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anthoxylum specie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8초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분석(動態分析) (II)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II))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2-27
    • /
    • 1983
  • 보문산의 관목시(灌木尸)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種群) 분류(分類)와 천이(遷移) 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5{\times}5m$의 quadrat 22개소(個所) 선정(選定)하였다. 관목(灌木)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관목수종(灌木樹種)은 45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관목(灌木)은 Zanthoxylum schinifolium에서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Rubus crataegifolius 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되며, 또 하나는 Stephanandra incisa-Corylus heterophylla에서 Lespedeza maximowiczii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된다.

  • PDF

식물추출물 마늘 추출액, 잔톡실럼 정유, 레몬그라스 정유 함유 유제 3종의 생태독성평가 (Acute Ecotoxicity Evaluation of 3 Emulsifiable Concentrates Containing Garlic Extract, Zanthoxylum Extract, and Lemon Grass Oil Originated from Plant)

  • 유아선;홍순성;정미혜;박경훈;장희섭;이제봉;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6-382
    • /
    • 2012
  • 식물추출물 함유(마늘추출액, 잔톡실럼오일, 레몬그라스오일 30%) 유제의 물벼룩급성독성 결과 마늘추출액 함유 30% 유제의 $EC_{50}$$3.3mg\;L^{-1}$로 EPA 기준으로 보통독성정도이었고, 레몬그라스오일, 잔톡실럼(Zanthoxylum)오일 함유 30% 유제의 $EC_{50}$$10mg\;L^{-1}$ 이상으로 저독성이었다. 송사리급성독성 시험의 경우, 마늘추출액 함유 30% 유제의 $LC_{50}$ 값이 $3.0mg\;L^{-1}$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두 유제는 모두 $10mg\;L^{-1}$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꿀벌급성독성시험은 접촉과 섭식 시험으로 나누어서 실시하였고, 접촉독성의 경우 모두 100 a.i ${\mu}g\;bee^{-1}$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섭식독성의 경우 마늘추출액 함유 30% 유제의 $LD_{50}$ 값이 44.3 a.i ${\mu}g\;bee^{-1}$ 이었으며 잔톡실럼(Zanthoxylum)오일과 레몬그라스오일 함유 30% 유제의 경우 $LD_{50}$ 값이 100 a.i ${\mu}g\;bee^{-1}$ 이상으로 나타나 독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렁이급성독성시험의 경우, 마늘추출액, 잔톡실럼(Zanthoxylum)오일, 레몬그라스오일 함유 30% 유제의 $LC_{50}$ 값이 각각 267, 592, $430mg\;kg^{-1}$ 로 나타났는데 이는 제품살포물량을 확정한 뒤 환경추정농도를 이용한 위해성평가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한다면 친환경 농자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국내 재배지의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와 초피(Zanthoxylum piperitum)의 형태학적 특성과 유전적 다양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Cultivate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in Korea)

  • 류재혁;최해식;유재일;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5-563
    • /
    • 2016
  • 국내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산초 및 초피유전자원의 형태학적 특성과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분자생물학적 분류와 유전자원평가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산초 수집계통간의 유전적 다형성은 증폭된 총 88개 밴드 중 85개의 다형성 밴드가 검출되어 96.5%였으며, 초피나무 수집계통은 총 58개 밴드 중 다형성 밴드는 35개로 60.3%의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산초나무 수집 계통의 UBC 861 프라이머 500 bp 영역과 UBC 862 프라이머 300 bp 영역에서 종 특이적인 밴드가 검출되었다. 신품종 육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유전적 유사도 지수를 산출한 결과, 총 32계통간의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최저 0.116에서 최고 0.816 사이로 산초나무의 종내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177∼0.780, 초피나무의 종내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250∼0.816 사이로 낮게 나타나 교배육종 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군집분석 결과, 유전적 유사도 지수 0.302에서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수집 계통이 분리되어 산초나무 2개 그룹과 초피나무 1개 그룹으로 유집되었다. 반면 유집된 그룹과 형태학적 특성과 연관성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SSR 마커로 산초와 초피의 종간 구분 마커 개발이 기대되며, 유전적 유사도를 바탕으로 교배육종 소재 선발의 가능성이 평가되었다.

