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acco temmincki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7초

갈겨니(Zacco temmincki)의 진화에 관한 연구 III. 온도변화에 따른 갈겨니 sMDH 동위효소의 반응성에 대하여 (Evolutionary Study on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III. The Euect of Reaction Temperature on the Kinetic Mode of Isolated SMDH Isozymes from Zacco temmincki)

  • 강동철;장정순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9-230
    • /
    • 1987
  • Two allelotypes of sMDH variation, namely A and B type, are known in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We attempted to clarify their probable functional enzymatic difEerence with temperature change. Two types of sMDH were purified separately by successive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and blue 2-Sepharose amEnity columns, and their ensymatic activities to temperature change were measured. Q10 of Vmax and Vmax/K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types, i.e. A type being higher in Q10 values than B type. Based on the result it is assumed that A type may be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 than B type.

  • PDF

형산강산 잉어과 어류상 (THE CYPRINID FISH FAUNA IN THE HYEONGSAN RIVER)

  • 양홍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5-70
    • /
    • 1979
  • The fish faeona of the Hyeongsan River was found to be as follows; 1. The study of fish fauna for this paper was achieved from May to August in 1978. 2. The collected cyprinid fishes from the Hyeongsan River are 13 species in 10 genera, i. e., Cyprinus carpio, Carassius auratus, Gnathopogon coreanus, Gnathopogon majimae, Pseudorasbora parve, Pungtungia herzi, Moroco oxycephalus, Moroco lagewskii, Triboledon hakenensis,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Rhodeus ocellatus and Pseudoperilampus uyekii. 3. Among them the 5 species, Pseudorasbora parva, Moroco oxycephalus, Zacco platypus, Rhodeus ocellatue and Pseudoperilampus uyekii, are first described from this river. 4. Zacco temmincki is a dominant species in the whole river and Moroco oxycephalus at the upper, Zacco temmincki at the middle and Carassius auratus at the lower part of the river are dominant species in each studied area. 5. The number of distributed cyprinid species in this river compared to the adjacent river basins is $43.3\%$ of the whole Nakdong River and $118.2\%$ of the Taewha River.

  • PDF

Morphology of Retinas and Lenses in the Fish of the Genus Zacco (Cypriniformes, Cyprinidae): Possible Relationship with Prey and Habitat

  • Lim, Jae-Won;Lee, Chung-Lyul;Lee, Moo-Sa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4호
    • /
    • pp.331-335
    • /
    • 2003
  • Vertebrates with different habitats have different proportions of visual cells, with the rod cells responding to scotopic vision and the cone cells responding to photopic and color vision in their retinas. The present work studied whether the kinds and arrangement patterns of the cone cells and interlocking morphology of the lens were related to the kind of preys and habitats in the genus Zacco. The retinas were observed by a light microscopy using H-E staining method and the interlocking formula of the lens fibers were investigat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interlocking formula of the lens fibers of Z. temmincki is an ' anchor and socket ' connection, and that of Z. platypus is a ' ball and socket ' connection. The cone cells of Z. platypus and Z. temmincki constituted compacted mosaic patterns of row type. Away from the center, the double and single cone cells gradually increased in diameter. Zacco temmincki had identical double cone cells and Z. platypus had non-identical double and single cone cells. The eyes of Z. temminckifeeding on a moving aquatic insects in relative limpid water and swift current of mid and upper stream have better resolution than that of Z. platypus feeding on mainly adhesive algae and some aquatic insects in slightly turbid water of mid stream.

낙동강수계 위천의 어류군집구조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Wicheon River, Nakdong River System, Korea)

