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형태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7초

정팔면체 [Co(III)-$O_3N_3$], 정사면체 [M(II)-$O_2N_2$] 및 정사각형 [M(II)-$O_2N_2$] 형태 착물의 쌍극자모멘트의 계산 [M(II) = Ni(II) 또는 Cu(II)] (Calculation of the Dipole Moment for Octahedral [Co(III)-$O_3N_3$], Tetrahedral [M(II)-$O_2N_2$] and Square Planner [M(II)-$O_2N_2$] Type Complexes [M(II) = Ni(II) or Cu(II)])

  • 안상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95-303
    • /
    • 1978
  • 정팔면체[Co(III)-$O_3N_3$], 정사면체[M(II)-$O_2N_2$] 및 정사각형형[M(II)-$O_2N_2$]형태 착물의 쌍극자모멘트를 중심이온의 valence basis sets와 리간드의 single basis 궤도함수($2p_z$)를 사용하여 spherical harmonics의 전개방법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이들 착물에 대하여 계산한 쌍극자모멘트의 값이 실험치와 일치하였다.

  • PDF

M.O. Studies of Configuration and Conformation (Part II) Configuration and Conformation of Ketimine isomers

  • Kim, Shi-Choon;Chun, Young-Gu;Lee, Ikch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39-44
    • /
    • 1977
  • N-methyl-C-phenylalkyl ketimine 이성질체, Ph-CR=N$CH_3$ (R=H, $CH_3$, $CH_3$CH$_2$)의 배치와 형태를 EHT 분자궤도함수법으로 연구하였다. 계산결과는 C=N 이중결함에 대하여 E-형의 배치가 Z-형의 배치보다 안전함을 나타내고 있다. N-methyl-C-phenylaldimine과 N-methyl-C-phenylmethylketimine에서는 phenyl 고러 회전자가 C=N 평면과 동일평면에 있는 형태가 안정하다. N-methyl-C-phenylethylketimine에서는 phenyl 고리와 C=N결합이 동일평면에 있고 회전자 $CH_3$CH$_2$-가 C=N 평면과 90$^{\circ}$인 gauche형이 가장 안정하다.

  • PDF

한국산 투라치과(Lampridiformes: Trachipter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Trachipteridae (Lampridiformes) from Korea)

  • 지환성;윤상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2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우리나라 동해, 남해 및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투라치, Trachipterus ishikawae (Jordan and Snyder, 1901) 7개체, 홍투라치, Zu cristatus (Bonelli, 1820) 4개체 및 1미기록종인 Desmodema polystictum (Ogilby, 1897) 2개체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여 한국산 투라치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한국 미기록종인 D. polystictum는 배쪽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체측에 어두운 수십개의 둥근 반문이 산재하는 특징을 보여, 새로운 한국명으로 "점투라치"를 제안한다. 홍투라치는 제1~제6 등지느러미 연조 및 배지느러미 연조가 길게 신장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투라치는 배쪽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돌기가 나 있으며, 체형은 가늘고 긴 일직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계수형질에서는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투라치(178~195개), 홍투라치(137~148개), 점투라치(125~13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는 투라치(80~83개), 점투라치(72~74개), 홍투라치(64~68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m-Methylphenyl N-methylcarbamate 유도체들의 살충활성 메카니즘 (Insecticidal Activation Mechanism of m-Methylphenyl N-methylcarbamate Derivatives)

  • 박승희;남상길;성낙도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7-133
    • /
    • 1995
  • 일련의 phenyl N-methylcarbamate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ACh.E에 대한 carbamylation 과정으로 일어나는 살충활성 반응의 중심인 carbonvl group의 분자궤도(MO) 함수량과 살충활성($pI_{50}$) 값에 대한 치환기의 영향을 검토한 바, phenyl group에 결합된 치환기(X) 변화에 따른 carbonyl group의 알짜전하와 적외선 진동수($cm^{-1}$) 및 bond population에 미치는 치환기 효과(${\rho}=0$)는 관측되지 않았다. 전체 에너지(${\Delta}Et$)와 ipso $C_1-O_7$결합을 회전축으로 한 각도(${\theta}$)와의 관계로 부터 가장 안정한 형태는 평면인 phenyl group에 대하여 carbamyl group이 수직(${\theta}=90^{\circ}$ )인 (Z)-N-methyl-(Z}-O-phenylcarbamate 형태이었다. Carbamylation 과정의 1단계 평형($k_1/k_{-1}$) 반응은 thermodynamically control 반응이기 때문에 carronyl oxygene에 대한 acidic group(ACh.E)의 양성자화 반응과 Serine hydroxyl group의 친핵성 첨가반응 그리고 m-methyl group의 hyperconjugation effect에 의하여 anionic site(ACh.E)와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되는 일련의 새로운 carbamylation 메카니즘을 가정하여 제안하였다.

