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ATION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1초

저어콘의 내부 누대구조의 3차원적 복원기법 (3D Reconstruction of Internal Zonation in Zircon)

  • 김숙주;이기욱
    • 암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44
    • /
    • 2014
  • 저어콘 음극선발광영상의 입체적 연구를 위해, 단계적 연마를 사용한 연쇄단층촬영과 영상 후처리작업으로 저어콘 내부 누대구조의 3차원 복원을 최초로 시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경상분지 북동부 영덕화강암체에서 분리한 고생대말 시기의 저어콘으로 평면 음극선발광영상에서는 전형적인 진동누대구조가 관찰된다. 시료의 연쇄단층촬영을 위해 에폭시마운트 제작 후 $3{\mu}m$$1{\mu}m$ 연마액을 이용한 연마와 후방산란전자영상과 음극선발광영상 촬영을 시료가 소진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단계별 두께의 차이는 약 $3{\mu}m$이며, 약 80여개의 저어콘 중 7개를 선정하여 같은 면적 영상파일로 저장한 후 영상편집 소프트웨어인 Image J와 Volume Viewer를 이용하여 3차원 내부구조를 복원하여, 저어콘의 진동누대 및 덧성장구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3차원적 내부구조 영상은 2차원적으로 관찰하는 단면영상의 내부구조와 달리 특정방향에 따른 단면관찰이 가능하고 다양한 변화양상을 재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 연대결과가 복잡하게 나오는 저어콘이나 미세구조 파악이 필요한 다른 지질시료의 입체적인 성장 및 재결정작용의 내부 구조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공간 GIS 기법을 활용한 대전 지역 부지 주기의 지진 구역화 (Seismic Zonation of Site Period at Daejeon within Spatial GIS tool)

  • 선창국;신진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563-574
    • /
    • 2008
  • Most of earthquake-induced geotechnical hazards have been caused by the site effects relating to the amplification of ground motion, which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local geologic conditions such as soil thickness or bedrock depth and soil stiffness. In this study, an integrated GIS-based information system for geotechnical data, call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GTIS), was constructed to establish a regional counterplan against earthquake-induced hazards at an urban area, Daejeon, which is represented as a hub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To build the GTIS for the area of interesting, pre-existing geotechnical data collections were performed across the extended area including the study area and a walk-over site survey was additionally carried out to acquire surface geo-knowledge data.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GTIS used to estimate the site effects at the area of interesting, seismic microzoning map of the characteristic site period was created and presented as regional synthetic strategy for earthquake-induced hazards prediction. In addition, seismic zonation for sit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te period was also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te amplification coefficients for seismic design an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t any site i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case study on seismic zonations at Daejeon, it was verified that the GIS-based GTIS was very useful for the regional prediction of seismic hazards and also the decision support for seismic hazard mitigation.

  • PDF

수치분석의 도식화를 통한 제사기 화분자료의 분대 및 대비 (Application of Numerical Methods in the Zonation and Correlation of Four Late Quaternary Pollen Data from lows)

  • Hyung Keun Kim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8
    • /
    • 1989
  • 본 논문은 네 지점에서의 제4기 지층의 화분분석 자료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자료를 보다 객관적으로 적절하게 분대하고(zone) 대비하기(Correlate)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분석과 도식화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그 하나는 두 가지의 수치분석방법을 종합하여 분대하는 것으로, 즉 스피어맨의 순위 상관계수의 도표와 주성분분석에서 얻어진 제1, 제2, 제3, 제4 주성분의 그래프를 비교함으로서 서로 공통적인 그룹과 각각 특징적인 그룹을 종합하여 분대한다. 둘째는 대비의 방법인데, 네 지점의 자료들을 일단 하나로 합하여 이를 근거로 한 주성분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제1, 제2 주성분을 각 지점에 해당하는 네 개의 그룹으로 다시 나누어 도식화하면. 이들 네 개의 그룹은 공통적인 변화추이를 보여주므로 서로간의 대비가 매우 용이해 진다. 그러나 제3, 제4 주성분들은 각 지점에 대해 고유의 양상과 변화를 보여 주는데 이는 각 지점이 가지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성분들은 대비에는 사용될 수 없다.

