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c

검색결과 4,820건 처리시간 0.042초

LiCl-KCl-UCl3-NdCl3 system에서 U 및 Nd 분리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Separation of U and Nd From LiCl-KCl-UCl3-NdCl3 System)

  • 김택진;안도희;은희철;이성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64
    • /
    • 2018
  • 사용후핵연료을 건식처리하는 파이로프로세싱 중 전해정련 및 제련공정 후 발생되는 우라늄과 초우라늄 및 희토류 등의 염화물을 함유한 LiCl-KCl 공융염에는 특히 희토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유효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형태의 우라늄과 초우라늄의 분리/회수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iCl-KCl-UCl_3-NdCl_3$ 시스템에서 산화제($K_2CO_3$)를 이용하여 $UCl_3$를 산화물 형태로 전환한 후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NdCl_3$를 금속형태로 분리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앞서, 이론적 평형계산을 수행하여 우라늄 염화물을 산화물로 전환하기 위한 실험조건을 결정하였다. 상기의 실험에서 LiCl-KCl 내 $UCl_3$는 첨가제의 주입량이 이론적 반응당량에 근접하였을 때 거의 대부분이 염내에서 염화물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액체금속음극을 이용하여 $NdCl_3$를 금속형태로 전착시켰으며, 전착실험 후 투명한 용융상의 LiCl-KCl 공융염과 갈색의 우라늄 산화침전물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LiCl-KCl-UCl_3-NdCl_3$ 시스템에서 우라늄 및 희토류를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pergillus 속 균주가 생성되는 사독 Proteinase에 대한 저해물질 - 균의 분리 및 저해물질의 생물학적 작용상 - (Inhibitory Substance Produced by Aspergillus sp. on the Snake Venom Proteinase - Isolation of Microorganism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Inhibitor -)

  • Hyun, Nam-Joo;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4
    • /
    • 1987
  • Snake venom proteinase에 대한 저해물질을 생성하는 Aspergillus 속 균주 MK-24를 토양으로부터 얻어 그 배양액에서 저해물질을 분리하여 Venom proteinase에 대한 작용양상과 안정성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Glucose 2%, NaNO$_3$ 0.3%, $K_2$HPO$_4$ 0.02%, MgSO$_4$ㆍ7$H_2O$ 0.02%, KCl 0.02% 조성의 배지(pH 5.0)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7일간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을 acetone 심전 활성탄, methanol 침전으로 무정형의 유효분말을 얻었다. 이 물질은 A. b.b. venom proteinase에 대하여 1/2 배양에서 약 70% 저해율을 나타냈으며, A.b.b. venom proteinase에 대한 저해양상을 혼합형이었으며 enzyme-inhibitor complex를 형성하는데 20분 정도가 걸렸다. 반응액중에 Co$^{++}$, $Zn^{++}$, Cu$^{++}$ 등이 존재하면 저해작용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저해율은 사용한 기지리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났다. 즉 casein을 사용했을 때는 hemoglobin이나 albumin보다 저해율이 높았다. 그리고 본 저해물질은 snake venom proteinase 이외에 trypsin에 고농도에서 약간 저해작용을 나타냈으나 pepsin, $\alpha$-chymotrypsin, papain 등과 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 등에는 저해능이 없었고, 혈액응고에 대하여는 1.6 $\mu\textrm{g}$/2$m\ell$ 농도 이상에서는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본 저해물질은 열이나 pH에 대한 안정성이 컸다. 즉, pH처리에 대해서는 37$^{\circ}C$에서 60분 처리로 산이나 alkali에 대해서 대단히 넓은 범위에 걸쳐서 안정하였으며 $65^{\circ}C$에서는 중성까지는 안정하였으나, pH 8 이상에서는 불안정하였고 열처리에 대해서는 10$0^{\circ}C$에서 2시간 처리했을 때에도 잔존활성도가 약 90%로 매우 안정하였다.