  • 채병수;강영훈;양홍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6
    • /
    • 1998
  • 낙동강 중류의 지류인 위천에서 어류상과 서식상황을 1995년 8월에서 1997년 10월까지 약 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조사의 결과, 모두 10과 30속 40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그 중 잉어과 어류가 26종(65.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기름종개과 어류가 5종(12.5%), 동자개과 어류가 2종(5.0%)이었고 나머지는 1종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Rhodeus uyekii를 비롯한 16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40%를 차지하여 매우 높은 고유성을 나타내었다. 하천 전체로 보면 Zacco temmincki(15.46%), Zacco platypus(14.29%), Squalidus gracilis majimae(11.25%)의 3종이 우점종이었으며, Cyprinzιs carpio, Rhodeus ocellatus, Culter brevicauda, Misgurnus mizolepis, Leiocassis ussuriensis, Silurus asotus, Macropodus chinensis, Channaargus의 8종은 상대 풍부도가 0.1% 미만인 희소종이었다. 지역별 종조성을 보면 상류에서는 Moroco oxycephalus, 중상류에서는 Zacco temmincki, Squalidus gracilis majimae 및 Niwaella multifasciata, 중하류에서는 납자루류와 Zacco temmincki, 하류에서는 Zacco platypus와 Microphysogobio속 어류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군집구조의 분석은 본류의 중류인 St. 9, 10, 11과 쌍계천의 중류인 St. 17, 18, 19의 6지점이 가장 안정되고 다양한 군집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상류인 St. 1과 4는 소수의 어종이 지배하고 있는 다양성이 낮은 군집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낙동강수계 영강의 어류군집구조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Yonggang River, Nakdong River System, Korea)

  • 채병수;남명모;양홍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7-76
    • /
    • 1998
  • 낙동강 중류의 1차지류인 영강의 어류상과 서식상황을 1997년 4월에서 11월까지 18개 조사지정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조사의 결과, 모두 10과 24속 32 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그 중 잉어과 어류가 17종(53.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기름종개과 어류가 5종(15.6%), 메기과와 꺽지과 어류가 각각 2종, 그리고 나머지는 1종씩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Gobiobotia naktongensis를 비롯한 13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40.6%를 차지하여 매우 높은 고유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천 전체로 보면 Zacco temmincki(32.78%)와 Moroco oxycephalus(15.10%)가 우점종이었으며, Zacco platypus, Pungtungia herzi, Niwaella multifasciata, Odontobutis platycephala의 4종은 보통종이었다. Lampetra reissneri,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Microphysogobio koreensis, Gobiobitia naktongensis, Cobitis rotundicaudata, Nemacheilustoni, Silurus asotus, Silurus microdorsalis, Siniperca scherzeri 및 Oreochromis niloticus의 11종은 상대풍부도가 0.1% 미만인 희소종이었다. 하천의 구배에 따른 지역별 종조성을 보면 상류에서는 Moroco oxycephalus, 중상류에서는 Zacco temmincki와 Moroco oxycephalus, 중하류에서는 Zacco temmincki와 Niwaella multifasciata, 하류에서는 Zacco platypus와 Microphysogobio속 어류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군집구조의 분석은 용암천의 중류인 St. 11과 본류의 중류인 St. 15와 최하류인 St. 18의 3개 지점이 가장 안정되고 다양한 군집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조령천의 최상류인 St. 1, 5, 7은 소수의 어종이 지배하고 있는 다양성이 낮은 군집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피라미속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V. 한국 및 일본산 갈겨니(Z. temmincki)의 유전적 분화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Zacco (Pisces, Cyprinidae). IV. genetic differentiation of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From Korea and Japan)

  • 민미숙;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8-35
    • /
    • 1993
  •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갈겨니(Z. temmincki)를 대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 한국에 분포하는 갈겨니 A(mm)-type과 일본에 분포하는 B-type(Watanabe and Mizuguchl, 1988)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동일 종으로 나타났고 한국산 갈겨니 B (MS)-type과 일본산 갈겨니 A-type의 유연관계가 가장 멀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및 일본에 분포하는 갈겨니는 모두 3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과 한국에 각각 2종씩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갈겨니의 분화시기는 홍적세시기(Pleistocene)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갈겨니(Zacco temmincki)의 진화에 관한 연구 1. MDH 동위효소 2형의 지리적 분포 및 계절적 변이 (Evolutionary Study on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1.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wo Allelomorphs of MDH)

