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gbee 통신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3초

U-Health를 위한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설계 (Design a Portable Biomedical Signal Measuring System for U-Health)

  • 이한욱;김성후;정원근;이주원;장두봉;이건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51-56
    • /
    • 2008
  • U-Health란 ubiquitous Health 의 약자로서 궁극적인 목표는 "삶의 질 향상 추구"에 있으며,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하여 정보통신 기술의 향상과 네트워크의 구축 등 IT 인프라의 보편화를 바탕으로 언제 어디서나 무의식적으로 보건의료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이에 발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기존 모듈에 사용되었던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Probe 대신 적외선센서를 통한 무자각적 측정환경 조성과 TFT-LCD를 이용하여 모듈 자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 직접 제작한 Zigbee 통신 모듈을 적용하여 소형화와 휴대성을 강조한 U-Healthcare 기반의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 단말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휴대단말 장착용 듀얼모드 무선 센서 플랫폼 (Dual-mode wireless sensor platform for mobile terminal)

  • 박성진;이석;김형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199-203
    • /
    • 2007
  • 본 논문은 기존의 단일 서버스와 고정된 특정 지역으로 한정된 센서네트워크 개념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휴대가능하여 어디서나 센서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센서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Zigbee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센서 플랫폼(wireless sensor platform)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무선센서플랫폼은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종류의 물리량 또는 화학성분량을 검출하고 이를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자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듀얼모드가 가능하다. 플랫폼의 구조는 휴대 폰과 접속하여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호간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휴대폰 접속부와, 다른 센서노드나 PC 등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Zigbee 무선통신부, 그리고 센서모듈 접속부로 구성되 며, 각각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다. 휴대폰의 자원을 이용하여 센서노드의 휴대성을 극대화한 휴대폰 장 착 센서 노드들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의 제공은 개인 사용자의 센서네트워크 참여를 이끌고 환경 감시네트워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끌어 낼 수 있다.

  • PDF

Zigbee기반 능동형 위치 검출 시스템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Active Location Detecting Systemby Using Zigbee Module Technique)

  • 조현태;김동현;권영빈;최영완;이정우;박호현;박재화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9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231-234
    • /
    • 2009
  • In this paper the situation requiring emergency rescue team from the endangered person, using the structure of the signal with a transmitter that provides the service. Given real-time map information based on a directional antenna to the transmitter of the received value, and moving the location of the forecast to move the tracker to the location of the transponder, the algorithm offers. Location tracking algorithm implemented in the simulator to actually do the verification report which will show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show.

  • PDF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기반한 이동로봇의 터치기반 원격제어 (Touch-based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based on Embedded Device)

  • 노준호;황유건;서용호;양태규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62-67
    • /
    • 2011
  • Embedded device that can support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has been popular recently.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robot application based on embedded device to control a mobile robot using a touch-based remote interface with information display of robot trajectory and sensors. We developed the robot application using Microsoft's.Net Compact Framework and Zigbee data communication with Windows CE kernel based embedded device. In experiment,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by showing a remote robot control using touch interface and a information display of the robot.

  • PDF

가변 기준값을 이용한 심박동 검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eart Rate Detection Using Variable Threshold Method)

  • 김세진;정도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222-22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장시간 심전도를 측정하더라고 착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슴에 착용 가능한 벨트형 심전도 전극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심전도 신호의 검출을 위하여 초저전력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Zigbee호환의 무선노드를 이용하여 계측된 심전도 신호를 PC측으로 무선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착용을 통해 장시간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을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적응 신호처리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변 기준값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심전도 R피크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구현된 적응신호처리와 R피크검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T-BIH 데이터를 이용한 잡음제거성능 및 피크검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피검자를 대상으로 활동 중 심전도 계측 실험을 통해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무선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개선을 위한 Short-cut 라우팅 알고리즘

  • 강문경;잔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26-529
    • /
    • 2007
  • 무선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잇는 대표적인 계층적 라우팅 프로토콜로는 Zigbee(지그비) 계층구조 라우팅과 IETF의 6LoWPAN WG에 드래프트로 제출되었던 HiLow 프로토콜 등이 있다. 이들 계층구조 라우팅 프로토콜은 깊이 우선(Depth-first) 방식과 폭 우선(Width-first) 방식을 각각 사용하여 자동 주소 할당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해 계층적 경로 배정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망상의 노드들이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더라도 경로는 계층적으로 제공되어 데이터 전달에 많은 흡 수가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로 배정 시 발생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싱크(Sink) 주위 노드의 에너지 소모율을 줄일 수 있는 경로 배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이어보기 서비스 플랫폼 (Location Based Multimedia Seamless Service Platform)

  • 이두희;김지호;김형국;송오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33-113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Zigbee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가 소지한 Zigbee 동글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와 사용자의 미디어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P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자원에서 개인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USN과 RFID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및 출입통제 시스템 (Entrance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USN technology)

  • 하은용;손혁;성수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3-85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RFID 기술과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도어락과 출입에 필요한 카드 및 무선 도어락 정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EMS:Entrance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였다.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인 Zigbee와 비접촉식 RFID 기술이 적용된 도어락 그리고 무선 도어락과 Zigbee로 통신하는 ARM코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모듈을 개발하였고 출입통제에 사용되는 응용프로램을 웹기반으로 개발함으로써 출입통제 시스템의 접근과 관리가 용의하도록 하였다.

  • PDF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를 이용한 실내 위치추적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Indoor Location Tracking Method Using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ensor)

  • 조경민;정환;정도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5-3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의 위치추적을 위해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추적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실내 위치추적기법은 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RSSI기법과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기존 실내위치추적 기법에서는 좌표 값을 알고 있는 고정된 노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위하여 착용형 노드에 가속도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부착하고 이동속도와 방향을 계측하여 실내에서의 위치추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축 가속도 센서와 2축의 각속도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계측 및 무선전송하기 위하여 Zigbee기반의 무선 센서노드를 사용하였다. 무선센서노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신호와 각속도 신호의 분석을 통해 실내위치추적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 가속도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실내위치추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점대다중점 매체다중접속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의 구현 (Implement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Point-to-multipoint Media Access Control)

  • 김준환;정진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67-27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50미터 내에서 40개 이상의 단말이 빈번히 통신하는 점대다중점 환경에서 필요한 통신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통신모듈의 매체다중접속계층은 비동기 시분할다중화방식을 사용하여 여러 단말이 동시에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에도 빠르고 견고한 통신을 제공하며, 매체다중접속계층에서 수신확인응답기능과 재전송기능을 추가하여 송수신간의 장애물이 없는 환경에서 매우 낮은 패킷오류율을 얻었다. 개발된 통신모듈의 점대다중점 통신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상용 지그비 통신모듈과의 비교시험을 하였으며, 두 통신모듈에 대하여 각각 10분기에서 40분기까지 시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도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특정한 환경에서 지그비 모듈보다 개발된 근거리 통신모듈이 보다 빠른 통신속도를 보이며, 특히 20분기 이상의 점대다중점 환경에서 통신속도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여러가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사용하는 지그비모듈은 매체다중접속계층 이외에도 네트워크계층 어플리케이션계층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크기 때문이며, 또한 좁은 지역에서 여러 개의 단말이 빈번히 통신하는 환경에서 지그비에서 사용하는 CSMA-CA 다중화방식보다는 비동기 시분할다중화방식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