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elkova Serrata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1초

수목 공동치료를 위한 황토, Rhodobacter, Bacillus 조합의 효과 (Effects of Loess, Rhodobacter, and Bacillus Mixture on the Trees Cavity Treatment)

  • 정선희;송환준;정창화;허무룡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59-63
    • /
    • 2011
  • 수령이 오래되거나 보호수에서의 공동 발생은 수세약화, 부분고사, 전체고사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보호수 및 노거수의 보호를 위한 공동의 치료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폴리우레탄은 수목의 공동에 직접적인 치료방법이 되지 못할뿐더러 환경오염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실험은 기존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공동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 황토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 공동치료방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에 자연 발생한 공동에 기존 우레탄 시공, 황토처리, 황토 + 미생물1종 (Rhodobacter), 황토 + 미생물2종 (Rhodobacter, bacillus) + 토양입단제의 4처리를 실시하였다. 황토와 미생물2종 (Rhodobacter, bacillus), 토양입단제의 혼용 처리구에서 느티나무의 경우 97%, 왕벚나무는 87%, 가시나무는 73%의 새로운 캘러스 형성을 보여 기존의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공동 처리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황토 단용처리와 황토 + 미생물1종 (Rhodobacter) 처리구는 폴리우레탄 처리구보다 비슷하거나 더 낮은 캘러스 형성율을 보였다. 이는 황토 및 Rhodobacter와 bacillus, 토양입단제의 혼합처리가 수목의 부패 또는 상처 부위의 치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과 잠재자연식생 (Actual Vegetati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Pukhansan National Park, Mid-western Korea)

  • 이은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6호
    • /
    • pp.439-450
    • /
    • 1997
  • The potential natural vegtation of the Pukhansan National Park area, mid-western Korea, was inferred from the actual vegetation. With the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and field surveys, the actual vegetation map of the park area was made on a scale of 1:25, 000, including fourteen communities. By the analyses of the species diversity, the age structure, the human interferences and various informations on vegetation changes, two pathways of late stage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s to the climatic climax were suggested. One is from Quercus serrata forests to Q. mongolica forests throughout the mountain and the other, from Q. variabilis or Q. acutissima forests to Carpinus laxiflora forests in lower parts. Considering the vegetation changes,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park area mainly composed of Q. mongolica, C. laxiflora, P. densiflora and Zelkova serrata forest as the climatic and/or edaphic climax was inferred.

  • PDF

선운산지역 삼림군집의 경도분석 (A Gradient Analsis of the Mixed Forest of Seonusan Area in Southwestern Korea)

  • Kim, Jeong-Un;Yim, Yang-J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4호
    • /
    • pp.225-230
    • /
    • 1986
  • The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and the continum analyses were applied for the ordinationa of forest vegetation in Seonunsan area. In the soil moisture gradient, mesic to xeric, Zelkova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aliena, Carpinus lax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type were arranged as a series of sequence along the gradient. In two dimensional analyses of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gradients seven vegetation types mentioned above were also separated one another. Especially Carpinus tschonoskii in mesic-fertile sites adn Pinus densiflora in xeric-sterile were noticeable. The results of continum analyses were corresponded to those of environmental gradient analses for the forest vegetation.

  • PDF

母岳山 道立公園 植物群集의 分類와 多次元分析 (Classification 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mt. moak provincial park, korea)

  • Kim, Jeong-Un;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1호
    • /
    • pp.1-15
    • /
    • 1993
  •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forest communities and to examine the integration problem of community-to-ecological species group in mt. moak provincial park of korea. phytosociological classiication based on floristic composition produced seven commuities of zelkova serrata, carpinus densiflora. These seven communities were well discriminated in the two-dimensional analyses of soil moistur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temperature(elevation), eciprocally, and in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three environmental factors also. They corresponded to seven ecological groups derived from the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of species populations in this mountain.

  • PDF

남해군 금산지역 식생에 관한 연구 (The Vegetation of Mt. Geum Area in Namhae-Gun)

  • 김인택;이지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40-745
    • /
    • 2003
  •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위치하는 금산(681m)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근 주변의 식생도 개관조사 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10개의 자연군락(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때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1개의 식재림(편백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에서는 끈끈이주걱, 방울새란 등이 발견되었다.

비진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Flora of Bijin Island)

  • Kim, Chang Ho;Kwang Seung Lee;Kyu Ha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5권4호
    • /
    • pp.164-175
    • /
    • 1982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the ecological investigation in Bijin islan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during 3 dyas from Aug. 3 to Aug. 5, 1981. The results are followings. The tracheophyta of this island was recoreded as 64 families, 128 genera, 142 species, 21 varieties and 2 forma. Twenty eight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prising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etc. wad distributed in the southern area of the island. And there was the wind-break forest mainly consisting of aged Machilus thunbergii, Celtis sinensis and Zelkova serrata in the northern area. The northern area dominated by the second forest of Pinus thunbergii, where the whole residents lead their lives, shows th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pure farming rate, so the natural degree is low. The other hand, there was the well-preserved forest of broad-leaved trees containing Zelkoba serrata. Acer palmatum and Quercus serrata, etc. in southern area having a steep peak, Seonyudai, and no resident. So, the potential vegetation of this island is assumed as the forest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hich belongs to the forest of subtropics.

