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Yun Restaurant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Changes in Land Use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ocational Facilities in the Downtown of a Small Town - Focused on a downtown in Yeongam-eup - (소도시 도심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입지시설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영암읍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

  • Kim, Yun-hag;Moon,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3 no.2
    • /
    • pp.55-62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land use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ocational facilities in the downtown space of a small tow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population of the subject small town was 9,476 as of 2010 which accounts for 15.8%. of Yeongam-gun. Regarding to a period, the population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by 20.4% on average. Regarding to age group, while young people of 30 and under have been decreased, old people of 60 and over have been increased, suggesting a rapid increase in old population. Regarding to the area by land classification in the subject small town, while land has been increased by 6.9% on average, forests and fields have been decreased. Regarding urban planning area,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have been increased by 3.1% and 5.8% on average respectively. It suggests that a rural area(arable land) tends to be gradually decreased, whereas a urban area tends to be steadily increased. Regarding the number of layers of buildings in the subject downtown streets, while one and two stories accounted for most parts in 1977, one story has been decreased but two and three stories have been increased since 1987. Regarding the use of buildings, living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sale/retail trade and service/restaurant showed high location. In particular, one story which influences street vitality showed high location in sale/retail trade and service/restaurant, but many empty stores were also shown.

Korean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Model Using Hybrid Code Network (Hybrid Code Network를 이용한 한국어 식당 예약 시스템 모델)

  • Lee, Dong-Yub;Hur, Yun-A;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57-59
    • /
    • 2017
  •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은 텍스트나 음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한 end-to-end learning 방식이 제안되었다. End-to-end learning 방식을 이용한 식당 예약 시스템 모델의 학습을 위해 페이스북은 영어로 이루어진 식당 예약에 관련된 학습 대화 데이터셋(The 6 dialog bAbI tasks)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end-to-end learning 방식의 학습은 많은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하는데, 액션 템플릿(action template)의 정의를 통해 도메인 지식을 표현함으로써 일반적인 end-to-end learning 방식보다 적은 학습량으로 좋은 성능의 모델을 학습할 수 있는 Hybrid Code Network 구조를 제안한 연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Hybrid Code Network 구조를 이용하여 한국어 식당 예약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한국어로 이루어진 식당 예약에 관련한 학습 대화 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tudy of the Soonjo GichukJinchanEuigwe JagyeongjeonJeongil Misu in 1829 (1829년 순조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자경전 정일 진찬 미수에 관한 연구)

  • Kim, Ha-yun;Kim, Myung-Hee;Kim, Ah-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33 no.4
    • /
    • pp.322-32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Gichuk years JagyeongjeonJeongilJinchan Misu. The banquet, Misu is offered to the king by the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vassal, according to procedure. JagyeongjeonJeongil Misu are offered as 49 dishes spanning seven courses, so seven dishes in each misu are offered.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Gawjeong, fruit, soups and side dishes, are placed. Misu involves only the ki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in the banquet. The number of misu dishes are different for the King and prince. The table used is called the Joochil Sowonban and the tableware used is brassware and pottery. Sangwha used Peonies, Chinese rose, Red peach blossom-samjihwa, and Red peach blossom-byulgeonhwa in each misu.

Development of Restaurant Reservation App that Supports Real-Time Seat Confirmation (실시간 좌석 확인이 가능한 식당예약 앱 개발)

  • Kim, Jung-Yun;Sin, Choon-ho;Ryoo, M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71-47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실시간으로 식당 좌석을 확인하여 예약할 수 있도록 앱 개발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앱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전용 APP 기능으로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 가게 정보 확인, 예약 설정이 있다. 또한, 실시간 좌석 정보를 제공하여 사람들이 가게가 만석일 경우 되돌아가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시간에 예약을 손쉽게 예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앱 사용자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본인이 원하는 좌석을 예약할 수 있고, 내부적으로 데이터베이스로 회원가입 및 로그인과 식당 정보 저장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Korean Dialogue Dataset for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국어 데이터셋 구축)

  • Kim, GyeongMin;Lee, DongYub;Hur, Yun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67-269
    • /
    • 2017
  •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은 사용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 의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대화를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의 양질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진다. 최근 페이스북에서 End-to-end learning 방식을 기반으로 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The 6 dialog bAbI tasks)을 구축하여 해당 모델에 적용한 연구가 있다.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영어 기반의 데이터와는 다르게 식당 예약 시스템에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목적으로 공유한 한국어 데이터셋은 아직까지도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스북에서 구축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한국어 기반의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일상생활에서 발생 가능한 발화(utterance)에 따른 형태 변화를 통해 한국어 식당 예약 시스템 데이터셋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Korean Dialogue Dataset for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국어 데이터셋 구축)

