에서 높은 광기전력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흡착시킨 프탈로시아닌은 산화아연에 대한 피복율(${\theta}_{BET}$)이 약 80%에서 광기전력이 크게 나타났고, 술폰화된 프탈로시아닌은 피복율(${\theta}_{BET}$)이 약 30% 부근에서 광기전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염화물의 농도가 전기아연도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loride Concentration on Zinc Electroplating)

  • 김재민;이정훈;김용환;김영하;홍문희;정훤우;정원섭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51-56
    • /
    • 2010
  • The zinc electroplating with respect to the chloride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cathodic polarization measurement. The cathodic overpotential during electroplating was first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with increase of chloride concentration in electrolyte. The decreased cathodic overpotential leads to preferred orientation of (002) plane, high current efficiency and satisfactory zinc deposits. The increased cathodic overpotential causes random orientation, low current efficiency and edge burning. The cathodic overpotential was affected by chloride concentration in electrolyte, not by the kind of chloride, such as NaCl and KCl. An optimized chloride concentration was 3 M for zinc electroplating. Also, it is considered that NaCl can be a alternation for KCl as a main salt of zinc electroplating bath.

한국 젊은 성인의 아연 영양 상태가 짠맛 인지와 기호도, 나트륨 섭취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Zinc Status on Salty Taste Acuity, Salty Taste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

  • 안은정;노화영;정자용;백희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32-140
    • /
    • 2010
  • High sodium intake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odium intake of Korean was three times higher than adequate intake (1.5 g/day) recommended by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High sodium intake is related to high threshold and preference of salty taste. And zinc status is known to affect taste acui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zinc status is associated with salty taste acuity,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50 men and 41 women aged 20-29 y who did not smoke and not take supplements or medications regularly. Dietary intake data for 3 days were collected by 24-h recall for 1 day and dietary record for 2-days. Salty taste acuity and preference were determined by sensory test. Fasting serum concentration of zinc, height, weight,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data were collected. Salt taste preference in high zinc intake group ($\geq$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men-8.1 mg/day, women-7 mg/day) was higher than that in low zinc intake group (< EAR). Salty taste preferenc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erum zinc concentration in people with low concentration of serum zinc (${\leqq}\;81\;{\mu}g/dL$)(r = -0.3520, p < 0.05).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high sodium intake group than in low sodium intake group (p < 0.05),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ty taste preference (r = 0.3866, p < 0.05) in subjects with daily zinc intake below the EAR. We conclude that low zinc status may be related to high salty taste preference and high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

과발현 형질전환벼에서 CCCH type zinc-finger protein 유전자 OsZF2 기능 분석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 CCCH type zinc-finger protein gene OsZF2 by ectopic overexpression of the gene in rice)

  • 이정숙;윤인선;윤웅한;이강섭;변명옥;서석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23-29
    • /
    • 2009
  • 벼의 저온처리 cDNA 은행에서 분리된 CCCH 형태 zinc finger 단백질인 OsZF2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벼에서 CaMV 35S 프로모터 조절하에 OsZF2가 발현(35S:OsZF2)되는 형질전환벼 식물체를 개발하였다. 35S:OsZF2 형질전환벼에 대한 하이그로 마이신저항성 검정을 통해 동형접합체 계통을 선발하고 Northern 발현분석에 의해 OsZF2 유전자가 형질전환체에서 과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와 대조구인 낙동벼를 100 mM NaCl 첨가 MS 배지에서 키운 후 잎과 뿌리의 길이를 측정하여 내염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체 생육이 다소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다. GMO 포장에서 생육상태를 관찰 한 결과 형질전환체는 생육지연으로 인한 왜화 현상을 나타내며 출수기 또한 열흘 정도 지연되나 등숙기에는 대조구와 같은 초장을 보였다. zinc finger 유전자는 식물체의 발달과 분화 단계 및 환경 스트레스 반응 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유전체발현 분석으로 하위단계에서 조절되는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35S:OsZF2 전환체에서 낙동벼보다 4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 중에서 게놈 주석에 기초한 기능을 유추하면 신호전달과 관련된 protein kinase, DNA 결합단백질과 대사에 관련된 효소 유전자,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일부 유전자 및 병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벼에서 분리된 OsZF2 CCCH type zinc finger 유전자는 벼 성장 발달과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상위 조절자로서 기능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염용액으로부터 제조된 Cu/TiO2복합분말의 광촉매 특성 (Photocatalysis Characteristics of Nano Cu/TiO2 Composite Powders Fabricated from Salt Solution)