  • PDF

Vegetation community composition and changes of Jinaksan (Mt.) in Korea

  • Seungah Yang;Mira Lee;Badamtsetseg Bazarragchaa;Hyoun Sook Kim;Sang Myong Lee;Joongku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165-180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62 nested quadrat plots of Jinaksan to identify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changes of the vegetation by using the phytosocial method and analyzed importance values.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variableis community, Q. aliena community, Pinus densiflora, Q. acutissima, Zelkova serrata, Carpinis laxiflora, and C. tschonoskii. The significance value was highest in Q. mongolica (62.75) followed by P. densiflora (55.16), Q. variabilis community (25.03), Z. serrata (22.17), Q. aliena (18.30),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16.86), C. laxiflora (13.25), Q. acutissima (10.72), C. tschonoskii (10.08), Q. serrata (8.02), Fraxinus sieboldiana (6.93), Acer pseudosieboldianum (6.73), and Styrax obassis (5.73). Quercus mongolica displayed a stable distribution pattern, presenting a reverse J-shaped curve fro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alysis, and it was judged that current state would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In addition, P. densiflora is expected to dominate for the time being and Quercus species are expected to gradually decrease.

현재 사용 중인 상처도포제의 유효성 검정 (Examination of Effectiveness of Existing Wound Dressings)

  • 이규화;이용환;송현성;이정구;유재룡;안새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505-509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수목관리 현장에서 사용 중인 상처도포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상표명: 톱신페스트)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에서, 라놀린은 느티나무와 왕벚나무에서, 테부코나졸 도포제(상표명: 실바코)는 왕벚나무에서 각각 무처리구 대비 유의하게 높은 상처유합률을 나타냈다. 페트롤리움젤리(상표명: 바셀린)는 은행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등 소나무를 제외한 전 수종에서, 인체 무독성 접착제(상표명: 오공본드)는 느티나무에서 각각 무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상처유합률을 보였다. 특히 바셀린을 처리한 느티나무와 왕벚나무 상처부위에서는 형성층이 괴사되어 상처가 확대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소나무는 수지 유출로 인해 상처도포제 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黃色) 단풍(丹楓)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 (Development of New fall Cultivars with Yellow Fall Leaf Color in Zelkova serrata Makino)

  • 심경구;박형순;변광옥;하유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48-152
    • /
    • 1999
  • 본 연구는 단풍색이 황색인 느티나무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선발된 개체들의 생육특성 및 단풍시기, 엽내 안토시아닌 및 엽록소 함량 등의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 접목에 의한 단풍색의 접목후대 특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황색 단풍이 드는 계통으로 선발된 'S-4'는 수령 28년생으로 수고 7m, 수관폭은 6m였으며, 엽내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다른 개체들에 비해 높고 단풍이 아름답고 단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14'와 'S-32' 역시 엽내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다른 개체들에 비해 높고 단풍이 황색으로 아름답고 단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된 개체들의 접목묘들 공히 모두 엽내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높고 단풍색이 황색으로 나타나 모본의 형질이 접목 후대에 유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개체들은 접목을 통해 번식시킨 후 조경용 소재로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시설양묘과정에서 관수 주기 처리에 따른 두 활엽수종의 생장 및 광합성 기구 변화 (Growth Performance and Photosynthesis of Two Deciduous Hardwood Species under Different Irrigation Period Treatments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 조민석;이수원;황재홍;김재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38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조림수종인 백합나무와 느티나무 용기묘를 대상으로 수분 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관수 주기 처리 별 생장 특성 및 광합성 능력, 수분이용효율, 기공전도도 등 광합성 기구의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용기묘 양묘 시 최적의 수분 환경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와 느티나무의 근원경과 간장 생장 및 상대 생장량은 1회/1일 관수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관수 주기가 짧을수록 생장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 또한 두 수종 모두 처리간 차이를 보이면서 관수 주기가 짧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관수 주기가 길어질수록 수분 조건이 불량해짐에 따라 T/R율과 H/D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 능력은 두 수종 모두 1회/1일 관수 처리구에서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해 1.5~3배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수분이용효율은 두 수종 모두 1회/1일 관수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관수 주기가 길어질수록 수분 조건이 불량해짐에 따라 수분이용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기공전도도는 관수 주기가 길어질수록 처리간 차이를 보이면서 값이 낮아지는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분 부족 시 증산량 감소와 동시에 수분이용효율이 증가되지만, 이에 따라 광합성 능력과 기공전도도의 감소 및 생장 저하와 불량한 묘목 품질이 초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양묘과정에서 수종별 수분 요구도에 맞는 생육환경조절은 시설양묘시업에 의한 건전한 묘목을 대량 생산함과 동시에 조림과정에서도 높은 활착 및 생장으로 우수한 조림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률적인 관수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별 상대생장량을 조사하여 수종별 생장패턴에 따라 기간별 수분 요구량에 맞는 집중 효율적인 관수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