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lk fatty acid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1초

산란계 사료내 CLA 함유 Oil (CLAzen 80) 첨가가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LA-Containing Oil (CLAzen 80)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황보종;장종수;정일병;이병석;김동운;조성백;김희도;배해득;손진혁;홍의철;최낙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41
    • /
    • 2005
  • 본 연구는 oil 형태의 conjugated linoleic acid(CLAzen 80)를 산란계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 급여하였을 때 산란율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9주령의 산란계 72수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4개 처리구에 6주간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CLAzen 80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각각 1, 2 및 $3\%$를 첨가구를 두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산란율은 처리구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지만, 난황내 지방산 조성은 CLAzen 80 첨가에 의하게 크게 영향을 받았다. 난황내 C16:0과 C18:0과 같은 포화 지방산 함량은 CLAzen 80 첨가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일가불포화지방산인 C18:1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한편, 난황내 C18:2와 C18:3와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은 CLAzen 80 급여 2$\~$4주사이에는 모든처리구들에 있어서 그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zen 80 급여 6주 째에는 난황내 C18:2 함량이 감소하였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과 n-6:n-3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2$\~$4주 사이에는 처리구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고, 6주째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이 CLAzen 80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한편, 난황내 CLA 함량은 CLAzen 80 첨가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란계 사료 내 CLAzen 80 첨가는 난황내 CLA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증자 난황 건조 조건이 오리 난황유 산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ying Conditions of Steamed Egg Yolk on Acid Value of Duck Egg Yolk Oil)

  • 류일환;정인택;이갑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6-211
    • /
    • 2004
  • 오리 난황유는 난황을 성형 증자하여 만든 증자난황을 일정 조건 하에서 건조 후 용제 추출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증자 난황의 건조가 유제품의 품질에 집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청둥 오리알로부터 직접분리 조제한 난황으로부터 난황유 추출 및 저장과정 중에 일어나는 유지의 품질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리난황유의 추출 이전 단계인 증자 난황의 건조 방법 및 수분함량, 온도, 건조 시간에 따른 산가 및 수분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열풍건조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에 따른 산가는 각각 3.7, 3.5 및 3.5였으며, 수분의 함량은 각각 4.0%, 3.0%, 3.0%이었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0.83%, 0.80% 및 0.79%로 동결건조 및 분무 건조에 의한 건조 시 비교적 낮은 산가 및 수분함량을 보였으나 각 건조 방법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건조 온도의 영향은 6$0^{\circ}C$에서 수분의 함량은 최저치에 도달하여 일정한 값을 보인 반면, 산가 및 유리 지방산의 함량은 추출온도가 60%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시간에 따른 산가 및 수분함량과 유리 지방산의 함량 모두 건조 9시간 후 각각 3.1, 3.0% 및 0.98%로 최저값에 도달하여 건조 12시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산가에 따른 난황유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C_{18:0}$(stearic acid)의 함량은 산가가 1.5 증가함에 따라 4.76%에서 7.11%로 약 1.5배 가량 증가한 반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함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함량이 많은 지방산의 감소폭이 커짐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linolenic acid( $C_{18:3}$)의 경우 1.29%에서 0.96%로 약 3배 가량 감소되었으며, Arachidonic acid($_{20:4}$)의 경우 0.63%에서 0.40%로 약 1.5배 가량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최적의 증자난황 건조조건으로 열풍건조법으로 6$0^{\circ}C$, 9시간 건조시 수분함량과 산가 및 유리지방산이 함량이 낮은 양호한 품질의 난황유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판단되었다.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ine Cone Meal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Serum Cholesterol and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이정호;김규식;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07
  • 본 연구는 잣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51주령 Hy-line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실시하였다. 1) T1(기초 사료 + 미루나무톱밥 1%), 2) T2(기초 사료 + 잣 부산물 0.5% + 미루나무톱밥 0.5%) 및 3) T3(기초 사료 + 잣 부산물 1%)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난중 및 계란 품질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HDL, LDL 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의 함량 및 변화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난황 내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alpha}$-linoleic acid은 T1처리구가 T3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Total SFA, total PUFA, total MUFA 및 total UFA/SFA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alpha}$-linoleic acid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렁이 분말의 급여가 강제환우시킨 산란노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arth Worm Meal on the Performance of Spent Laying Hens after Induced Molting)

  • 손장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1-181
    • /
    • 2004
  •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earthworm meal (EWM) on the performance of spent laying hens after induced molting,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egg yolks. A total of 90 laying hens at 73 weeks of ag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0% (Control) and 0.2% of EWM for 4 weeks. Eggs were collected and weighted every day and Egg production and feed conversion were recorded every week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were measured at last week of experimental period. An amount of feed intake increased by supplemental with EMW except for Erst week experimental period (P<0.05). When 76 and 77 week of age,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were improved by the supplemented with EWM (P<0.01), but average egg weight was not different when fed a EWM, therefore feed/egg ma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fed a EWM. The ratio of egg yolk n-6/n-3 fatty acids cont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fed a EMW (P<0.05).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ing 0.2% of earthworm meal in the spent laying hens after induced molting was fast in recover of physical strength, therefore improves laying performance.

