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z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9초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in the Peel of Citrus Fruits

  • Oh, Hyun-Jeong;Ahn, Hyo-Min;Kim, Sang-Suk;Yun, Pil-Yong;Jeon, Gyeong-Lyong;Ko, Young-Hwan;Riu, Key-Z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48-154
    • /
    • 2007
  • Volatile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s of Satsuma mandarin (C. unshiu), Dangyuza (C. grandis), Yuza (C. junos), Byungkyul (C. playtymamma), Jinkyul (C. sunki), and Hakyul (C. natsudaidai) grown in Jeju Island were isolated from the fruit peels by hydro distillation and determined by GC-MS. GC-MS analysis identified 58 compounds, with main components being d-limonene $(64.01{\sim}79.34%),\;{\beta}-myrcene\;(3.01{\sim}26.53%),\;{\gamma}-terpinene\;(0.11{\sim}12.88%),\;{\beta}-pinene\;(0.78{\sim}4.74%),\;and\;{\alpha}-pinene\;(1.01{\sim}2.55%)$. Differences in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the essential oils were observed among citrus varieties. Effects of citrus oils on growth inhibitions of Escherchia coli, Staphyllococcus epidermidis, and Candida albicans were investigated using disc diffusion assay an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ssay. The essential oils inhibited growths of the test organisms, exhibiting higher levels of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S. epidermidis (MIC values $0.04{\sim}0.17mg/mL$), whereas Gram-negative E. coli was moderately resistant (MIC values $1.66{\sim}20.30mg/mL$). MIC of citrus essential oils ranged from $0.82{\sim}23.69mg/mL$ against C. albicans. The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C. sunki, C. grandis, and C. playtymamma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epidermidis and C. albicans, indicating their potential as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유자 에탄올 추출물의 면역력 증진 효과 (Citrus Ethanol Extracts Promotes Innate Immune Response by Activating NF-κB)

  • 양지원;전혜린;유양희;김진영;최효경;최경철;전우진;윤호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56-126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자가 선천성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자 30% 주정추출물(CJE)을 사용하였으며 선천성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를 이용해 실험하였다. CJE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에서 $1,000{\mu}g/mL$의 최고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전사인자 $NF-{\kappa}B$와 염증성 매개물질인 COX-2, PGE2의 활성 및 발 현 증강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300{\mu}g/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화질소 생성능과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의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얻었으나, IL-6에서는 통계적으로 약간의 유의성이 있는 증가를 보였고 IL-10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거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JE는 또한 NK 세포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고 비장세포의 증식능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CJE는 인체의 대식세포 활성의 증가를 통해 선천성 면역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Yuza(Citrus junos) Extracts and Ascorbic Acid on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9-654
    • /
    • 2006
  •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97.87{\mu}g/mg$$121.17{\mu}g/mg$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0.28{\mu}g/mg$$0.59{\mu}g/mg$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비타민 C를 첨가할 경우가 상승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농도($30{\mu}g/mL$) 시료보다는 고농도($300{\mu}g/mL$)에서 전자공여능이 크게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과피 추출물 $1,000{\mu}g$에 비타민 C $500{\mu}g$를 혼합한 경우의 비타민 C $500{\mu}g$ 단독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각각 20분 반응에서 2.6배, 40분 1.5배, 60분에는 1.2배가 높았다. 환원능은 유자 과피 추출물의 $30{\mu}g/mL$$50{\mu}g/mL$ 저 농도에서 고농도에서와 비슷하게 아주 높게 나타났다. 유자 과피 및 과육의 추출물로 처리한 간암 세포주에서 다른 암 세포주에 비하여 비교적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mL$에서는 각각 63.8%와 73%를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는 모든 시험농도에서 유자 과피의 추출물이 과육 추출물보다 항암활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은 함유되어 있는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from Three Different Areas of Namhae)

  • 이수정;신정혜;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81-90
    • /
    • 2010
  • 남해 유자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남해군 설천, 창선 및 이동 지역에서 재배된 개량종 유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자의 총 중량은 120.51~176.56 g으로 창선 유자가 유의적으로 무거웠으며, 총 중량에 대한 과피의 비율도 가장 높았다. 과피의 표면색은 지역간에 차이가 작았다. 과육의 수분 함량은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당도는 창선 및 이동 유자가 설천 유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이동 유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lic acid 함량이 창선 유자에서 다소 높았으며,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는 과피에서, sucrose는 과육에서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향기성분 중 dl-limonene의 함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동 유자는 57.60%, 설천 및 창선 유자는 각각 71.02%, 73.04%를 차지하였다. 이와같이 남해 지역에서 재배된 유자간에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는 토양, 수확시기, 재배 조건 등의 영향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