  • PDF

강우레이더 관측의 수문학적 불확실도 산정 기법 (Estimation Techniques of Hydrological Uncertainties on Rainfall Radar Measurement)

  • 황석환;조효섭;이건행;현명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78-78
    • /
    • 2017
  • 강우레이더 관측의 정확도는, 호우의 강도나 형태와 같은 기상학적 조건(변동 오차 요소) 외에도, 관측 지점의 레이더로부터의 거리, 고도, 관측유역의 형태나 크기 등 다양한 관측환경 조건(고정 오차 요소)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강우레이더 관측의 오차 성분을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리와 고도에 의한 오차 특성을 이중편파 변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감쇠의 영향과 산지효과(또는 지형효과)로 인한 오차 규모를 정량적으로 산정 비교하였다.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QPE 불확실도의 거리와 고도에 따른 성분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거리에 대한 불확실도 성분이 매우 작은 R(KDP)를 이용한다면 효과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관측 거리에 따른 오차가 매우 작은 R(KDP)를 기준으로 관측 거리에 따른 오차와 고도에 따른 오차를 분리하여 표준화[Z-score] 하였다. R(Z)의 경우는 관측 고도와 거리에 따른 오차가 중첩되어 나타나나, R(KDP)는 거리에 따른 오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를 기본 가정으로 하여 R(Z)와 R(KDP) 관계로부터 관측 고도에 따른 오차 성분만 분리하였다. 분리 결과, 관측 거리에 따른 표준 오차의 경우 100km 까지는 대략 10%(0.1) 이하로 나타났으나, 150km 이상에서는 30%(0.3)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 고도에 따른 표준 오차의 경우 2~3번째 고도각 까지는 대략10%(0.1) 이하로 나타났으나, 3번째 고도각 이상에서는 20%(0.2), 4번째 고도각 이상에서는 50%(0.5)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도에 의한 영향이 거리에 의한 영향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1번째 고도각에서는, 100km 이내 근거리에서 관측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저고도 빔 간섭(빔 차폐) 등의 영향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잔디 신품종 '세아(Seah)' 개발 (Development of New Hybrid Zoysiagrass Cultivar 'Seah')

  • 최준수;양근모;배은지;박용배;이광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06-312
    • /
    • 2017
  • 한국잔디 신품종 '세아' (품종보호 출원번호:2014-22)는 2010-2011년 한반도 남, 서해안 및 도서지역에서 수집된 잔디 유전자원을 사용하여 인공교배육종으로 작성 되었다. 2011년 형태적으로 구별성이 있는 수집종 Z2011 (Z. sinica) 모본과 NM1 (Z. matrella) 부본 간에 인공교배를 수행하였으며, 2012년 작성된 후대(F1) 중 Space planting을 통해 생육이 우수하고 밀도가 높은 고품질 계통(Z2011xNM1)-2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세아' 라 명명하였다. 2년간 포장적응 실험을 통해 적응성, 안정성, 구별성을 확인하였으며, '세아'를 신품종으로 출원하게 되었다. '세아' 품종의 특성은 엽색이 연한 녹색이며 엽 너비는 1.8 mm로 세엽이다. 지면에서 첫 번째 잎까지의 높이가 1.94 cm로 낮아 낮은 깎기에 적응도가 높다. 초장도 7.1 cm로 매우 낮은 생육형을 보인다. 생육속도는 느려서 뗏장 생산 효율은 다소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줄기 밀도가 높고 세엽형이라 품질이 우수하다.

NCAR-TIEGCM을 이용한 이온권-열권의 상호작용 연구: 행성간 자기장(IMF)에 의존적인 이온권 플라즈마대류의 고위도 하부 열권 바람에 대한 영향 (IONOSPHERE-THERMOSPHERE INTERACTIONS BASED ON NCAR-TIEGCM: THE INFLUENCE OF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IMF)-DEPENDENT IONOSPHERIC CONVECTION ON THE HIGH-LATITUDE LOWER THERMOSPHERIC WIND)

  • 곽영실;안병호;원영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1호
    • /
    • pp.11-28
    • /
    • 2004
  • 고위도의 이온권 전기장이 열권 역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미 국립대기연구소(NCAR)의 열권-이온권 전기역학적 대순환 모델(TIEGCM)을 이용하여 고위도 하부 열권의 바람을 연구하였다. 1992-1993년 기간의 남반구 여름철 조건에 대해 모델을 가동하였으며, 행성간 자기장(IMF)에 좌우되는 이온권 대류가 바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IMF와 열권 바람과의 관련성을 또한 조사하였다. 비록 모델로부터 추정된 바람의 세기가 WINDII관측치에 비해 대체적으로 약하긴 하지만, 바람의 형태는 잘 일치하였다. 고위도 여름철 열권 바람에 대한 이온권 대류의 영향이 105km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MF$\neq$O와 IMF=0인 경우의 바람차이(difference wind)는 IMF$B_y$성분이 양과 음일 때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강한 소용돌이 형태를 보이며, 이 소용돌이 양상은 고도 105km까지 나타났다. IMF $B_z$가 양인 경우의 바람차이는 극관에 아주 국한되는 반면, IMF $B_z$가 음일 경우에는 아오로라(subauroral) 위도까지 확장되었다. IMF $B_z$에 좌우되는 일주풍(diurnal wind) 성분과 이온권 대류 성분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개를 보이며, 그 관련성은 고도 108km까지 나타나고, 그때 일주풍은 강한 회 전성을 나타냈다 하부 열권의 여름철 동서성분바람의 자기지방시(MLT) 평균에 대한 IMF $B_y$ 영향은 고위도에서 상당히 크며, 최대 풍속은 지자기 위도 $77^{\circ}$부근의 고도 130km에서 약$60ms^-1$로 나타났다.