  • 고봉석;안인섭;배승열;이상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6-141
    • /
    • 2003
  • In the present study, $TiO_2$ imbedded copper matrix powders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from the ($CuSO_4+TiO_2+Zn$) composite salt solution. The composite $Cu/TiO_2$ powders were formed by drying the solution at $200{\sim}~400^{\circ}C$ in the hydrogen atmosphere. Photocatalytic characteristics was evaluated by detecting TOC (total organic carbon) amount with TOC analyzer (model 5000A Shimadzu Co). Phase analysis of $Cu/TiO_2$ composite powders was carried out by XRD, DSC and powder size was measured with TEM. The mean particle size of composite powders was about 100 nm and a few zinc and copper oxide phases was included. The reduction ratio of TOC amount was 60% by the composite $Cu/TiO_2$ powders under the UV irradiation for 8 hours.

식물에서 non-tandem CCCH zinc finger 그룹 유전자에 의한 스트레스 반응 조절 (The Regulation of Stress Responses by Non-tandem CCCH Zinc Finger Genes in Plants)

  • 석혜연;베이지드 엠디;살커 스와날리;이선영;문용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956-965
    • /
    • 2023
  • CCCH zinc finger 단백질은 세 개의 시스테인(cysteine, C) 아미노산과 한 개의 히스티딘(histidine, H)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아연이온(Zn+)에 결합하는 손가락 구조의 zinc finger 모티프를 가졌으며, 식물에는 많은 수의 CCCH zinc finger 단백질 유전자가 존재한다. CCCH zinc finger 단백질은 2개의 CCCH zinc finger 모티프를 가지는 TZF와 그 외 나머지인 non-TZF로 구분이 되지만 지금까지의 CCCH zinc finger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TZF, 특히 식물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RR-TZF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non-TZF 유전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on-TZF는 생물 스트레스와 고염, 건조, 저온, 고온, 산화 스트레스 등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on-TZF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위 유전자를 조절하여 식물의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데, 세포질에 위치하며 RNA에 결합하여 RNA의 안정성을 조절하고 전사 후 단계에서 하위 유전자를 조절하거나 핵에 위치하고 전사 활성화 또는 전사 억제를 통해 전사인자로서 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non-TZF를 통한 스트레스 신호전달 경로 및 상위 유전자, 하위 유전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CCCH zinc finger 유전자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는 TZF뿐만 아니라 non-TZF 유전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관한 지속적이고도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총설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스트레스 반응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non-TZF 유전자들과 그 유전자들의 분자적 기능을 서술하였다.

구기자 탄저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Fungicide Selection for Control of Lycium chinense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 구한모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26-31
    • /
    • 2008
  • 구기자 탄저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13개의 탄저병 균주는 구기자의 청양재래 품종에 대해서 숙과와 미숙과 모두에서 상처 접종 시 병원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15종 살균제의 균사생육 억제 효과를 실내 검정하여 탄저병균에 대한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dithianon WG, tebuconazole SC, tebuconazole WG, trifloxystrobin+tebuconazole SC, azoxystrobin SC 및 polyoxin D zinc salt+carbendazim WP 등 6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살균제들의 포장에서 병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dithianon WG, tebuconazole WG, trifloxystrobin+tebuconazole SC, tebuconazole SC 및 azoxystrobin SC 등 5종의 살균제가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