  • PDF

플럭스액의 첨가제에 의한 용융아연도금 공정개선 (Improvement of Hot Dip Galvanizing Process by Additive to Flux Solution)

  • 문경만;정재현;박준무;이명훈;백태실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13-520
    • /
    • 2016
  • Many surface prote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apply to constructional steels which have been used under severe corrosive environments. One of these methods, hot dip galvanizing is being widely used to the numerous constructional steels such as a guard rail of high way, various types of structural steel for manufacturing ship and for some other industrial fields etc.. Recently, the cost of zinc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thus, it is considered that improvement of hot dip galvanizing process to reduce the cost of production should be developed possibly. In this study, additives such as acid cleaning solution, $NH_4OH$, $Al(OH)_3$ and $H_2O_2$ were added to flux solution, and omission of water washing treatment after acid cleaning was investigated with some types of flux solutions added with some additives mentioned above. The decrement of pH by adding the acid cleaning solution could be controlled due to neutralization reaction with addition of $NH_4OH$. The flux solution added with both $NH_4OH$ and $Al(OH)_3$ exhibited nearly the same color and pH value as those of orignal flux solution with no added, and the sample dipped to the flux solution which was added with additives mentioned above indicated a relatively good corrosion resistance compared to other samples. However, the flux solution added with $NH_4OH$, $Al(OH)_3$ and $H_2O_2$ exhibited a different color, sediment and a bad corrosion resistance.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omission of water washing treatment may be able to perform by adding optimum additives to the original flux solution.

어성초의 화학성분 및 항미생물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 김근영;정동옥;정희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0-406
    • /
    • 1997
  • 어성초의 화학조성과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하였다. 어성초의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은 Asp, Glu, Gly, Arg, Ala, Pro, Val, Cys, Phe 등이 함유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주로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로 구성되었으며 무기성분중에서는 K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성초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각 fraction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한 결과 basic fraction을 제외한 acidic, neutral, phenolic fraction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neutral fraction>acidic fraction>phenolic fraction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사용 미생물중 Pseudomonas aeruginosa, Micrococcus luteus, Bacillus subtilis에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spergillus parasiticus, Aspergillus flavu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활성이 인정된 각 fraction에 대한 MI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0075 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으며 그 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025{\sim}0.75g/mL$상당량의 다양한 MIC 값을 나타냈다.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은 $0.25{\sim}0.75g/mL$ 상당량으로 neutral fraction에 비해 높은 MIC 값을 나타냈다. ML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1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고 그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25{\sim}2.0g/mL$ 상당량의 MLC 값을 보였으며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의 경우 사용 미생물에 대하여 3.0g/mL상당량까지 치사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식이성 아연이 에탄을 대사 호소활성과 에탄을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Zinc on the Ethan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and Ethanol Elimination Rate in Rat)

  • 정재홍;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9-276
    • /
    • 1988
  • 식이성 아연이 에탄올의 생체대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저 흰쥐에 식이중 아연의 함량(100ppm, 5ppm)을 달리하여 성장시키면서 에탄올을 4주 및 7주간 급여한 다음, 체중증가량과 에탄올의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 alcohol dehydrogenase, microsorrlal ethanol oxidizing systerrl, catalase 및 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변동과 혈중 에탄올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해 Zn이 부족한 실험군에서 감소되었으며, 에탄올을 투여한 CE군과 ZnDE군은 control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Zn 부족한 군(ZnD)에서의 간 ADH, MEOS의 활성 및 혈액중 에탄올 제거율이 아연이 충분히 함유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catalase와 AIDH의 활성은 별다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에탄올을 투여한 CE 및 ZnDE군에서는 대조군(C 및 ZnD)에 비하여 ADH, MEOS 및 혈액중 에탄올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아연을 충분히 급여한 CE군에서 아연이 부족한 ZnDE 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AIDH의 활성은 에탄올의 투여에 의해 CE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ZnDE군에서는 별다른 변동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catalase의 활성은 전실험군에 있어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감자의 몇가지 영양성분(營養成分)에 대한 마이크로파(波)와 재래적(在來的) 조리방법(調理方法)의 비교(比較) -1.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질(無機質) 및 수용성(水溶性) 비타민의 변화에 대하여- (Comparison of Microwave and Conventional Cooking Methods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Potatoes -(1) Changes of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s and Water-soluble Vitamins-)