  • 양서영;민미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2-241
    • /
    • 1989
  • 담수어류의 1종인 갈겨니의 cytosol malate dehydrogenaes는 A형과 B형이 발견되며 A형은 주로 남부 동해안의 수계와 일부 남해안지역에 분포하며 B형은 서부 내륙 및 남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남해안의 일부지역에서는 sympatry를 형성하나 이들 2형사이의 잡종개체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Sympatry지역의 하나인 남해의 동천천 수계에서 고도 및 계절에 따른 A형과 B형은 빈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A형은 수계의 상류에서 빈도가 높았고 겨울철에 빈도가 높아지는 반면 B형의 하류에서 빈도가 높았고 여름철에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추측되며 이는 지리적 분포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Yang 등은 갈겨니의 기원이 약 100만년전 피라미에서 분화되었을 것이라 추정한 바 있고, Yang과 Min의 연구결과 A형과 B형의 분화연대를 약 70만년전으로 볼 때, 처음 피라미에서 분화된 갈겨니는 B형 갈겨니라 보며 B형 갈겨니에서 보다 저온 적응인 A형 갈겨니가 분화되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 PDF

갈겨니(Zacco temmincki)의 진화에 관한 연구 IV. 유전적 변이, 형태비교 및 인공교배 (Evolutionary Study on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IV. Genetic Variation, Morphology and Artificial Hybridization)

  • 양서영;민미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7-431
    • /
    • 1987
  • Isozyme analysis, morphometric comparison, and artificial hybridization test wereperformed to elucidate the patterns of genic variation,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genetic incompatibility, and a probable path in speciation between two MDH allelotypes (MM type and MS type) of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a fresh water fish inhabiting in Korean waters. The degree of genic variation of MS type(HD=.023, HG=.021) was twofold higher than that of MM type (HD=.013, HG=.014) but both allelotypes were far less than the average genic variation of fresh water Bish in general.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ies among 7 populations of MM type and 6 Populations of MS type were S=.947 and S=.966 respectively, whereas the value between two allelotypes was S=.853. Presumed divergent time of two allelotypes was estimated to be about 700 thousand years ago.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based on 18 morphometric characters of 302 specimens representing 12 populations revealed no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two allelotypes. Artificial hybridization test indicates that there is an obvious genetic incogpatibility between two allelotypes an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isolating mechanism is completed.

  • PDF

탐진강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On the Ichthyofauna of the Tamjin River System)

  • 황영진;최충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39
    • /
    • 1995
  • 탐진강 수계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29속 39종이었으며 고유종은 12종이었고 잉어과에 해당하는 어류는 14속 21종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Puntungia herzi 뿐이었고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korean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Cobitis taenia lutheri, Cobitis longicorpus, Odontobutis platycephala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우세하게 출현하는 종은 Zacco temmincki, Acanthorhodeus gracilis, Zacco platypus, Rhodeus uyekii, Puntungia herzi, Squalidus gracilis majimae이었다. 반면 희소하게 출현된 종들은 Anguilla japonica, Rhodeus ocellatus, Pseudorasbora parva, Abbottina rivularis, Silurus asotus 등이었다.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가 본 수계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주목되었다.

  • PDF

갈겨니 (Zacco temmincki)의 進化에 관한 硏究 II: 갈겨니 2型의 核型分析

  • 이혜영;조정우;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8-214
    • /
    • 1986
  • 電氣泳動法에 의해 $Mdh-1^{MM}, Mdh-1^{MS}$ en allotype으로 분류된 경상남도 남해군 동천천産 갈겨니 (Zacco temmincki)의 核型을 비교하였다. 이들 두型의 염색체수는 2n=48로 동일하지만, 7번째 염색체는 $Mdh-1^{MM}$型은 Submetacentric chromosome, $Mdh-1^{MS}$型은 metacentric chromosome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Mdh-1^{MM}$型은 6쌍의 metacentric chromosome과 6쌍의 submetacentric chromosome 및 12쌍의 acrocentric chromosome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Mdh-1^{MS}$型은 7쌍의 metacentric chromosome과 5쌍의 submetacentric chromosome 및 12쌍의 acrocentric chromosome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이러한 sympatric한 지역에서 이들 두型의 hybrid型이 존재하지 않는 점으로 보아 이들사이에는 生殖的 隔離가 일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