  • PDF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외해로 노출된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Zonation of the Exposed Sandy Beach Macrofauna in Okjukpo, Taechongdo, Korea)

  • 윤상필;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2호
    • /
    • pp.146-156
    • /
    • 2000
  •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 24일에 1개의 조사지선을 설정하여 10개의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 범위는 1.97${\sim}$2.23${\phi}$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0.52${\sim}$1.02%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총 25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저서동물의 총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10,705개체, 89.13 gWWt였다. 본 연구 지역에서 가장 우점한 분류군은 미소갑각류에 속하는 단각류와 등각류였으며, 주요 우점종으로 Eohaustorius setulosus(33%), Excirolana chiltoni(26%), Haustorioides koreanus(12%), Platorchestia crassicornis(8%), Cycladicama cumingii(6%) 등이 출현하였다. 이들 주요 우점종들의 대상분포 양상은 Dahl(1952)과 Jo(1990)의 연구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3층의 대상분포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 상부의 Platorchestia crassicornis, (2) 중부의 Excirolana chiltoni, (3) 하부의 haustoriid - dogielinotid - urothoid - oedicerotid로 구성되는 단각류 군집.

  • PDF

신두리 해안사구의 미지형별 식생의 대상구조와 다양성 변화 - 천연기념물 지정지를 중심으로 -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 -)

  • 송홍선;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0-298
    • /
    • 2007
  • 한반도 신두리 해안사구를 대상으로 TWINSPAN 분류법과 DECORANA 배열법에 의한 미지형과 식생의 대상구조 및 변화를 예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안사구의 미지형과 식생은 해안선에서 내륙을 향해 뚜렷한 띠모양의 대상구조를 이루었다. 해안선 방향의 사빈은 수송나물의 출현이 많았고 일차사구는 갯그령이 우점하였다. 사구저지는 좀보리사초와 띠가 군락을 이루었으며 사구습지는 산조풀이 넓게 분포하였다. 이차사구는 띠와 갯쇠보리가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순비기나무와 해당화가 분포하는 양상이었고 내륙방향의 배후구릉지는 아까시나무와 곰솔이 우점하였다. 그러나 해안사구는 해안선 방향의 선구종으로 알려진 통보리사초가 후방의 이차사구에서 우점하였고 내륙성의 억새와 귀화식물의 겹달맞이꽃이 해안사구 전체에서 불규칙하게 덮고 있어 미지형의 안정화가 불확실하였다. 특히 억새는 해안사구의 안정화가 진행될수록 유집성이 높은 사구저지, 이차사구, 일차사구의 우점종으로 변화가 예측되었으며 일차사구와 이차사구 사이의 도로와 사구습지의 확대는 식물분포의 대상구조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서성 단각류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와 주야-조석주기 (Intraspecific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in Relation to Diel and Tidal Cycles)

  • 유옥환;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0-507
    • /
    • 1998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1조석주기 동안 채집한 저서성 단각류 시료를 가지고. 주야와 조석주기에 따른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를 조사했다. p. rostrata의 밀도는 대조보다는 소조때 높았다. 개체군을 성체 암$\cdot$수컷과 미성체로 나누어 보면. 미성체와 수컷의 밀도가 각각 소조와 대조때 가장 높았다. 체장빈도 자료에 따르면. 겨울철에 미성체의 사망이 큰 것 같다. 야간 표층에서 소조때는 미성체 그리고 대조때는 성체암$\cdot$수컷이 유의하게 많았다. 이것은 미성체와 성체의 수직이동 양상이 조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 진다. 대조 밀물때 평균해수면 (MSL) 위에 나타난 p. rostrata의 $90\%$ 이상이 성체였다. MSL 위에서 암컷/수컷의 비율이 감소했고. 암컷의 체장은 변동이 없었지만 수컷의 체장은 증가했다. 이것은 몸이 큰 수컷의 활발한 이동습성을 가리킨다. 이런 행동은 큰 수컷의 분포역 확장으로 이어지고, 교미와 섭식경쟁에 있어 큰 수컷에게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체가 대조 야간에 MSL 위 100cm에서 채집되기도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 p. rostrata 개체군은 대부분 MSL 아래에 머물렀다. 분포중심은 MSL 아래 50cm에서 200cm 사이였다.

  • PDF

Zonation and soil factors of salt marsh halophyte communities

  • Lee, Jeom-Sook;Kim, Jong-Wook;Lee, Seung Ho;Myeong, Hyeon-Ho;Lee, Jung-Yun;Cho, Jang Sa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20-23
    • /
    • 2016
  • Background: The structures and soil factors of Suaeda glauca-Suaeda japonica zonal communities and Phragmites australis-S. japonica zonal communities were studied in salt marshes of west and south coasts of South Korea to provide basic data for coastal wetland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Results: S. glauca community mean length was 67 m and S. japonica community mean length was 567 m in zonal communities, and P. australis and S. japonica community mean length were 57 m and 191 m in zonal communities. Regard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odium content, and clay contents in Upnae-ri, Shinan-gu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zonal communities at significance level of 0.05 for two-sided t test. However, other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 factors such as electronic conductivity, total nitrogen level, clay, and sodium might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ormation of zonal plant communities of salt marshes.