  • 유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1-176
    • /
    • 1985
  • 우리나라산 감자를 가정에서 행하는 조리법(調理法)에 의하여 각각 조리 하였을 때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질(無機質)성분 및 수용성(水溶性) 비타민의 변화를 조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lectric oven 및 microwave로 조리하였을 때 감자중의 고형분(固形分)의 함량은 유의적(有意的)으로 증가하였고 조섬유(粗纖維)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boiling, electric oven 및 microwave에 의한 조리는 감자중의 조회분(粗灰分)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조단백질(粗蛋白質)의 함량은 조리중 불규칙적으로 변하였다. 칼륨의 함량은 electric oven 및 microwave 조리로 증가하였고, 철의 함량은 electric oven 조리로 증가하였으며, 구리의 함량은 electric oven 및 microwave 조리로 각각 감소하였다. 그리고 감자중 macromineral에 속하는 인, 마그네슘, 칼슘의 함량과 micromineral에 속하는 아연, 망간, 닉켈, 납, 카드뮴의 함량은 본 연구에서 행한 조리법으로 변화가 없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조리법중 microwave 조리에서 ascorbic acid의 보존률이 가장 낮았으나 thiamin의 보존률은 microwave 조리에서 가장 높았다. riboflavin과 folic acid의 보존률은 boiling 및 microwave 조리에서 서로 비슷하였으나 이 2가지 조리법이 electric oven조리법 보다 우수하였다. niacin과 비타민 $B_6$의 보존률은 사용한 조리법에서 모두 $93{\sim}100%$였다. 일반적으로 다소의 예외(例外)는 있으나 boiling 및 microwave로 조리한 감자가 electric oven으로 조리한 감자 보다 수용성(水溶性) 비타민의 보존률이 우수 하였다.

  • PDF

옥수수전분 제조공정의 부산물인 maize germ의 지질 및 아미노산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Maize Germs Separated in the Manufacture of Cornstarch)

  • 조성환;김재욱;최종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1986
  • 옥수수전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의 산업적 이용과 공장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옥수수를 파쇄하고 비중의 차로 전분부와 분리하여 모아지는 배아함유 폐기물의 조성분을 분석 정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 조단백질이 25.3%, 조지방이 19.2%로 나타났으며 시료 100g당 열량은 512kca1로 우수하였다. 2. 무기성품의 함량은 Ca, P이 비교적 낮았으며, K, Mg, Zn, Mn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유지의 화학적 특성으로는 요오드가는 44.0 검화가 292.3, 산가 1.5, 과산화가 3.3이었으며 종자나 배아의 지방질 특성과 비슷하였다. 4.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지질은 대부분 중성지질 이었으며 다음으로 당지질, 인지질 순이었다. 5. 전지질,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60{\sim}62.5%)$, oleic$(20{\sim}22.5%)$ 및 palmitic acid$(10{\sim}13.5%)$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훨씬 많았다. 6. 질소화합물은 불용성 단백태질소함량이 32.5%로 가장 많고, 수용성 단백태질소 12.7% 및 peptide태 질소화합물은 3.3%로 적은 함량을 보였다. 7. 단백질의 주요 amino산은 glutamic, glycine, alanine 및 aspartic acid등 이었으며 곡류에 결핍되기 쉬운 lysine을 포함한 필수아미노산도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8. SDS-disc electrophoresis 결과 $5{\sim}6$개의 단백질 band를 확인하였으며, $14,500{\sim}24,5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식품성분과 관능평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 서희영;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14-1319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김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일반 김, 목초액 김, 함초 김, 퉁퉁마디 참숯돌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중금속 함량, 구성아미노산 분석 및 김을 굽기 전과 구운 후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조 섬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김에 비해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 칼륨, 구리, 나트륨 함량은 함초 김, 철분 함량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그네슘과 아연을 제외하고는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의 경우 크롬, 카드뮴, 납은 일반 김에서 높았고, 그 외 성분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일반 김과 기능성 김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일반 김에 비하여 기능성 김에서 약 3배 정도 많이 나타난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일반 김과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과 퉁퉁마디 참숯돌김은 ser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김을 굽기 전에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김을 구운 후에는 일반 김에 비하여 대부분의 기능성 김의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금산(錦山) 폐탄광지역(廢炭鑛地域)의 오염(汚染)이 하천수(河川水)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ntamination by the Abandoned Coal Mine Drainage on the Stream Water in Keumsan, Chungnam)