국내 나비온실의 식물 식재현황 분석과 적용방안 연구 (The Analysis of the Butterfly Greenhouse Plant for the Butterfly Gardening)

  • 손진관;강동현;이시영;윤성욱;김남춘;김창현;공민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tterflies and plants. We examined 8 butterfly greenhouse. Butterflies are 5 families, 22 species found in 8 locations. Papilio xuthus, Pieris rapae, Papilio bianor etc. was expected to be introduced in the garden. Plants were identified in the 8 greenhouse with a total 249 taxa to 82 families 186 gunus 224 species 23 variety 2 forma. The main planting species were Compositae, Liliaceae, Rosaceae, Umbelliferae, Crassulaceae, Rutaceae and Etc. A main life forms are Hemicryptophytes. The naturalized plants have been identified 7 families 11 species. And planting in the garden, we propose appropriate management. Host plant is confirmed Rutaceae, Umbelliferae Leguminosae, Cruciferae, Ulmaceae, Aristolochiaceae Etc.. Main nectar plant is Compositae, Liliaceae, Rosaceae, Crassulaceae, Labiatae. Nectar plant is proposed to be plant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ering period. Zanthoxylum piperitum, Zanthoxylum schinifolium, Phellodendron amurense, Poncirus trifoliata, Citrus junos, Ruta graveolens proposed design reflects the woody. Spiraea(Rosaceae) and Rhododendron(Ericaceae) proposed by Nectar plants of woody. We hope to be utilized in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a butterfly garden.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및 관속식물상 -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임도를 중심으로 -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and Vascular Plants in Forest Road 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

  • 이미정;이준우;전권석;지윤의;김명준;김종윤;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1-209
    • /
    • 2003
  • 본 연구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4개 시$.$군에서 개설 후 1∼15년 경과한 임도에서 경과년수별로 절토 사면에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와 환경인자를 조사하였다. 경과년수에 따라 침입하는 종 수와 피복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초본류의 출현비율은 감소하였고, 목본류의 출현비율은 증가하였다. Ordinat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공 후 경과년수, 절토경사, 해발고, 절토사면 방향 등으로 나타났다. 임도사면의 녹화를 위해서는 시공 초기에 파종하던 종 이외에 쑥. 뱀딸기, 참억새, 칡, 산초나무, 붉나무, 병꽃나무 등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도사면에 출현한 관속식물은 77과 190속 233종 38변종으로 총 271종이며. 그 중 귀화식물은 18종이 출현하였다. 출현종의 빈도 우선순위를 보면. 산딸기, 쑥, 산초나무, 칡, 소나무. 조록싸리, 큰까치 수영, 싸리. 이고들빼기. 참억새, 개망초 등의 순이다.

설악산 상천 계곡의 황철나무 (On the Populus maximowiczii Forest of Sangcheon Ravine, Mt. Seolag)

  • Yim, Yang-Ja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95-103
    • /
    • 1984
  • The Populus maximowiczii dominated forest of the Sangcheon ravine, Mt. Seolag, is distributed in the area with the conglemerates substrate, along the ravine stream from 170m to 550m in altitude. Toward the both slope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peak from the stream side, the zon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was recognized; P. maximowiczii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The pure community of P. maximowiczii with even more 80-98% in relative basal area (aspen basal area/basal area) was found in the ravine area from 360m to 420m in altitude, the optimal ranges in the species and community by two dimensional ordination with thermal and xeric cline axis. The species compete with Pinus densiflora, in the ravine stream side, and with deciduous broad leaved tree species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 Prunus sargentii, Lindera obtusiloba, in the mountain slope sides. On the other hand, the ravine vegetation, including the aspen forest,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Car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Populus maximowiczii, jessoensis, Acer mono-Fraxinus rhynchophylla, Carpinus laxiflora-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Quercus ariena, Quercus ariena, Quercus variabilis-Stephanandra incisa, Picrasma quassioides-Celtis sinensis, Betula davurica-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tyrax obassia-Lindera obtusiloba association.

