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philosophy(易學)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황원어(黃元御) 의학사상의 도서역학적 연구 (Study for Medical Thinkings of Huang Yuan-Yu on Tu Shu Yi)

  • 김영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8-318
    • /
    • 2009
  • This study makes clear Huang Yuan-Yu(黃元御)'s medical thoughts Yi-philosophically. Yi-philosophy(易學) since ancient times is occupied by fundamental problems of various fields of Oriental Science. Confusian Medicine Reseachers of Zhang Jie-Bin(張介賓), Zhang Nan(章楠), Zhu Zhen-Heng(朱震亨) was seriously affected by Yi-philosophy(易學) and Confucianism(儒學). But I don't think that the majority of their medicine theories are occupied by Yi-philosophy(易學) and Confucianism(儒學). But Huang Yuan-Yu(黃元御) studied medicine thoughts on the basis of Tu Shu Yi(圖書易) in almost whole medicine theories and clinical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medical thinkings of Huang Yuan-Yu(黃元御) on Yi-philosophical medical viewpoint Tu Shu Yi(圖書易)-scientifically.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author examined a characteristic point in medical thoughts of Huang Yuan-Yu(黃元御), the difference of existing medicine on Nei-Jing(內經) and Yi-medicine of Huang Yuan-Yu(黃元御), a commonness of medicine principles of Huang Yuan-Yu(黃元御) and Li Ji-Ma(李濟馬)), medicine theories of Huang Yuan-Yu(黃元御) on Tu Shu Yi(圖書易) and a background of Yi-philosophical medical standpoint. The results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uang Yuan-Yu(黃元御)'s standpoint on five phase is that the relation of earth and wood fire metal water is form and use(體用). Huang Yuan-Yu(黃元御) insists that the earth represents existence itself and wood fire metal water is concepts that represents actual states. Second, the concept of Four-Constitution of Huang Yuan-Yu(黃元御) and Li Ji-Ma(李濟馬) is same. Third, Huang Yuan-Yu(黃元御) doesn't have a standpoint of five-phase on Nei-Ching Medicine, but a standpoint of five-phase on Yi-philosophy. Fourth, water, fire, metal, wood is Four-Constitution that middle qi transformed. Fifth, the middle qi is yang-earth and yin-earth of the spleen and stomach,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four viscera is maintained by the movement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f yin and yang earth. Sixth, The middle qi is main role of Four-Constitution. Exchanging of water and fire and the movement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f metal and wood depends on the earth. Seventh, generally medicine researchers speak that human mind is a main role of psycho-function of heart, but Huang Yuan-Yu has the standpoint of spleen-stomach oriented seven emotions not human-mind oriented viewpoint. It represents that a existing thinking of heart-earth center is changed to medical viewpoint of spleen-earth center. Eighth, There is enough ground for controversy on where is the middle point of human in five viscera. Is that spleen or heart? Huang Yuan-Yu(黃元御) insists that the spleen and stomach is middle point, but the standpoint in Four-Constitution medicine of Li Ji-Ma(李濟馬) is that middle point is heart.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of I-Qing in Yi Xue Qi Meng(易學啓蒙))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387-415
    • /
    • 2010
  • 이 논문은 향후 조선유학자들의 『역학계몽』의 수용양상을 연구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주로 『역학계몽』 원전을 분석하여 주자가 『역학계몽』을 지은 문제의식은 무엇이며, 그러한 문제를 풀어가는 논리와 사유의 특색은 무엇인가를 논의한 것이다. 주자의 문제의식은 당시 한대역학, 도교역학, 의리역학 등을 망라하여 새로이 계통이 있는 유가역학을 건립하려는데 있었다. 주자(朱子)는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모델로 소강절(邵康節)의 선천학을 수용하고, 그의 선천개념을 변용하여 하락상수론을 제시한다. 하락을 자연의 이치가 담긴 역의 근원이자 성인의 심법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상수가 단순히 술수가 아니라, 자연의 이치와 성인의 심법을 드러내는 매체임을 밝힌다. 또한 십익의 내용들을 『역학계몽』의 주요탐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그가 추구하는 상수가 이미 공자가 승인한 내용임을 정당화한다. 그리하여 하도의 중(中,태극), 소강절 선천학의 태극, 주렴계 태극도설의 태극을 하나로 회통시킴으로써 상·수·리가 일체가 되며, 우주론과 존재론, 수양론을 포괄하는 체계를 세우고자 하였다고 본다. 마치 리(理)와 기(氣)가 불리부잡(不雜不離)의 관계에 있듯, 상수와 리의 관계 역시 상호 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수를 이치를 드러내는 매개로 보는 주자의 하락상수론은 당대의 번쇄한 상수론을 대체하여 「계사전」에 입각한 새로운 점법을 정비하고, 그에 의거하여 춘추전국시대의 점친 사례를 고증함으로써, 그의 상수론이 추상적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점법으로 적용가능함을 보여준다. 주자이후 중국학계에서 직접 『역학계몽』자체를 연구한 경우는 많지 않아, 조선에서 『역학계몽』관련 저작이 30편을 상회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향후 조선유학자들의 『역학계몽』연구를 탐색하는 것은 조선역학의 특색을 밝히는 하나의 통로가 될 것이다.