  • PDF

Lipid Oxidative Stability of Fried Products Added with Egg Yolk Powder During Storage

  • Hong, Hye-Mi;Choi, Hyun-Ki;Choe, Eun-Ok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1권1호
    • /
    • pp.6-12
    • /
    • 200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egg yolk powder added to flour dough on the lipid oxidation of fried products during storage. The flour dough containing the egg yolk powder (0, 5, and 10%) was fried in sunflower oil at $180^{\circ}C$ for 90 sec. The fried products were then stored at $60^{\circ}C$ for 9 days in the dark. The lipid oxidation of the fried products was evaluated by fatty acid composition, peroxide values (POV), conjugated dienoic acid (CDA) contents,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The color and phospholipids (PL) contents of the fried products were also determined by colorimetr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egg yolk powder to the dough decreased the POV, CDA contents, and TBA values of the fried products during storage. Although POV, CDA contents, and TBA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oducts without egg yolk powder during storage, little change was observed in the products with egg yolk powder. The PL contents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in the flied products added with egg yolk powder during storage. The lightness and greenness of the fried products decreased, and the yellowness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egg yolk powder to the dough improved the lipid oxidative stability of the fried products during storage in the dark, and the PL in the egg yolk might hav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s in lipid oxidative stability.

  • PDF

Effects of Dietary Algal Docosahexaenoic Acid Oil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Deposition and Gene Expression in Laying Tsaiya Ducks

  • Cheng, C.H.;Ou, B.R.;Shen, T.F.;Ding, Shih-Tor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47-1053
    • /
    • 2006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DHA) on fatty acid deposition in egg yolk and various tissues of laying Tsaiya ducks, and on the mRNA concentrations of hepatic lipogenesis-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Thirty laying du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with diets based on corn-soybean meal (ME: 2803 kcal/kg; CP: 17.1%; Ca: 3.4%) supplemented with 0% (control diet), 0.5% or 2% algal DHA oil. The DHA content in egg yolks of the ducks was elevated significantly (p<0.01) with the supplementation of dietary DHA. The DHA percentage of the total fatty acids in the egg yolk of laying ducks was 0.5%, 1.3% and 3.4% for 0%, 0.5% and 2% algal DHA oil treatments, respectively, for the $1^{st}$ week, and 0.5%, 1.5% and 3.3% for the $2^{nd}$ week. Therefore, algal DHA oil can be utilized by laying Tsaiya ducks to enhance the egg-yolk DHA content. The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TG) and cholesterol in plasma of laying Tsaiya duck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DHA treatments (p>0.05). The DHA concentration in plasma, liver, and skeletal muscle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algal DHA oil (p<0.05). The mRNA abundance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 (SREBP1) and SREBP2 in the livers of laying Tsaiya ducks was not affected by dietary DHA, suggest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se transcription factors is tightly controlled and not sensitive to DHA treatments.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3-115
    • /
    • 2002
  •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1과 실험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1에서 난황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red 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red 착색제 보다 합성 red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Different Oil Sources and Vitamin E in Breeder Diet on Egg Quality, Hatch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Neonatal Offspring

  • An, S.Y.;Guo, Yuming;Ma, S.D.;Yuan, J.M.;Liu, G.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234-239
    • /
    • 2010
  • Effec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vitamin E (VE) supplementation in the diet of breeder hens on the egg quality and hatchability, lipid peroxides of the egg yolk, and development of the newly-hatched offspring chick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800 Avian 48, 28 wk-old broiler breeders were assigned randomly to 4 groups with 4 replicates of 45 females and 5 males. Each group was fed one of the following four diets with different oil sources and levels of VE: corn oil (CO), fish oil (FO), CO+VE and FO+VE. The results showed that: i) Addition of FO in the breeder diet reduced the whole egg weight, yolk weight, albumen weight, yolk color score and neonatal offspring chick body weight without affecting the hatchability as compared to the CO treatment. ii) Addition of VE efficiently reduced the lipid peroxides of egg yolk from hens fed diets containing FO. iii) VE in the breeder diet significan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iver and heart of the chick offspring.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의 수, 배설물충의 악취물질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Count in Caecal Content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r Egg Yolk in Laying Hens)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1-268
    • /
    • 2005
  • 본 연구는 Ceramic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 중의 악취물질$(NH_3,\;H_2S,\;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총 360수의 34주령의 산란계를 120마리씩 3처리구로 구분하여서 Ceramic 분말 $0.0\%$ (대조구), $0.4\%$$0.8\%$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에서 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4\%$의 Ceramics 분말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가 감소되어 배설물 중의 $NH_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유기농 산란계에 Chlorella의 급여가 계란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resh Water Algae, Chlorella Supplementation on Egg Quality and Fatty Acid in Organic Laying Hens)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변영웅;박종호;한은정;최근형;고병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93-408
    • /
    • 2018
  • 본 연구는 클로렐라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 산란계 사료의 수분함량은 약 12.8%, 회분함량은 10.8%, 조단백질함량은 18.0%, 조지방 함량은 2.5%이었다. 사료에 첨가한 클로렐라분말의 수분함량은 약 1.54%, 회분함량은 6.53%, 조단백질은 54.56%, 조지방 함량은 2.45%이었다. 계란 난각의 색깔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해졌다. 파각강도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하였다. 계란 난각의 두께도 클로렐라를 급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두꺼웠다. 클로렐라 급여한 계란 난백의 높이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계란 난백의 품질 기준이 되는 호유닛은 클로렐라를 급여한지 10일 후, 92.0 HU로 대조구(84.8 H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 난황의 황색도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한 황색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의 무게는 급여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7.5%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급여 10일과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각각 11.9%, 10.7% 증가하였다. 클로렐라 급여에 따른 계란 노른자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바, 난황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alpha}$-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Palmitoleic acid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보다 대조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클로렐라 생균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급여할 경우 계란의 품질 향상과 난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