  • PDF

머귀나무에서 녹병균 Coleosporium zanthoxyli의 확인 (Confirmation of Coleosporium zanthoxyli on Zanthoxylum ailanthoides in Korea)

  • 신현동;최영준;이총규;이호상;최원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3-88
    • /
    • 2019
  • 한국 학자들에 의해 머귀나무의 녹병균이 Coleosporium phellodendri로 보고되었으나, 추가적인 연구 없이 외국 학자들에 의해 이 녹병균이 C. zanthoxyli로 기록되었다. 한국에서 머귀나무 녹병균의 정체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에서 채집되어 고려대학교 진균표본보관소에 보존된 8개 시료를 형태적으로 검경하고 대표적인 3개 시료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 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머귀나무 녹병균은 형태적으로나 분자적으로 C. zanthoxyli로 동정하는 것이 옳다고 결정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머귀나무에 녹병균 C. zanthoxyli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온량지수에 따른 천안시 적응 가능한 식물종 연구 (The Study of Adaptable Plant Species according to Warmth Index using RCP 8.5 Scenarios in Cheonan-Si)

  • 공석준;신진호;양금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0
    • /
    • 2013
  • This study was proposed to adaptable spec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using warmth index(WI) in Cheonan-Si. RCP 8.5 was used to estimate change of warmth index(WI) depending on climate change in Cheonan-Si. Climatic change of Cheonan-Si was estimated to change from cool temperate forest central zone to warm temperate forest zone. The following plant species will survive within WI change of Cheonan-Si from 2010 to 2050 : 18 species in the tree layer including Quercus serrata, Q. variabilis, Pinus densiflora, Q. acutissima etc.; 28 species in the shrub layer including Rhus trichocarpa, Lindera obtusiloba, Zanthoxylum schinifolium etc.; 24 species in the herb layer including Oplismenus undulatifolius, Carex lanceolata, etc.; 12 species in the vine plants including Smilax china, Cocculus trilobus, etc.

향토수목원 및 관광지 조경을 위한 자생식물의 개발과 이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Native Arboretums and Tourism Planting with Income Improvement)

  • 이기의;윤영활;조현길;서옥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24-47
    • /
    • 1998
  • 우리는 우리 지방에 자생하면서 기후풍토에 적응된 아름답고 진귀한 많은 야생 화목류와 교목류 등을 부존하고 있으면서도 이들을 연구 개발하지 않고 주로 도업종과 재배종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국내외의 관광객이 요구하는 즉, 강원도는 물론 우리나라 고유의 정취와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많은 야생종들을 연구, 개발하여 조경식물화시켜 대량으로 번식시키는 동시에 일반 재배화함으로써 향토색 짙은 관광한국을 만들어 관광사업의 근본목표인 경제적 효용을 다하기 위해 매우 개발가치가 있는 교목류 37종과 관목류 73종의 특성, 재배법, 용도 등을 조사하였다.

  • PDF

북한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그 보전 대책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 임동옥;김용식;이희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4
    • /
    • 2008
  • 환경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 중 IV등급 2종과 V등급 종은 5종으로 총 7종이 확인 되었다. 멸종위기 II급종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종이 조사 되었으며, 그 외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은 5종이었다. 북한산은 남부형 식물인 서어나무, 산딸나무, 때죽나무 및 초피나무 등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종들이 분포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3과 362속 541종 87변종 10품종으로 총 638종류이었다. 귀화식물은 총 16과 52속 54종 4변종 58종류로 귀화율은 9.09%, 도시화지수는 20.2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