서해 경기만 해조군집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조사 (Primary Survey on Algal Community of Gyounggi Bay for Restoration)

  • 이욱재;황미숙;백재민;이재완;김종인
    • ALGAE
    • /
    • 제22권3호
    • /
    • pp.201-207
    • /
    • 2007
  • For getting primary cue of restoration, the algal flora and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 of Deokjeokdo, Yeonpyeongdo and Ganghwado were investigated for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The total of 28 species, including five Chlorophytes, five Phaeophytes, 17 Rhodophytes and one sea grass were identified. The occurrence of species according to sampling site was 22 species in Deokjeokdo, seven species in Yeonpyeongdo and four species in Ganghwado. Among them Gloiopeltis furcata, Ulva pertusa and Sargassum horneri in Deokjeokdo, Scytosiphon lomentaria in Yeonpyeongdo, Enteromorpha prolifera in Ganghwado were ominants.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Gloiopeltis furcata, Caulacanthus okamurae – Corallina pilulifera – Ulva pertusa,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Sargassum horneri, Undaria pinnatifida in Deokjeokdo, Bangia atropurpurea – Scytosiphon lomentaria – Ahnfeltiopsis flablleiformis in Yeonpyeongdo from upper to lower zone and Enteromorpha prolifera, Enteromorpha linza – Sargassum thunbergii, Myelophycus simplex in Ganghwado from middle to lower zone. The average of biomass was measured as 80.6 g dry wt. m–2 in Deokjeokdo, 32.2 g dry wt. m–2 in Yeonpyeongdo and less than 1 g dry wt. m–2 in Ganghwado.

Spatial interpolation of geotechnical data: A case study for Multan City, Pakistan

  • Aziz, Mubashir;Khan, Tanveer A.;Ahmed, Tauqi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3호
    • /
    • pp.475-488
    • /
    • 2017
  • Geotechnical data contributes substantially to the cost of engineering projects due to increasing cost of site investigations. Exist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soil maps can save considerable time and expenses while deciding the scope and extent of site exploration for a proposed project site. This paper presents spatial interpolation of data obtained from soil investigation reports of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and development of soil maps for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Multan area using ArcGIS. The subsurface conditions of the study area have been examined in terms of soil type and standard penetration resistance. The Inverse Distance Weighting method in the Spatial Analyst extension of ArcMap10 has been employed to develop zonation maps at different depths of the study area. Each depth level has been interpolated as a surface to create zonation maps for soil type and standard penetration resistance. Correlations have been presented based on linear regression of standard penetration resistance values with depth for quick estimation of strength and stiffness of soil during preliminary planning and design stage of a proposed project in the study area. Such information helps engineers to use data derived from nearby sites or sites of similar subsoils subjected to similar geological process to build a preliminary ground model for a new site. Moreover, reliable information on geometry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underground layers would make projects safer and economical.

Evaluation of Meymeh Aquifer vulnerability to nitrate pollution by GIS and statistical methods

  • Tabatabaei, Javad;Gorji, Leil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4호
    • /
    • pp.313-320
    • /
    • 2019
  •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ions in the soil solution and then leaching it to underground aquifers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in the water, and can cause many health and ecological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Meymeh aquifer to nitrate pollution. In this research, sampling of 10 wells was performed according to standard sampling principles and analyzed in the laboratory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then; the nitrate concentration zonation map was drawn by using intermediate models. In the drastic model, the effective parameters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aquifers, including the depth of ground water, pure feeding, aquifer environment, soil type, topography slope, non-saturated area and hydraulic conductivity. Which were prepared in the form of seven layers in the ARC GIS software, and by weighting and ranking and integrating these seven layers, the final map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to contamination was prepared. Drastic index estimated for the region between 75-128. For verification of the model, nitrate concentration data in groundwater of the region were used, which showed a rel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and the prepared version of the model. A combination of two vulnerability map and nitrate concentration zonation was provided a qualitative aquifer classification map. According to this map, most of the study areas are within safe and low risk, and only a small portion of the Meymeh Aquifer, which has a nitrate concentration of more than 50 mg / L in groundwater, is classified in a hazardous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