장남(章楠) 의역학(醫易學)의 생명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ought of ZhangNan(章楠)'s'Yi-Yi Study (醫易學)')

  • 성호준;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8호
    • /
    • pp.146-174
    • /
    • 2005
  • This study analyzes a medicine and iching-study(易學) and vital meaning through a me야cal science ruler called ZhangNan(章楠) of Qing-Dynasty(淸代), but has a purpose. First of all, the writer judges that the ZhangNan's medicine did not get out of a tradition of a Rui-Yi(儒醫, Confucian medicine) medicine greatly. He considered philosophy character of Rui-Yi formed after Jin-Yuan Dynsty(金元代) a purpose of own medicine. A way he kept the human life in order to realize a large meaning of Confucianism, and to stop a disease was necessary and spoke necessity of a medicine for this. Though a medicine is small, but becomes necessary thing in order to realize Confucianism whether a medicine and Confucianism are the only each other. The ZhangNan presented Zhi-zhong-he(致中和) with a way as soon as it is a purpose of a medicine, but ZhangNan is opening the point that Xing(性) was given 'Taiji(太極)'to. If Neo-Confucianism named 'Taiji(太極)-xing(性)-li(理)' is general, but ZhangNan is introducing the Taiji with Chi(氣). ZhangNan introduces the Taiji(太極) with one Chi(氣) and is rea야ng thing with another Zhu-zai(主宰) except Taiji, but cannot but recognize this with one in characteristics of a medicine ruler. A disregard is the inferior results, and this can do entrance of the Huang-di-nei-jing(業帝內經) which put a base with Han-Dynasty(漢代) iching-study(易學) and this too. It is made concrete 'Zangfu(藏府)-Taiji', and he is considering 'Dan-tian(丹田)-Taiji‘ in a discussion about the Great Absolute to be physical too more. Also, Taiji' is describing a point of contact that a spirit and the body meet with.

  • PDF

도원 류승국의 정역(正易)과 한국사상사의 상호 매개적 인식 (Lew Seung Kug's Recognition on Relations between Juhng-yaug and History of Korean Thoughts)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50호
    • /
    • pp.201-234
    • /
    • 2016
  • 이 글은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 1923~2011)의 사상적 지향과 한국사상사의 해석방법론이 정역의 원리와 가치관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고찰한 것이다. 도원은 그의 학문적 화두가 '화해와 상생, 인도주의와 세계평화에 있으며, 궁극적으로 대동세계를 구현하는데 있다'고 밝히며, 한국사상사 탐구를 통해 그에 대한 답을 찾는다. 그에 따르면 한국사상은 인간주체를 기본으로 하는 사상이며, 모든 갈등과 대립을 지양할 수 있는 중용(中庸), 중화(中和)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데, 한국의 역학이 바로 이러한 내용을 충족한다. 도원은 한국사상이 '억음존양(抑陰尊陽)'의 주역적 가치가 아니라 '조양율음(調陽律陰)'의 정역적 가치를 추구하며, 인간의 절대주체를 통해 양극을 화합하는 '중(中)'사상이 고대점복행위로부터 구한말 "정역"에 이르기까지 일관한다고 보았다. 성숙한 인도주의와 음양의 양극을 종합해 생명을 살리는 '호생지덕(好生之德)'의 인(仁)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도원의 한국사상사연구의 핵심적 개념이다. '양극을 종합해 생명을 살리는 인간성숙'의 정신이 한국사상의 본령이라고 본다. 도원에 따르면 유교 인도주의의 핵심용어인 '인(人)''인(仁)'이 동이(東夷)에서 연원하였음이 갑골을 통해 고증되며, 동이족 수골복사(獸骨卜辭)의 음양사상과 인도주의의 사상적 연관성의 실제를 순(舜)임금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는 단군신화의 요점을 천지를 아우르는 중(中)사상과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해명하고, 최치원의 풍류도에서 인(仁)을 매개로 유불도 삼교의 이질성을 재창조하는 '접화군생(接化群生)'의 인본주의를 읽어낸다. 신라의 불교는 성(聖)과 속(俗)의 양극성을 일원화하고, 유(有)와 공(空)의 대립을 원융한다고 본다. 조선 성리학에서 양극의 통합양상을 살펴보면, 퇴계의 경우 태극이 마음의 '인극(人極)'으로 전환됨으로써 자아의 인격과 생명의 주체성으로 거듭난다는 것이다.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동학의 인내천(人乃天) 사상이 모두 양극성을 지양한 인도주의로서 한국사상은 상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그 원형적 사고가 그 시대적 특수성 속에서도 보편성을 지니며 관통해 온 것으로 본다. 그 대미가 "정역"이다. "정역"의 새로운 괘도가 지향하는 조양율음(調陽律陰)의 가치, 지인(至人) 및 황극(皇極)사상을 통해 드러나는 성숙한 인도주의가 그것이다. 한국사상의 인도주의는 "정역"에 이르러 확연하게 그 정체(正體)를 드러내며, 이는 역(逆)으로 한국사상사 전체를 조명할 수 있는 키워드로 기능한다. 도원의 사상전반을 꿰뚫고 있는 핵심정신은 바로 "정역"의 중심축인 '생명 평화의 성숙한 인도주의'와 '조양율음'의 원리로서 "정역"은 한국사상의 결정(結晶)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