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HangRok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연행록의 계보적 독해 - 18세기 전반 노론 사대신 전주이씨 집안 연행 기록의 개관과 관심지향 분석 - (Genealogical reading on YeonHangrok : A general survey on a series of YeonHang documents of 18th Century No-Ron Jeon-Ju Lee's Family(老論 全州李氏) and an analysis on their points of concern)

  • 김현미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37-65
    • /
    • 2016
  • 본고는 개인적으로 지어진 한문 산문 연행록(燕行錄)이 본격적으로 창작되기 시작한 18세기 전반의 구체적인 창작층과 창작된 산문 연행록의 관심지향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쓰여졌다. 실지적인 작품을 다수 남겼으나, 문헌군 형성 전에 주목받지 못하였던 작자층 중에 '서인 노론 사대신' 중 소재 이이명, 그 아들 일암 이기지, 한포재 이건명의 사적(私的) 한문 산문 연행기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현전하는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그들의 연행 관련 글을 살핀 결과, 소재와 일암, 한포재의 연행 의식은 '연행의 중요성'을 의식하며 연행의 임무를 경험 대상에 대한 '관찰과 주목'이라는 태도로 실행해야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연행 의식이 구체적으로 그들의 한문 산문 연행기록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살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재 이이명과 일암 이기지 부자의 1720년 사행 결과로 나온 "연행잡지"와 "일암연기"는, 공통적으로 노가재 김창업과 그의 저작 "노가재연행일기"(1712)가 창작의 원인이 되었지만 서술 방법에 있어 화소의 편성을 보면 일암은 천주당을 중심한 서양 문화, 길에서 본 문물의 번성 관찰, 역관 등에게서 들은 현재의 정세 등 자신의 관심사에 따른 직접 체험들의 영역을 편성하고 있으며, 그와 함께 노가재의 교유 인물과 견문을 구비하는 방식을 띤다. 한편 아버지 소재는 자신이 직접 관찰하고 경험한 현상과 일들을 통하여 그의 연행 기록을 작성하는 원칙으로 조선에 영향을 준 청(淸)의 정세, 세법(稅法) 등 제도에 대한 관심지향성을 보인다. 1721년 세제 책봉을 위한 주청사로 간 한포재 이건명의 "한포재 사행일기"에서는, 앞선 두 개의 연행록처럼 자신의 연행 기록을 촉발시킨 사람이나 작품을 거론하지 않지만 서술의 곳곳에서 소재와 일암의 기록, 혹은 전해 들었을 그들의 경험 견문이 반영되어있다. "한포재사행일기"는 등장화소의 성격상 '공무' 와 '사신의 사명'을 중시하고 그 과정을 충실히 소개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소재의 연행기록인 "연행잡지"와 가깝다. 그러나, 자신의 심정 술회를 하기 위해 "일암연기"의 점술 화소를 유입하기도 하고, 공무 외의 견문과 체험에 대해서도 자신이 경험한 것을 간략하게 기록한다. 결국 18세기 전기 한문 산문 연행록의 주 작자층인 서인 노론계 전주 이씨의 작자들은 경험으로서 '사행의 중요성'을 공통적으로 인지한 채로, 자신들이 직접 경험한 영역을 주목하고 관찰하면서 연행록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소재와 한포재는 '공무'와 '사명'의 범주로 특화되며, 일암 이기지는 직접 체험할 수 있었던 타문화의 일상 문물과 교유로까지 넓어진다.

연행록에 나타난 남자 수식 (Man's Hair Style on )

  • 전혜숙;김태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7-110
    • /
    • 2006
  • The value that evaluates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and culture is Hwa-i-kwan(華夷觀: the view that China is only good country and the others are savages) as Confucianism. Generally, Hwa-i-kwan(華夷觀) includes cultural Hwa-i-kwan(華夷觀) as Confucian culture is only superior, Han-centered racial Hwa-i-kwan(華夷觀), and country-centered geographical Hwa-i-kwan(華夷觀). As times goes on, instead racial and geographical Hwa-i-kwan(華夷觀) is diluted, cultural Hwa-i-kwan(華夷觀) was just emphasized. The value of cutural Hwa-i-kwan(華夷觀) is presented on dressing system and hair style becoming an issue in Confucian culture.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how Hwa-i-ron in latter period of Chosun influenced the view of Ching men's hair style, pigtail. For this study, 5 books of Yeon-hang-rok in $17{\sim}18$ centuries are chosen, but some parts of them would be selected concerning with hairdressing and would be studied with other documents. Hwa-i-kwan(華夷觀) had dominated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nd had been making proprieties, then geographical and racial Hwa-i-kwan(華夷觀) were disappeared when Ching had been building a big cultural country, but cultural Hwa-i-kwan(華夷觀) had been stronger in latter period of Chosun than before, it had been a standard in all proprieties. After all, not only did cultural Hwa-i-kwan(華夷觀) become a standard of all proprieties in Chosun, but it was applied to the view of Ching men's hairstyle. So, people thought that pigtail, Ching men's hairstyle, is a custom of the savages. out of Chinese proprieties. Therefore, this cultural Hwa-i-kwan(華夷觀) that Chosun is a real China through taking over Chinese proprieties might be in that age.

  • PDF