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su Aquariu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여수 아쿠아리움 방문확률의 추정 (The Estimation of a Probability to visit the Yeosu Aquarium with an Ordered Logit Model)

  • 이창근;하재연;김의준
    • 농촌계획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a probability to visit the Yeosu Aquarium with an ordered logit model. Ordered logit model is affordable to estimate the probability when the dependant variable represents likert-type scale. The estimat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re income induces the visiting-expectation. The experience for another aquarium and the visiting-expectation for the Yeosu EXPO are contributed to the visiting-expectation for the Yeosu Aquarium. The needs to visit the Yeosu Aquarium is low in Kyoungsang area and Seoul-Kyounggi-Incheun Metropolitan area. This is related to the Aquarium facilities, which were established in each area. In average level conditions regarding to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probability to visit the Yeosu Aquarium is calculated to 15.75%. However, the probability to visit to the Yeosu Aquarium is decreas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an admission fee.

Embryonic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Buenos Aires Tetra, Hyphessobrycon anisitsi (Pisces Characidae) Characidae Fishes

  • Park, Jae-Min;Han, Kyeong-Ho;Han, R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1호
    • /
    • pp.25-31
    • /
    • 2015
  • We have launched an investigation for Embryonic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Morphology, of Buenos aires tetra in order to build basic data of Characidae and fish seeding production. We brought 50 couples of Characidae from Bizidduck aquarium in Yeosu-si, Jeollanamdo, from Korea on March of 2015. We put them in the tetragonal glass aquarium ($50{\times}50{\times}30cm$). Breeding water temperature was $27.5{\sim}28.5^{\circ}C$ (mean $28.0{\pm}0.05^{\circ}C$) and being maintained. The shape of fertilized egg was round shape, and it was adhesive demersal egg. The egg size was 0.63~0.91 mm (mean $0.74{\pm}0.07mm$, n=20). After getting fertilized egg, the developmental stage was gastrula stage, and embryo covered almost two-thirds of Yolk. Incubation was happened after 16 hours 13 minutes from gastrula stage, and the tail of juvenile came out first with tearing egg capsule. Immediately after the incubation, prelarvae had 3.78~3.88 mm length (mean $3.84{\pm}0.04mm$, n=5), and it had no mouth and anus yet. 34 days after hatching from the incubation, juvenile had 8.63~13.1 mm (mean $10.9{\pm}1.66mm$), and it had similar silver-colored body shape with its mother.

국내최초 푸른바다거북(Chelonia mydas)의 실내 인공 번식 및 어린 개체의 초기 성장 특성 (Analysis of the Rate of Post-Hatching Growth of the First Artificially Bred Green Turtle Chelonia mydas Juveniles in Korea)

  • 조은빛;김일훈;한동진;임지언;조인영;이기영;문대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17-926
    • /
    • 2022
  •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globally due to its reduced population. Although C. mydas is not known to reproduce on the shores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listed as a protected marine spec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describes the first successful captive breeding of C. mydas in a commercial aquarium in South Korea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arly growth patterns of C. mydas hatched and reared in indoor facilities. C. mydas YS-B003 laid a total of 594 eggs in ten nesting events in the period December 2016-June 2017. Of these, 115 fertilized eggs from six events hatched successfully. The size of the newly hatched turtl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nesting events. The hatchlings from the 8th and 9th nesting events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from the 3rd and 5th events. The rate of growth initially varied across the different events, but from the 1,000th day, the inter-group variation disappeared. The present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captive breeding of sea turtles in indoor facilities,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se endangered sea turtle species.

Bacteriological Study about the Death of Cultured Doctor Fish, Garra rufa in the Aquarium

  • Lee, Ji-Yoon;Gang, Nam-I;You, Jin-Sol;Ko, Chang-Yong;Lee, Ki-Won;Han, Won-Min;Kim, Eunheui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4
    • /
    • 2016
  • Since April 2012, doctor fish in the breeding tank and in the quarantine tank in Hanwha Aquaplanet Yeosu Aquarium have been dying, accompanied by diffuse bleeding around the mouth, in the chin, and at the bottom of the abdomen. In this study, the cause of death would be examined through the bacteriological study of doctor fish and the rearing water quality in the aquarium. The water quality and the bacterial counts of the rearing water in the exhibit tank and in the quarantine tank were analyzed once a week, starting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Water quality was measured based on the following data: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of 24.5~26.8℃, pH at 6.77~7.94, DO at 6.15~8.61 ppm, ammonia at 0~0.93 ppm, nitrite at 0.009~0.075 ppm, and nitrate at 1.1~40.9 ppm. Studie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se water quality factors were not related to the death of doctor fish. Bacterial counts in the rearing waters of Garra rufa slightly increased to 103~104 CFU/ml, just before the death of the doctor fish. Twelve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dead fish and rearing water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eromonas veronii, Citrobacter freundii, Pseudorhodoferax aquiterrae, Shewanella putrefaciens, and Vibrio anguillarum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 freundii, which showed medium sensitivity to florfenicol and norfloxacin, and was resistant to amoxacillin, doxycycline,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and trimethoprim. Ten isolates were confirmed to be pathogenic to the doctor fish. Doctor fish infected with C. freundii and S. putrefaciens showed high morta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ation in bacterial numbers in the rearing water was related to the death of doctor fish. C. freundii and S. putrefaciens were directly implicated in causing the death of doctor fish in the aquarium.