  • 김명희;민일식;송석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35-442
    • /
    • 1997
  • 충남(忠南) 금산군(금산군), 복수면(복수면) 대성탄광(대성탄광) 폐탄광지역(폐탄광지역)에 탄광폐수(炭鑛廢水)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하천수(河川水)의 오염실태(汚染實態)를 조사하였다. 하천수(河川水)의 오염정도(오염정도)를 알기 위하여 하천수(河川水)의 pH, Do, 황산(黃酸)이온, 질산(窒酸)이온, 염산(鹽酸)이온의 농도(濃度) 및 무기원소(無機元素)의 농도(濃度) 등을 측정하였다. 폐탄광(廢炭鑛)과 폐광석(廢鑛石) 더미로부터 폐수(廢水)가 유입되는 하천수(河川水)의 pH는 3.46-4.29의 범위로 산성폐수(酸性廢水)를 형성하였으며, 본 조사지역(調査地域)의 수계(水系)에서 하천수(河川水) pH의 변화는 $SO{_4}^{2-}$, Mn, Cu, Zn, Fe 및 $Mg^{2+}$ 농도(濃度)와 고도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폐수(廢水)가 유입된 하천수(河川水)의 황산(黃酸)이온 농도(濃度)는 236.73 - 310.50mg/l로 청정수와 비교할 때 약 10배 더 높았으며, 오염(汚染) 하천수(河川水)의 Mn과 Fe의 농도(濃度)는 각각 0.56 - 0.83mg/l, 5.89 - 10.58mg/l로 Mn 농도(濃度)는 청정수와 비교할 때 약 20배나 높았다. 오염(汚染) 하천수(河川水)의 $Mg^{2+}$$Ca^{2+}$ 농도(濃度)는 청정지역(淸淨地域)과 비교해서 높게 나타났다. 산성광산폐수(酸性鑛山廢水)의 오염지표(汚染指標)(AMDI)는 오염계류(汚染溪流)에서 42-51이었고, 비오염계류(非汚染溪流)에서는 70 - 76으로 오염계류(汚染溪流)에서 낮았다.

  • PDF

Zn/AgO Secondary Battery용 아연 양극의 성능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The Effect of Additives on the Properties of Zn Electrode in Zn/AgO Secondary Battery)

  • 박경화;김창환;문경만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6-202
    • /
    • 2003
  • 아연 양극의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4가지 종류의 첨가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Pb_3O_4(0.5, \;1.0&\;2.0wt\%)$와 4가지 종류의 첨가제$(0.4wt\%\;of\;Ca(OH)_2,\;0.025M\;of\;Citrate,\;tartrate\;and\;Gluconate)를\;40wt\%$ KOH 전해질 용액에 용해시켜 부식전위 측정, 분극실험, 충$\cdot$방전 사이클 수명시험을 행하였다. 부식전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높은 방향으로 이행하였고 $Pb_3O_4$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전위가 상승과 하강을 거듭하였다. 더욱이 내식성은 무첨가의 경우에 비해 확실하게 증가하였고 첨가제가 들어간 경우 충$\cdot$방전 특성이 향상되었다. SEM사진을 분석한 결과 $0.5wt\%\;Pb_3O_4$ 만을 첨가한 경우와 Tartrate가 첨가된 경우의 표면 형상이 유사하였으며, 다른 첨가제의 경우 표면에 수지상 결정의 성장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다른 첨가제와 비교하여 Tartrate의 경우 내식성 효과뿐만 아니라 충$\cdot$방전 특성도 우수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