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gdeok coas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영덕 일대의 해성단구와 해면변동단구의 대비와 편년 (Correlation and Chronology of the Marine Terraces and Thalassostatic Terraces in the Yeongdeok Coast, South Eastern Korean Peninsula)

  • 최성길;장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1-96
    • /
    • 2019
  • The Yeongdeok 53m marine terrace (Y53mT), Y43mT, Y33mT, Y24mT, Y19mT and Y11mT distributed along the Yeongdeok coast,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re well compared with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f the high terrace 1 (ℓHT1 ; 51m of the relative heights from the river floor), high terrace 2 (ℓHT2 ; 43m), middle terrace 1 (ℓMT1 ; 32m), middle terrace 2 (ℓMT2 ; 25m), lower terrace 1 (ℓLT1 ; 18m) and lower terrace 2 (ℓLT2 ; 10m) respectively, developed along the lower reaches of the Chucksan-cheon and Obo-cheon rivers, judging from the comparison of paleosols (red soils) between the above marine and thalassostatic terraces. Using the Y19mT of the MIS 5e as the key surface, we propose that the terraces of the Y53mT and ℓHT1, Y43mT and ℓHT2, T33mT and ℓMT1, Y24mT and ℓMT2, Y19mT and ℓLT1, and Y11mT and ℓLT2 have been formed at the MIS 11, 9, 7e and 7a (or 7a), 5e and 5a respectively. The red soils have been developed at the Y19mT and ℓLT1 and above them, but not on the Y11mT and ℓLT2 surfaces.

동해안의 융기율도와 융기율 분포 (Uplift Rate Map and Distribution of Uplift Rate i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이광률;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60
    • /
    • 2020
  • This study tried to produce an uplift rate map and revea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ate with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absolute ages on marine terrace i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 total of 57 ages at 26 sites from previous study and 13 ages at 13 sites from this study, the coast showed the rates ranging from 0.145 m/ka to 0.410m/ka with an average of 0.258 m/ka. The highest and lowest rates were found from the Jeongdongjin area in Gangneung and the Goraebul area in Yeongdeok, respectively. However, some areas in the coast showed large differences in the rate among the sites. In addition, areas with only 1 age were also found, indicative of low reli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re reliable and precise interpretation on the rate can be made with more ages identified, especially in Goseong to northern part of Gangneung, middle and southern parts of Samcheok and Yeongdeok, southern part of Pohang to northern part of Gyeongju, and Ulsan.

영덕군 병곡면의 단층 노두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ult Site at Byeonggok-myeon, Yeongdeok-gun, South Korea)

  • 신원정;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83
    • /
    • 2021
  •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Yangsan Fault, an active fault zone, has developed. Many earthquakes occur around these faults, and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s occurring along the branch faults is being discussed. On the other hand, the Yeongdeok Fault is reported in Yeongdeok-gun, which is the nor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In this study, goemorphic characteristics of a set faults found on the outcrop of the gentle slope of the coast of Byeonggok-myeon were analyzed and granulometr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other materials, including fault gouges were analyzed. The outcrop of Byeonggok-myeon is the part of the fault cor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ses fault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sozoic bedrock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layer of red sand-supported clasts are covered in several sedimentary units. The faults were normal fault sets, and a number of vertical cracks were developed, and glossy surfaces were observed in the fault area. It appears that these faults have occurred after alluvial deposition had been formed. In the case of samples from fault gouges,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le siz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surrounding area.

영덕 고래불 모래해안의 지형 특성과 변화 (Geomorpholog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Goreabul Sand Beach in Yeongdeok)

  • 방현주;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3-92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동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영덕군 고래불 모래해안을 대상으로, 사빈과 해안사구의 지형 기복 및 해안 퇴적물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래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고래불 해안은 강원도 동해안과는 달리, 여름을 제외한 대부분 계절에 파랑과 연안류가 북류하면서 사빈의 모래 이동과 퇴적을 유발하였고, 여름에는 남북간의 흐름이 둔화되거나 남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빈에서는 여름철에 태풍이나 폭풍으로 인한 침식작용이 발생하였고 상대적으로 조립의 모래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모래의 퇴적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안사구의 전면부에서는 모든 계절에 해풍에 의해 모래가 퇴적되었으며, 특히 겨울철에 퇴적작용이 가장 활발하였다.

한국산 뾰족입짠물응애속(진드기목: 짠물응애과)의 2종 (Two Copidognathus Halacarids(Acari: Halacaridae)from Korea)

  • Tapas Chatterjee;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45-54
    • /
    • 2004
  • A new species of marine Halacaridae, Copidognathus laevisetosus is recorded from Yeongdeok coast, Korea. In morphological aspects, the present new spe챠es is closely related to C. koreanus Chatterjee and Chang.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them are discussed. Copidognathus cerberoideus Bartsch is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nd away from its type locality.