염분 구배가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의 수직이동 및 DNA/RNA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stratified Waters on Upward Migration and Ratio of Extracted DNA/RNA in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Based on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and 280nm)

  • 조은섭;이영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8-473
    • /
    • 2005
  • 여수연안은 어류 치사성 유해적조생물인 C. polykrikoides 적조가 매년 발생되는 해역일 뿐만 아니라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이 돌산을 중심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도 변화가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했다. 실험장치는 60l들이 아크릴 수조에 일반해수와 담수와 해수를 혼합시킨 시험구를 설정하여 C.polykrikoides의 수직부상 속도와 DNA/RNA함량 비교를 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시행했다. 실험개시로부터 종료시까지 시험구의 경우 상층부위에서는 염분이 20으로 나타난 반면에, 하층은 30 정도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용존산소와 pH 변화는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chlorophyll a도 수조의 하층보다 상층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24시간동안 C. polykrikoides 상$\cdot$하층 이동을 조사한 결과 점등이 되는 순간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었다. 소등이 되는 동안은 점등에 비하여 상$\cdot$하층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고 대부분 균일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 종료시나 24시간 주 $\cdot$야간 수직이동 시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에 분포하고 있는 C. polykrikoides의 DNA 및 RNA 변화폭이 높았다 이 실험을 통하여 담수유입은 C. polykrikoides 세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속한 수직상승으로 인하여 여기에 대한 C. polykrikoides의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한국산 괴도라치 (Chirolophis japonicus)의 산란행동, 난 발생과 자어의 형태발달 (Spawning behavior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Eggs and Larvae of the Fringed blenny, Chirolophis japonicus from Korea (Pisces: Stichaeidae))

  • 박재민;이성훈;최재영;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3-70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괴도라치의 산란행동 및 난 발생과 자어 형태발달을 조사하여 다른 장갱이과 어류자어와의 유연관계를 밝혀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친어는 평균전장 $32.9{\pm}0.21cm$(31.8~34.0)로 2003년 12월 전남 여수시 신덕동 연안에서 원통형 통발을 이용해 8개체를 채집하여 실험실로 수송 후 사각 유리수조 ($50{\times}30{\times}35cm$)에 수용하여 순환여과식으로 사육하였다. 사육수온은 $12.3{\sim}15.8^{\circ}C$ (평균 $14.1{\pm}2.47$)를 유지하였고, 염분농도는 32.5~33.5‰ (평균 $33.0{\pm}0.05$‰)의 범위를 유지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으로 백색의 불투명한 침성 점 착란이었다. 난의 크기는 1.81~2.19 mm (평균 $2.00{\pm}0.27mm$, n=50)이었다. 부화는 수정 271시간 30분 후 머리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 전기 자어는 전장 8.45~8.84 mm (평균 $8.65{\pm}0.28mm$, n=5)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 11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 10.5~11.3 mm (평균 $10.9{\pm}0.57mm$)로 이 시기의 근절 수는 66개로 증가하였다.

통발에 대한 어류의 행동과 어획성능에 관한 연구 (The Behaviour of Fishes to the Traps and Their Catch Ability)