Cyclopropyldifluoroborane 분자의 내부회전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 (Ab initio and DFT Study for the Internal Rotations of Cyclopropyldifluoroborane Molecule)

  • 김경이;이정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297
    • /
    • 2006
  • Cyclopropyl 링과 할로겐 원소가 결합된 붕소원자 사이의 hyperconjugation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PDFB와 CPCFB 분자의 여러 conformation과 transition state 구조들에 대해 DFT와 ab initio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레벨에서 구조최적화 및 NBO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주요 상호작용 형태는 화합물에 따라 단일결합 오비탈 (C1-C3, C2-C3) n* (B9) 또는 *(B9-Cl11) 오비탈로 전자를 제공하는 것이었고 이때 안정화 에너지는 CPDFB 분자의 경우 6.63 kcal/mol, CPCFB 분자의 경우는 conformation에 따라 6.97(E-form)/6.79(Z-form) kcal/mol 이었다. 또한, BF2와 BFCl 기의 내부회전에 의한 회전장벽의 크기는 각각 5.3~6.7 kcal/mol과 5.7~6.5 kcal/mol로 기존에 보고된 실험값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CPCFB 분자의 conformers 중에서 Z-form이 global minimum으로 확인되었고 E-form 보다 0.2 kcal/mol 정도 안정하였다.

깃털 성감별 상업용 토종 실용닭 생산 (Production of Feather-Sexing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손시환;조은정;이슬기;이준호;장수용;용귀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65-71
    • /
    • 2024
  • 병아리의 성 감별 방법으로 깃털 감별법이 상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깃털 감별법이 산업적으로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종계의 기초 계군 내 조우성과 만우성 유전자가 존재하고, 깃털 감별이 될 수 있는 종계 계통을 조성하여야 하고, 깃털 감별로서 병아리의 성 판별율이 정확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토종닭의 깃털 감별을 위한 자가 성감별 종계 계통 조성 방법과 조성된 종계로써 생산한 상업용 병아리들의 깃털 성 판별의 유효성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깃털 감별용 종계 조성을 위한 기초 계군은 조우성 개체와 만우성 개체가 혼재되어 있었으며, 만우성유전자의 빈도가 0~0.205 정도로 추정되었다. 병아리의 깃털 자가 성감별을 위한 계통 조성으로 원종계의 부 계통은 암수 공히 조우성(kk)으로 고정하고, 모 계통의 부는 만우성 동형접합체(ZKZK)를 가진 계군으로, 모는 조우성(ZkW)을 가진 계군으로 조성하였다. 따라서 부계 종계는 조우성(ZkZk), 모계 종계는 만우성(ZKW)으로 되어 이들 간 교잡으로 생산된 병아리들은 수컷은 만우성(ZKZk), 암컷은 조우성(ZkW)을 가지므로 병아리의 깃털 형태로써 암수를 감별할 수 있었다. 또한 생산된 실용 병아리에 대한 깃털 감별의 유효성을 살펴보고자 생산 병아리 중 1,000수를 표본으로 항문 감별과 깃털 감별 간의 감별 일치도를 조사한 결과 일치율은 93.1%로 나타났다.

비구면 가공을 위한 공구 경로 제어 알고리즘 (Tool Path Control Algorithm for Aspherical Surface Grinding)

  • 김형태;양해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0-103
    • /
    • 2005
  • In this study, tool path control algorithm for aspherical surface grinding was derived and discussed. The aspherical surface actually means contact points between lens and tool. Tool positions are generally defined at the center of a tool, so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ool path and lens surface. The path was obtained from contact angle and relative position from the contact point. The angle could be calculated after differentiating an aspheric equation and complex algebraic operations. The assumption of the control algorithm was that x moves by constant velocity while z velocity varies. X was normal to the radial direction of lens, but z was tangential. The z velocities and accelerations were determined from current error and next position in each step. In the experiment, accuracy of the control algorithm was checked on a micro-precision machin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rol error tended to be diminished when the tool diameter increased, and the error was under sub-micro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