  • Kim, GyeongMin;Lee, DongYub;Hur, YunA;Lim, HeuiS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67-269
    • /
    • 2017
  •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은 사용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 의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대화를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의 양질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진다. 최근 페이스북에서 End-to-end learning 방식을 기반으로 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The 6 dialog bAbI tasks)을 구축하여 해당 모델에 적용한 연구가 있다.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영어 기반의 데이터와는 다르게 식당 예약 시스템에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목적으로 공유한 한국어 데이터셋은 아직까지도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스북에서 구축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한국어 기반의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일상생활에서 발생 가능한 발화(utterance)에 따른 형태 변화를 통해 한국어 식당 예약 시스템 데이터셋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usto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Japanese Chain Restaurants in Seoul & Kyunggi Province (서울.경기지역 일식 체인전문점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 Yoon, Tae-Hwan;Yun, He-Hyun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1 no.5
    • /
    • pp.637-646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Japanese chain restaurants due to demographics and consumption behaviors, and 2) to research improvements for Japanese chain restaurants according to the customers' dissatisfaction.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re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54 were returned(84.66%). The custom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about Japanese chain restaura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each other.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due to demographics and consump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 The most dissatisfied selection attributes were price, number of Korean dishes, number of branch offices, and advertisements, in order. From examining the progressive circmnstances of Korean food-service industry and the social trends toward a preference for healthy, special ethnic food and dishes for diet control and high protein-low fat, it is apparent that food-service businesses related to Japanese food have the potential for suc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administrators and manager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Development of Restaura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K-Pop Hashtag Crawling (K-POP 연관 해시태그 크롤링을 이용한 맛집 추천 시스템 개발)

  • Kim, Hwa-Seon;Lee, Chae-Yeon;Cho, Seo-Yun;Nah,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78-880
    • /
    • 2022
  • COVID-19 상황 속에서도 전 세계 Twitter K-POP 콘텐츠 관련 트윗 양은 78억 건 이상으로 매년 성장세를 보인다. Twitter 내 K-POP 팬들은 아티스트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트윗을 작성하여 같은 팬덤끼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생산한다. 이러한 맛집 트윗들은 K-POP 팬들이 Twitter 내에서 신뢰도 있는 맛집 정보를 얻는 용도로 사용된다. 하지만 팬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맛집 해시태그로 검색하고 리트윗 수가 많은 트윗을 직접 찾아야 한다. 기존의 맛집 추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구조를 띤다. 서비스 제공자가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사용자 리뷰 갱신 간격이 길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Twitter 내 K-POP 맛집 해시태그가 포함된 트윗을 Twitter API와 Tweepy를 사용하여 크롤링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의 좋아요 수와 리트윗 수를 바탕으로 데이터 필터링을 진행하여 bot user와 광고 계정이 제외된 맛집 관련 트윗을 추출한다. 최종적으로는 추출한 트윗의 정보를 마커로 표시하여 웹 사이트를 제작하였다. K-POP 팬들은 맛집 해시태그를 검색하여 일일이 찾을 필요 없이 웹 사이트에 방문하여 맛집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웹 사이트 사용자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어 가까운 맛집을 찾기도 편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맛집의 위치를 서대문구로 한정하여 진행했다.

Developement of Customized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lication by Category Using Kotlin (코틀린을 이용한 카테고리별 맞춤형 식당 추천 애플리케이션 개발)

  • Lee, Hyung Mook;Kim, Min Sun;Yun, Sung Jin;Lee, Hyun Sik;Jo, Min Ho;Choi, Na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85-288
    • /
    • 2022
  •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감소함에 따라 집합금지 명령이 해제되고 단계적 일상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맞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던 학교들이 대면 수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오게 되었다. 하지만 학교에 처음 온 학생들은 학교 주변 상권에 대해 잘 모르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학생들의 고민을 줄여주기 위하여 카테고리별로 맞춤 식당을 추천해주는 서비스 개발하였다. Kotlin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네이버 지도를 활용하여 식당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였다. 또한 Firebase를 활용한 게시판을 통해 소통의 창구를 마련하고 간단한 게임 등을 통해 학우들 간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 PDF

Effects of Service Quality including Food Therapy Element on Positive Emotion and Brand loyalty: Focusing on Daegu-Gyeongbuk Hansik Buffet Restaurant Customers (푸드테라피와 서비스품질이 긍정적 감정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한식뷔페레스토랑 고객을 중심으로)

  • Lee, Ji-Yun;Byun, Gwang-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464-477
    • /
    • 2018
  • This study is effect of food therapy and service qualit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and brand loyalty. It examined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food therapy on positive emoti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 on brand loyalty, and then aim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food therapy on brand loyalty. To this end, quota sampl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job ratio of the customers visiting Hansik buffet restaurant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1 to 25, 2018(25 days), and a total of 8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786 of collected 805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an analysis excluding 19 unreliable one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ood quality, service encounter, physical therapy and psychological therapy significantly affected positive emotion, while service environment was not significant. Also, positive emotion significantly affected brand loyalty, and food quality, service encounter, physical therapy, psychological therap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brand loyalty.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that it determined how important a role food therapy elements play in improving brand loyalty in a restaurant-related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