  • 고관서;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3
    • /
    • 1984
  • 모형통발에 대한 새우의 행동에 관한 수조실험과 민꽃게를 주대상으로 하고 붕장어 등을 혼획할 수 있는 실물 통발에 의한 시험을 한 바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모형통발 실험에서 나일론 망지, 폴리에틸렌망지 및 면망지등 망지의 재료를 달리한 경우 입망마리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입구의 형태에서는 밑판의 경사 각도가 클수록 입망마리수와 도피율이 낮았다. 원추형 입구에서는 각주형입구보다 도피율이 낮았다. 2. 미끼의 종류에 대한 실험에서는 바지락, 새우, 전갱이, 고등어, 어류의 내장 및 족발등 여러 가지 미끼에 대한 선택성을 실험하였는데 미끼의 종류 보다는 신선도가 더 중요한 것 같이 생각된다. 3. 5가지 실물통발을 사용하여 실지시험한 결과에서는 양쪽에 입구가 있는 원추형(A형), 입구가 양쪽에 있는 각주형(C형) 및 C형에 혀그물이 달린 D형에서 민꽃게의 어획이 좋았고, 입구가 웃면에만 어주형(B형)과 철틀을 달아 2층으로 한 E형에서 어획이 나쁘다. 4. 붕장어의 어획은 A형, D형에서 많고, B형 E형에서 적은 경향이 있으나 C형은 특이하게 A형보다 어획이 적을뿐 다른 어느 형과도 유의차를 보이지 않는다. 5. B형, E형은 고기의 입망 어려운 반면 A형 C형은 고기의 입망이 쉬우나 도피도 쉬우며, 특히 C형은 도피가 더욱 쉽다. 결국 도피는 각주형 통발 보다 원추형 통발에서 더 어렵고, 혀그물이 없는 것보다 있는 것에서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8
    • /
    • 1970
  • 1970년 7월 11일에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인공 부화를 실시하여 조이야 유생으로부터 성체형 꽃게 새끼로 된 후 9회 탈피할 패까지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1. 어미 게의 갑폭(C)과 포란수(E)와의 관계는 E=27.9049C-281.815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체(W)과 포란수 (E)와는 E=0.5682W-116.4606의 관계식으로 표시되었다. 2. 조이야 유생은 수온 $21.4\~25.2^{\circ}C$ 범위에서 5회를 탈피하여 $13\~14$일만에 메갈로파 유생기로 변태하였고, 조이야 유생기의 1회 탈피 기간은 평군 $2\~$일이 소요되었다. 3. 메갈로파 유생의 배갑폭 평균 길이는 1.70mm였고, 배갑 후면에서부터 전두극 끝까지의 길이는 평균 2.78mm였으며 메갈로파 유생기에서 탈피하여 성체형 게로 되는 데까지는 수온 $25.3\~26.9^{\circ}C$범위에서 $5\~6$일이 소요되었다. 4. 최초의 성체형 꽃게 새끼로 변태한 것은 부화 후 18일째였고, 이 때의 평균 갑폭은 4.48mm, 평균 갑장은 2.62mm 였다. 5. 성체형으로 변태한 새끼 꽃게는 $4\~5$일만에 첫회의 탈피를 하였으며, 탈피 후의 평균 갑폭은 6.47mm, 평균 갑장은 4.66mm 였다. 6. 유생 사육은 염분 농도가 높은 실내 수조보다 낮은 야외 탱크가 효과적이었고, 유생 기간의 폐사율은 조이야 1기에서 2기로 탈피할때 가장 높았으며, 새끼 꽃게로 된 후 9회 탈피기까지의 잔존율은 $55\~65\%$였다. 7.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40일간의 경과 일순(D)에 대한 각 수조별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다. 갑폭(C)은 실내 수조에서 C=1.1250D+1.7227 야외 수조에서 C=1.3465D-0.2449 갑장(L)은 실내 수조에서 L=0.6654D+1.6712 야외 수조에서 L=0.7893D+0.6919 이상과 같이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W)은 야외 수조에서 $W=1.15e^{0.12423D}$, 실내 수조에서는 새끼 게 변태 후 9일부터 19일까지는 $W=6.759\times10^{-2}D^{1.2598}$이었고, 21일부터 40일 까지에서는 $W=4.136\times10^{-2}D^{1.6024}$ 등 의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8.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의 탈피 기간 중 탈피 회수(N)에 따른 갑폭(C)과 갑장(L) 및 체중(W)과의 성장 관계는 $C=5.2e^{0.28119N}$ $L=3.65e^{0.26372N}$ $W= 0.14e^{0.7037N}$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9.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 탈피까지의 갑장(L)에 대한 갑폭(C)과 체중(W)과의 상대 성장식은 갑장 2.62mm부터 27.17mm(변태 후 40일)까지는 L=1.6864C-1.0387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은 갑장 7.47mm부터 18.53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23일)는 $W=9.367\times10^{-5}C^{3.5567}$였고, 갑장 22.11mm부터 27.17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40일)는 $W=3.406\times10^{-5}C^{3.8571}$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