동해 냉수대 발생역의 장기 변동 분석 (Long-term Trend Analysis of Cold Waters along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 김주연;한인성;안지숙;박명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81-5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동해안 냉수대 해역의 바람의 세기 및 방향과 수온의 장기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바람분석 결과, 과거 22년(1997년~2011년)과 최근 7년(2012년~2018년)을 비교해 보면 여름철 동안 과거에 비해 최근에 남풍계열 바람의 빈도가 줄었고, 풍속도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6월의 바람은 남풍계열 바람의 빈도와 풍속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7월과 8월에 주로 나타난 냉수대 시기가 빨라졌다고 분석되었다. 최근 7년 사이 강릉(EN) 해역에서 $0.5^{\circ}C{\sim}1.8^{\circ}C$의 수온 상승을 보였으며, 영덕(EC)과 기장(ES)은 $0.1^{\circ}C{\sim}0.3^{\circ}C$의 수온 상승을 보였다. 평년(1990년~2011년, NOAA/AVHRR 위성수온자료) 대비 최근 7년의 냉수대 출현일은 영덕과 기장에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고, 강릉은 상대적으로 냉수대 출현일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강릉, 영덕, 기장 해역에서 6월에 냉수대 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냉수대 발생 해역과 시기에 변화가 발생 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주변의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의 약화가 냉수대의 발생원인인 풍향과 풍속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in Korea

  • Son, Sung-Won;Lee, Byung-Chun;Yang, Hyung-Ho;Seol, Ye-Jo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0-286
    • /
    • 2011
  • The natural habitats and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were recently discovered in Korea. Salomonia oblongifolia DC., which grows in mountain wetlands, was found in Gijang-gun, Busan, Gokseong-gun, Jeollanam-do, and Shinan-gun, Jeollanam-do.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which grows along the coast, was found in Yangyang-gun, Gangwon-do, Pohang-si, Gyeongsangbuk-do and Buk-gu, Ulsan. Tillaea aquatica L. and Limosella aquatica L., which was previously not known to be present in Korea, were discovered in Gijang-gun, Busan for the first time. Apocynum lancifolium Russanov, which has a narrow distribution range in Korea, was also found in Samcheok-si, Gangwon-do, Ansan-si, Gyeonggi-do, Siheung-si, Gyeonggi-do, Jung-gu, Incheon,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and Shinan-gun, Jeollanam-do.

영덕 삿갓봉암체의 암석학적 특성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tkatbong Pluton, Yeongdeok, Korea)

  • 임호성;김정훈;우현동;도진영;장윤득
    • 암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42
    • /
    • 2016
  • 삿갓봉암체는 기존에 다른 암체들과 함께 연구된 바는 있으나 몇몇 기초적인 암석학적 특성은 다뤄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삿갓봉암체에 대해 보다 자세한 암석학적 특성을 보고하고, 남한의 다른 대보화강암, 불국사화강암과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삿갓봉암체는 영덕군 경정리에서 장사리에 걸쳐 남북으로 길게 신장된 형태로 발달한다. 삿갓봉암체는 대부분 섬록암질암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염기성미립포유암(이하 MME)을 다량 포획하고 있다. 야외조사결과 삿갓봉암체와 인접하는 백악기 퇴적암은 상호 부정합관계가 예상된다. 지화학적 특성을 대보, 불국사 암군과 비교했을 때, 삿갓봉암체는 주원소와 미량원소 특성에서 대보화강암에 보다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였으며, 칼크알칼리 계열의 암석으로 분류되었다. 조구조적으로 삿갓봉암체는 섭입대 화강암의 특징을 보이며, 각섬석에서의 AlT 값은 타 암체들보다 낮은 값을 가져, 보다 얕은 정치 심도를 가졌던 것으로 예상된다. 삿갓봉암체는 뚜렷한 아다카이트 특성을 보이는 인근의 영덕화강암과는 다른 지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MME의 산출로 예상되는 고철질 맨틀물질의 혼성에 의한 영향으로 예측된다.

갯방풍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군락특성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tive Preservation Method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in Korea Coast)

  • 추병길;지윤의;문병철;김보배;이아영;윤태숙;송호경;김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8-4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y method, floristic composition table on coast of South Korea. Form 2007 June until November, $2m{\times}2m$ quadrat was established in native Glehnia littoralis in order to record a dominants and coverage, and it drew the profile. It was found out that the mean temperature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Glehnia littoralis population was $11^{\circ}C$ or more. The flora of the studied area in Glehnia lottoralis community of coastal dune was listed as 100 species. Glehnia lottoralis community of appearance species of Yeonggwanggun Duwori was many most by 44 species. Carex pumila, Carex Kobomug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Ischaemum anthephehoroides and Vitex rotundifolia range all over the studied areas. And the vegetation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Vitex rotundifolia subcommunity, Ischaemun anthephephoroides subcommunity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subcommunity. Native Glehnia littoralis was classified into preserve area, natural selection area and artificial destruction area. It must preserve native Glehnia littoralis of Goseong, Yeongdeok, Haenam it was ecological important area.

송천 하구 사주의 지형 특성과 변화 과정 (Geomorphological Properties and Changes on River-Mouth Bar at Song-cheon River)

  • 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93-706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덕군 동해안의 송천 하구 사주를 대상으로, 지형의 형태적 특성과 형성 시기를 파악하고, 장기적 및 단기적인 하구 사주의 변화 과정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사주의 해안선 부근 모래는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입도가 점차 감소하여, 파랑과 연안류가 대체로 북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하구 사주와 인근 해안사구 모래의 절대연대는 약 100년 이내로서 지형의 변화가 매우 심하였다. 하구 사주 내의 입수구는 1971년부터 1995년까지 사주의 남쪽에 위치하였으나, 1995년부터 현재까지는 사주의 북쪽이나 중앙에 나타나고 있는데, 그 원인은 2000년 이후 바람과 해류의 북류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파랑과 연안류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결과로 판단된다. 단기적으로 볼 때, 주로 9월부터 3월 사이에 파랑과 바람의 작용으로 퇴적작용이 우세하여 사주의 고도가 상승하고 면적이 넓어지며 지형 기복이 단순해지고, 입수구의 위치와 사주의 형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